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농촌인데…면에 살면 읍보다 난방비 더 든다
난방에너지 접근성 차이 탓
면지역 월평균 17만1000원
읍지역보다 5만원가량 많아
생활쓰레기·빈집 문제 심각
경관·안전위해 개선 필요성
면(面)지역 주민들의 난방비 부담이 읍(邑)지역 주민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농촌주민들은 농촌 경관과 안전을 해치는 주된 요인으로 노후주택과 빈집을 지목했다.
농촌진흥청은 18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2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농진청은 5년 주기로 부문별 복지실태를 조사하는데 지난해에는 ▲기초생활 여건 ▲환경·경관 ▲안전 등에 대해 심층 조사했다. 조사 대상은 전국 농촌지역 4000가구로 이 가운데 농어가는 1255가구, 비농어가는 2745가구였다.
◆읍·면간에도 난방비 격차 커=같은 농촌지역에서도 거주지에 따라 저렴한 난방에너지의 접근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읍지역에서는 주된 난방시설로 ‘도시가스보일러’를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68.8%를 차지했다. 이어 ‘기름보일러’(16.8%), ‘전기보일러’(6.0%)가 뒤를 이었다.
면지역은 ‘기름보일러’(51.2%)를 꼽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도시가스보일러’는 21.6%로 읍지역 3분의 1에 불과했다. ‘전기보일러’를 주된 난방시설로 꼽은 응답자는 13.2%였다.
읍·면 지역의 주요 난방시설 차이는 난방비 격차로 이어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면지역 월평균 난방비는 17만1000원으로 읍지역(12만2000원)보다 5만원가량 많았다. 읍지역에서 많이 사용하는 난방에너지원인 도시가스는 단가 대비 에너지 효율이 가장 높은 반면 면지역에서 주로 쓰는 난방용 등유는 도시가스는 물론 전기·연탄보다도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난방용 등유를 많이 사용하는 면지역 주민들이 도시가스보일러 사용 비중이 높은 읍지역 주민들보다 난방비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에 따라 난방환경 개선 요구사항도 읍·면 지역간 차이가 있었다. 읍지역에선 ‘오래된 난방시설 개보수’(34.1%), 면지역에선 ‘도시가스 등 저렴한 난방원 공급’(52.6%)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농촌 골칫거리 ‘노후주택’…쓰레기 소각 여전=농촌주민들은 ‘생활쓰레기’와 ‘오래된 주택’ ‘빈집’을 농촌 경관과 안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농촌 경관을 해치는 주된 요인으로는 전체의 29.5%가 ‘버려진 생활쓰레기’를 꼽았다. ‘빈집·빈터’를 꼽은 비중도 19.3%나 됐다.
쓰레기 처리 개선방안으로는 ‘지방자치단체 정기 수거 확대’(38.5%), ‘분리배출을 위한 마을 공동수거함과 퇴비장 마련’(22.5%), ‘무단투기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설치 확대’(21.8%) 순으로 꼽았다.
오래된 주택에 대해선 화재 발생 우려가 컸다. 화재 취약 요소에 대한 질문에 ‘노후주택의 전기·가스 시설’을 꼽은 응답자가 41.6%로 가장 많았다. 필요한 소방서비스에 대해서도 ‘노후주택의 전기·가스 시설 안전점검’(54.1%) 요구가 가장 많았다.
한편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쓰레기 소각 관행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주민 대다수는 쓰레기를 주로 분리배출하고 있었지만 ‘생활쓰레기’와 ‘폐영농자재(농가 대상)’를 소각한다는 비중도 각각 3.8%, 3.6%로 적지 않았다.
특히 농가가 폐영농자재를 태운다는 비율(3.6%)은 5년 전 조사 결과(1.3%)보다 늘었다. ‘논·밭두렁·야외 쓰레기 소각이 화재 원인이 된다’고 인식하는 비율도 19.9%로 5년 전(38.0%)보다 감소해 쓰레기 소각에 대한 지속적인 계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촌청년 삶에 대한 행복감 높다=농촌지역 40대 이하 청년층은 ‘현재 삶에 대한 행복감’이 다른 세대와 비교해 높았다. 30대 이하는 현재 삶의 행복감에 62.6점(100점 만점), 40대는 64.9점을 매겼다. 전체 평균은 59.2점이다.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는 ‘가족’(30대 이하 33.6%, 40대 52.7%)과 ‘경제적 안정’(30대 이하 25.9%, 40대 23.4%)을 꼽았다.
반면 농어촌생활 종합 만족도는 30대 이하는 51.3점, 40대는 52.7점으로 전체 평균(54.8점)보다 낮았다.
농촌청년들은 다른 세대와 비교해 주거환경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이하 청년 가구는 ‘자기 집’(28.7%)보다 ‘전·월세’(63.5%)에 거주하는 비중이 높았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비율도 11.8%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최저주거기준은 가구구성별 최소 주거 면적, 방의 개수 등 쾌적하고 살기 좋은 생활을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주거 수준에 관한 지표다.
이에 따라 5년 내 이주를 희망하는 30대 청년층 가구 가운데 52.8%가 주택 관련 사유로 이주하고 싶다고 밝혔다.
농진청은 “30대 이하 청년 가구의 전·월세 비율이 높게 나타나 청년층의 농촌지역 정착을 위한 주거 부담 완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청년층 농촌지역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주택 관련 정책 확대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