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증권사 5년간 단 1곳 늘어···'금융허브' 먼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 규제와 정책 불확실성에 외국계 금융투자 회사들이 여전히 국내 시장 진출을 외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대표는 "영업 제한으로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금융투자 업체는 인력을 뽑는 데도 한계가 있다"며 "한국 청년들을 고용해 글로벌 금융회사의 경험을 쌓게 해주고 싶어도 규제에 막혀 답답할 따름"이라고 하소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서 철수한 외국계證은 6곳
공매도 제재 등 규제벽에 외면
"세제 완화·고용유연성 높여야"
금융 규제와 정책 불확실성에 외국계 금융투자 회사들이 여전히 국내 시장 진출을 외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금융허브 전략을 야심 차게 추진하고 있지만 최근 5년 동안 국내에 둥지를 튼 외국계 증권사는 23곳에서 24곳으로 단 1곳 늘어나는 데 그친 것이다. 최근 외국인투자가가 쏠려 있는 공매도에 대한 제재가 강화되고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어 단기에 외국계 금융사들의 한국 진출이 확대되기도 쉽지 않다는 관측이어서 자본시장 규제 개선과 세제 간소화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증권사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총 24곳에 그쳤다. 이는 2018년 말 23곳 대비 1개 사만 늘어난 것이다. 금융사 범위를 자산운용과 투자자문 등 외국계 금융투자 업체 전반으로 넓혀도 추이는 비슷하다. 자산운용사는 같은 기간 24곳에서 7곳 증가한 31곳으로 집계됐으며 투자자문사는 9곳에서 2곳 증가한 11곳에 머물렀다.
지난 5년 동안 국내에서 철수한 금융투자회사는 6곳으로 파악됐다. 2018년 미국 에셋원자산운용과 영국 에스아이케이자산운용이 짐을 쌌고 싱가포르 UBO선물이 2019년, 일본의 노무라이화자산운용이 2020년 각각 한국을 떠났다. 다른 두 곳은 한국 사업을 매각하며 철수했다. 에이비엘글로벌자산운용이 2019년 우리금융지주로 대주주가 변경됐고 2021년 호주 맥쿼리투자신탁운용은 국내 운용사인 파인만자산운용으로 바뀌었다.
외국계 금융회사의 한국 진출이 부진한 이유로는 우선 금융 규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꼽힌다. 최근 공매도를 둘러싼 외국 투자가들의 관심이 큰데 완전 재개가 연내 이뤄질 듯하다가 총선 등을 의식해 물 건너간 것이 대표적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공매도를 금지하고 있는 나라가 한국”이라며 “지난달 금융 당국 고위관계자들이 공매도 금지 조치 해제 가능성을 언급하다 말을 바꿨는데 시장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자본 시장 선진화를 위해서는 공매도 완전 재개를 통한 외국인 자금 유입이 필수적이지만 정치 논리에 가로막힌 현실을 비판한 것이다.
외국계 금융투자 업체에 가해지는 역차별도 문제로 꼽힌다. 최만연 블랙록자산운용 한국법인 대표는 “한국의 자본시장법 규제로 해외 자산운용사가 국내에 진출하면 역차별을 당하게 된다”며 “단순 지원 업무만 수행 가능하고 상품 판매나 설명 등에 제한이 많다”고 짚었다.
이는 고급 금융 인력 양성에도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최 대표는 “영업 제한으로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금융투자 업체는 인력을 뽑는 데도 한계가 있다”며 “한국 청년들을 고용해 글로벌 금융회사의 경험을 쌓게 해주고 싶어도 규제에 막혀 답답할 따름”이라고 하소연했다. 싱가포르와 룩셈부르크 등 글로벌 금융 강국 대비 높은 세율과 경직된 고용 시장도 외국계 금융투자 업체가 국내 시장을 외면하는 배경 중 하나다.
한국 경제가 성숙기에 접어든 만큼 외국인투자가 입장에서 새로 진입하기에 매력도가 떨어진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한국 시장의 성장 속도가 아시아 신흥국 대비 낮다 보니 외국계 금융투자 업체의 진입 요인이 크지 않다”면서 “글로벌 주요 금융투자사 대부분은 이미 국내에서 영업 중”이라고 말했다.
국내 금융투자 업체들의 경쟁력이 높아져 외국계가 살아남기 어려운 환경이라는 설명도 있다. 최희남 자본시장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은 “외국 증권사의 경우 국내 소매 영업을 노리고 진출하는데 국내 업체 대비 경쟁력이 떨어지다 보니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했다.
서종갑 기자 gap@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돌 그룹 '아스트로' 문빈, 숨진 채 발견
- [단독] 국회의원도 에코프로 투자 대박 노렸나…민주당 김경협 1년새 '60→1155주'
- '빨리 좌회전' 손님 지시에 격분해 흉기 휘두른 대리기사
- 피로 얼룩진 '물축제'…태국 '송끄란' 엿새간 232명 사망
- '먹방 유튜버' 웅이, 전 여친 폭행 보도에 '저 맞지만 사실과 달라'
- 5개월 아들 700만원에 판 中엄마…'쇼핑·도박에 탕진'
- [단독]'우울증 여학생' 노려 성폭행·마약…'디씨판 N번방' 터졌다
- 김용건 '105살까지'…‘여성’ 관심 많은 중년 남성, 오래 산다?
- '공연 중 사자가 우리서 튀어나왔다'…공포가 된 中 서커스
- 제주 입도세 추진 논란…“제주도민도 육지 올 때 돈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