정부, 내전 격화 수단에 軍수송기·병력 급파...“국민 안전하게 철수”

노석조 기자 2023. 4. 21. 13:5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민 26명 체류
지난 15일부터 정부군·반군 무력충돌
미 외교관 차량도 공격받아
한미 공군이 지난달 7일 경남 창녕군 소재 남지 비상활주로에서 전시 연합작전 지속수행능력 점검과 비상활주로 운용능력 강화하기 위한 ‘한미연합 비상활주로 이착륙 훈련’을 진행하는 모습. 공군 C-130 수송기가 한미 공군 공정통제사들의 유도통제에 따라 비상활주로에 접근 후 재이륙하고 있다. /공군 제공

정부가 21일 내전에 빠진 수단에 군 수송기 C-130J 1대와 병력 50여명을 급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수단에 체류하는 재외국민을 철수시키기 위해서다.

국방부는 이날 “우리 정부는 수단 내 무력충돌 관련, 수단에 체류하고 있는 재외국민의 안전한 철수를 위해 군 수송기(C-130J) 및 관련 병력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면서 “현재 수단내 교전이 지속되고 있고 우리 국민들이 거주하는 수도 카르툼 공항이 폐쇄된 상황으로, 우리 수송기 및 병력은 인근 지부티의 미군기지에 대기하며 현지사황을 예의주시히면서 철수를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 철수 작전에는 C-130J 조종사, 정비사를 비롯해 경호요원·의무요원 등 50여명의 병력이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작전 수송기가 수단에 도착하는데는 24시간 가량 걸릴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 수단에 체류하고 있는 우리 국민은 총 26명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은 모두 안전한 상태지만 전력 공급 등 체류 여건이 악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단 내에서는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이 계속 벌어지고 있어 육로 이동은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정부는 모든 방안을 열어 놓고 다각적 철수 수단을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역시 국민 철수를 위해 자위대 소속 수송기를 이날 지부티로 파견할 예정이라고 외신이 보도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6회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가안보실로부터 수단 무력 충돌 상황을 보고받고 “어떤 상황 속에서도 재외국민 안전에 최선을 다하라”며 외교부와 국방부 등 관련 부처에 ‘군 수송기 급파’를 포함한 대책을 신속히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수단은 지난 15일부터 내란이 벌어져 정부군과 반군간 무력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7일에는 수단에서 미국 외교관 차량이 공격받는 일도 벌어졌다. 현재 사망자만 2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군과 반군은 지난 18일 오후 6시부터 24시간 휴전에 합의했지만, 이후에도 산발적 전투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9일(현지시간) 정부군과 반군간 유혈 충돌이 발생한 북아프리카 수단 수도 하르툼에서 버스가 파괴된 채 방치돼 있다. /연합뉴스

수단은 지난 2019년 30년 독재자 바시르 축출로 새 정권이 들어섰지만, 부족·종교세력을 통합하지 못하는 등 지지 기반을 다지는데 실패해 지난 4년 내내 정국 혼란을 겪어왔다. 그러다 최근 반정부 세력이 무장 봉기를 일으켜 내란에 빠진 것이다.

튀르키예 지진피해 긴급지원 공군 임무요원들이 지난달 2월 7일 김해기지에서 긴급구호 요원과 의약품을 보내기 위한 공군 다목적공중급유수송기 KC-330 이륙에 앞서 신고하고 있다. /공군 제공 조선일보

우리 군은 2021년 8월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이 탈레반에 함락됐을 당시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 ‘시그너스’(KC-330)를 파견해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들과 가족 390여명을 구출하는 ‘미라클 작전’을 편 적이 있다. 2018년 10월에는 제26호 태풍 위투가 덮친 사이판에 군 수송기를 보내 한국인 관광객 1800여명의 조기 귀국을 돕기도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