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엔 좋아서 흥분하지만 모두 다 잃는다”…그가 부르면 ‘죽음의 키스’
파트너십 제안 후 기술·인력 빼앗아
‘애플이 부르면, 그것은 죽음의 키스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WSJ는 중소기업 임원, 변호사 등의 증언을 인용해 애플이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하는 듯 하다 결국 인력과 기술을 모두 가져갔다고 지적했다.
지난 2018년께 혈액 산소 측정기를 만든 마사모 설립자 조 키아니가 대표적인 사례다.
WSJ에 따르면 애플에 손을 내밀자 키아니는 그런 제안이 꿈만 같았고 자기 기술이 애플워치에 완벽히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양측이 만난 이후 애플은 마시모의 엔지니어와 최고 의료책임자 등 직원들을 좋은 조건으로 고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9년 마사모와 유사한 센서 특허를 출시한데 이어 이듬해에는 혈중 산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애플워치를 출시했다. 그는 “애플이 관심을 가질 때 그것은 죽음의 키스”라며 “처음에는 좋아서 흥분하지만 결국 모든 것을 빼앗기게 된다”고 경고했다.
키아니는 애플에게 당한 20여명의 임원, 발명가, 투자자, 변호사 중 한명에 불과하다고 WSJ는 전했다.
이들이 주장하는 공통점은 애플이 먼저 파트너십을 제안하고 기술 통합 논의가 진행되지만 이후 대화는 중단되고 얼마 후 비슷한 기능을 애플이 출시하는 패턴이다.
애플은 자사의 특허를 침해했다고 비난한 회사들을 상대로 수백 개의 특허 무효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애플은 2013년 이 회사와 파트너 관계를 논의했다. 이후 여러 차례 기술 정보를 요구했고 몇 개월간 시제품도 테스트하면서 라이선스 가능성도 논의됐다. 그러다 갑자기 논의는 중단됐고, 2015년 심장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애플워치가 출시됐다.
발렌셀은 이듬해 애플을 상대로 4건의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자 애플은 이 4개의 특허 무효화 신청을 특허심판위원회에 냈고, 이와 관련 없는 다른 7개의 발렌셀 특허에 대해서도 추가 무효화 신청을 제기했다.
결국 법정 분쟁에 지친 발렌셀은 2019년 애플과 합의했다. 합의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다고 WSJ은 전했다.
이에 대해 애플은 “우리는 기술을 훔치지 않고 타사의 지적 재산을 존중한다”며 “타사가 우리의 기술을 모방하고 있으며, 법정에서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카푸어도 타는 벤츠·포르쉐 지겨워서…“이름이 뭐예요” 궁금증 폭발[세상만車] - 매일경제
- 서세원, 캄보디아서 사망...링거 맞다 심정지 - 매일경제
- [단독] 구리서도 500명 전세사기 당했다…피해액만 수백억원대 - 매일경제
- 오르고 또 오르는 배터리…LG화학, 삼바 제치고 시총 4위 등극 [이종화의 장보GO] - 매일경제
- 아직 준비 못 했는데... 전기차, 그렇게 많이 만들라고요? [뉴스 쉽게보기] - 매일경제
- “데이트 필수코스로 뜨겠다”...서울에 지어진다는 이것 [부동산 라운지] - 매일경제
- K5보다 300만원 비싸지만…‘영끌 오빠차’ 쏘나타, 그랜저급 존재감 [카슐랭] - 매일경제
- “헷갈릴게 따로 있지”…70대 노인 몰던 차 아동센터 돌진 아이 4명 부상 - 매일경제
- 제주여행 불만 1위 “비싸요”… 1인 평균 지출액 ‘66만원’ - 매일경제
- 천하의 오승환, 결국 마무리 자리 잠시 내려 놓는다…이승현 대체 마무리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