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선물·옵션 상장종목 확대, 개인 공매도 투자 대안될 것" [제21회 서울국제A&D컨퍼런스]

이창훈 2023. 4. 20. 18: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패널토론 글로벌 경기 침체기 새로운 투자 기회, 개별 주식 선물·옵션
韓 주식선물·옵션종목 220개, 美 4500개
상장 종목 늘려 파생상품 활성화 나서야
비트코인·이더리움 선물 상장 등도 대안
파이낸셜뉴스가 2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2023 FIND·서울국제A&D컨퍼런스'에서 '국내주식 선물·옵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패널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오른쪽부터 신정훈 건국대 교수(좌장), 이수영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 박찬수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 본부장보(상무), 전균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이사,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 사진=박범준 기자
파이낸셜뉴스가 20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한 '2023 FIND·서울국제A&D컨퍼런스'에서 전문가들은 개별주식 선물·옵션 시장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상장종목을 확대하고, 상장시점을 늘리는 등 다양한 시도에 대해 소개하는 한편 비트코인 선물 상장 등 다양한 활성화 방안도 제시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파생상품은 경제주체가 예상 가능한 모든 상황에서 수익이나 상품 등을 제공해 완전시장으로 이끌어주고, 자산 하락 위험을 헤지(회피)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등의 순기능이 있다"면서도 "과거 개인투자자가 과도하게 참여했고, 손실 우려가 제기되면서 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크게 위축된 것이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가상자산 쏠림, 차액결제거래(CFD)나 3배 레버리지·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 거래 급증 등 풍선효과는 문제점으로 꼽았다. 특히 가상자산 시장에는 발행 및 불공정거래 규제가 부재하고, 상한가도 없다는 허점이 있다는 게 이 실장의 판단이다.

이 실장은 정책 제안으로 예탁금 제도 완화 혹은 폐지, 기관투자자 투자유인책 도입, 신상품 상장 확대 및 거래시간 활성화 등 3가지를 언급했다.

그는 "증거금 규제가 있는 상황에서 예탁금 제도는 중복제약으로 작용하고 있고 기관들이 포트폴리오 투자 및 헤지, 차익거래 목적으로 장내 주식 선물·옵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증권거래세 감면제 등 인센티브도 필요하다"며 "기초자산 대상을 코스피200, 코스닥150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있다"고 짚었다.

이 실장은 또 "가상자산 시장 건전화를 위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선물 상장도 고민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개별주식·옵션 상장종목 확대

한국거래소는 올해 개별 주식 선물·옵션시장 활성화를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박찬수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 본부장보(상무)는 "국내 주식선물·주식옵션 상장주식 수가 미국에 비해 적다"며 "각각 177개, 42개 정도인데 미국은 4500개 이상"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올해 7월부터 단계적으로 상장종목을 획기적으로 늘리려고 한다"며 "코스피200 종목이나 코스닥의 글로벌 세그먼트 지수 등 시장별 대표지수에 속한 기초 주권들은 가능하면 주식 선물이나 주식 옵션으로 상장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매년 6~7월쯤에 정기 상장을 하는데 상장시점도 시장에서 필요한 종목에 대해선 1년에 2~3회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개인투자자들의 공매도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박 상무는 "개인의 경우 공매도를 하기 위해서는 주식 차입이 필요한데 기관에 비해 힘들고 비용도 높다"며 "공매도 수요가 있다면 주식선물을 하거나 주식옵션 풋거래를 하면 충분히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매도보다는 주식선물이나 주식옵션이 저렴하다"고 덧붙였다.

전균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이사는 기관의 투자 활용도 확대, 선물 및 옵션 시장 인프라 부족, 인덱스 선물 확충 등 3가지를 언급했다. 그는 "기관의 개별주식 선물 및 옵션의 활용도가 금융투자를 제외하고는 부족하다"며 "연기금이 참여하고 있지만 고난도 투자상품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상당 부분은 차익거래 관련 매매로 위험관리 측면에서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혁신적인 금융상품들이 더 나올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개별주식 인덱스 선물의 경우 시장의 위협을 통제하기 위한 상품으로서 경제적 순기능을 갖고 있어 더 많은 확충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규제 합리화도 적극 고민

이수영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은 "파생상품 시장 투자자들이 말하는 규제 합리화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라며 "필요하지 않은 부분이나 시장의 발전을 역행하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고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파생상품 시장을 더욱 활성화하는 것도 고민할 부분이지만 파생상품 시장이 가지는 투기성 시장에 대한 오명과 그에 가려진 긍정적인 부분을 발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상품의 구조 매력을 높이고, 새로운 수요에 더 맞은 상품 거래 인프라를 개발하는 업계 전반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가연계증권(ELS), 파생결합증권(DLS)은 1~2년 전만 해도 불완전판매 규제 논란이 있었다. 그동안 안정적이라고 해놓고 투자자 피해가 이어지는 그런 경험들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며 "투자자 보호 규제 완화와 파생시장에서 기대하는 긍적적 효과가 발현하는 상품이 같이 가야 한다"고 부연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