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단’ 중국산車 글로벌 점유율 20% 육박…한국산은 7.3%로 뒷걸음

장우진 2023. 4. 21. 12: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작년 글로벌 주요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계 브랜드가 전동화 모델을 앞세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훈 협회장은 "글로벌 경기둔화와 반도체 수급불안 등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한국계 브랜드는 현지화 제품 확대와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를 통해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었다"면서도 "중국의 글로벌 팽창이 현실화되고, 각 국 정부가 환경규제를 강화하면서도 자국 산업 지원 정책을 쏟아내고 있어 국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상실이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제공

작년 글로벌 주요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계 브랜드가 전동화 모델을 앞세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발표한 '2022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판매 및 정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해외 8개 주요시장의 승용차 판매는 5853만대로 작년 동기보다 1.2% 증가했다. 8개 시장은 미국, 중국, 유럽,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아세안 지역이다.

시장별로는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흥시장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선진시장은 전쟁, 인플레이션, 고금리 영향으로 축소 경향을 보였다.

중국은 2356만3000대로 작년보다 9.7%, 인도는 379만2000대로 23.0%, 멕시코는 108만5000대로 7.1%, 아세안은 242만3000대로 26.8% 각각 늘었다.

반면 미국은 1373만4000대로 8.1% 유럽은 1128만7000대로 –4.1%, 브라질은 195만8000대로 0.8% 감소했고 러시아는 68만7000대에 그쳐 58.8% 크게 줄었다.

8개 주요시장의 메이커 국적별 증감률은 중국계가 1139만대로 24.3% 급증했고, 미국계는 1070만8000대로 전년 수준(0.6%↑)을 유지했다. 이에 반해 유럽계(5.5%↓), 일본계(5.9%↓), 한국계(4.4%↓) 등은 전년보다 감소세를 보였다.

중국계는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BYD 등 EV업체를 비롯한 로컬브랜드가 성장세를 보였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19.5%로 전년보다 3.7%포인트 상승하며 미국계(18.3%)를 제치고 3위로 올라섰다.

시장 점유율 1위인 유럽(25.8%)과 2위 일본(25.3%)은 전년보다 1.8%포인트, 1.9%포인트 각각 하락해 중국계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한국계 점유율은 7.3%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낮아졌다.

한국계는 대부분의 시장에서 전년대비 증가한 양호한 실적을 보였지만 중국과 러시아 시장 리스크 지속되면서 점유율이 축소됐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정체·하락 기조에도 전기동력차 시장은 급성장세를 이어갔다.

8대 시장의 작년 전기동력차 판매량은 1438만9400대로 전년보다 43.4% 증가했다. 전체 판매량 대비 비중은 24.6%로 1년 새 7.3%포인트 상승했다.

전기차는 미국·유럽·중국 3개 시장이 99.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유럽은 46.3%로 가장 높았고 중국이 NEV 보조금 등 강력한 정부 육성정책에 힘입어 31.2%, 미국은 12.3%로 그 다음이었다.

강남훈 협회장은 "글로벌 경기둔화와 반도체 수급불안 등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한국계 브랜드는 현지화 제품 확대와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를 통해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었다"면서도 "중국의 글로벌 팽창이 현실화되고, 각 국 정부가 환경규제를 강화하면서도 자국 산업 지원 정책을 쏟아내고 있어 국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상실이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전기차 생산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전기차 생산 전환과 미래차 초격차 기술 확보가 시급하다"며 "전기차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가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세액공제를 경쟁국 수준으로 확대(25%)하고, 미래차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해외서 차별받는 일이 없도록 정부의 외교적 노력도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우진기자 jwj17@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