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詩 읽기] ‘원초적 감성’에 물을 주자

관리자 2023. 4. 21.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랜만에 맡아보는 풀 냄새였다.

예초기 엔진 소리가 거슬렸지만 바람결에 실려 오는 풀 내음은 온몸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풀 냄새뿐이랴.

민지가 풀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가 평생 언어를 다뤄온 시인에겐 등짝을 후려치는 죽비처럼 여겨졌을 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맡아보는 풀 냄새였다. 예초기 엔진 소리가 거슬렸지만 바람결에 실려 오는 풀 내음은 온몸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하지만 도시에서 나고 자란 아들 녀석의 반응은 정반대였다. 역겹다며 코를 틀어막는 것이었다.

풀 냄새뿐이랴. 나는 한여름 매미 소리를 ‘자연의 음악’이라 반기는데 딸아이는 지독한 ‘소음 공해’로 받아들인다. 부모와 자녀 사이가 갈수록 아득해진다.

세대 차이를 넘어 세대간 단절이라고 해야 할 지경이다. 천지자연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이렇게 달라졌는데, 기호(嗜好)나 취향 차원에서 나타나는 세대간 간극의 크기는 가늠하기조차 힘들다.

그런데 이같은 사태가 정희성의 시 ‘민지의 꽃’에서는 역전된다. 강원도 산골로 귀농한 제자를 찾아가는 은퇴 교사가 제자의 딸 앞에서 ‘학생’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손녀나 다름없는 ‘민지’가 어엿한 선생님이다.

흔한 데다 쓸모가 없다는 이유로 ‘잡초’라고 불리는 풀들. 하지만 어린 민지는 잡초를 인격체로 대한다. 민지가 풀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가 평생 언어를 다뤄온 시인에겐 등짝을 후려치는 죽비처럼 여겨졌을 테다.

말이 말다울 때 말은 ‘천지와 귀신’을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말에 ‘때’가 묻으면 말은 인간과 천지자연 사이를 갈라놓는다. ‘때 묻은 말’은 인간과 사회, 인간과 인간 자신 사이에도 금이 가게 만든다.

‘민지’가 산골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민지의 ‘꽃’은 우리 유전자 안에 다 있다. 우리가 물을 주지 않고 있을 뿐이다. 우리가 원초적 감성을 되찾는다면, 말이 말다워지고 세대와 세대, 인간과 천지자연이 다시 손을 잡을 것이다.

이문재 시인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