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 “韓 성장 장애물, 반도체 부진·선진국 성장률 저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의 장애물로 글로벌 반도체 경기 부진과 선진국의 성장률 저하를 꼽았다.
진자락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경제가 작년말부터 올해초 약세에서 (하반기) 점차적으로 회복될 것"이라면서 "작년 4분기에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0.4%였고, 올해 1분기 데이터도 아직 회복이 더딘 상태"라고 말했다.
앞서 ADB는 이달 아시아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5%로 전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 상승, 韓 물가 영향 제한적”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의 장애물로 글로벌 반도체 경기 부진과 선진국의 성장률 저하를 꼽았다.
ADB에서 한국 데스크를 맡는 요띤 진자락(Yothin Jinjarak) 시니어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18일(현지시각) 필리핀 마닐라 ADB 본부에서 한국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진자락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경제가 작년말부터 올해초 약세에서 (하반기) 점차적으로 회복될 것”이라면서 “작년 4분기에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0.4%였고, 올해 1분기 데이터도 아직 회복이 더딘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선진국 수입이 한국 수출의 절반을 차지하는데 이들 국가의 약화된 수요가 올해 한국 경제 성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최근 월별 데이터도 이러한 수출 약세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주된 수출 품목인 반도체의 세계적인 수요 침체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앞서 ADB는 이달 아시아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5%로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같은 전망치로, 기획재정부·한국은행·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1.6%)보다는 낮다.
진자락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미국과 유럽의 은행 부문 불안정 사례에서 보여지듯이 높아진 금리가 금융 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가 악화되는 경우 식품 및 에너지 공급망을 교란하게 되고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세계경제 리스크 요인들이 현실화되면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진자락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폐지에 대해선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요소로 간주했다.
그는 “중국의 해제 정책이 (작년) 12월에 시행되기 시작돼 이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가 아직 올해 초 데이터에 반영되고 있지는 않다”면서 “조만간 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중국의 경제 상황에 대해선 “(1분기)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이 2022년도 4분기 성장률(2.9%)보다 훨씬 높은 4.5%를 기록했다”며 “중국의 3월 소매판매 및 수출 모두 시장 기대치를 초과했으며, 부동산 판매도 2021년 중반 이후 처음으로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분석했다.
최근 주요 산유국들의 감산 조치 등에 따른 유가 상승이 한국 물가 상승세에 끼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그는 “중국의 수요가 확대되고 세계적으로 공급 제약이 지속됨에 따라 올해 중 유가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올해 브렌트유 평균 단가를 배럴당 88달러로 예상하는데 이는 작년도 평균(100달러)보다 12%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국 경제의 미래 위험 요인과 관련해서는 “고령화의 진전이 한국경제 성장 잠재력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고령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재정건전성 유지에 구조적인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생산성 증대를 위한 제언으로는 근로 인력 감소를 완충하는 자동화, 고급 이민 인력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고령 인력의 근로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ADB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사회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1966년에 설립된 국제기구다. 현재 한국을 포함해 역내 49개국, 역외 19개국을 회원국으로 두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증시한담] 증권가가 전하는 후일담... “백종원 대표, 그래도 다르긴 합디다”
-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주간코인시황] 美 가상자산 패권 선점… 이더리움 기대되는 이유
- [당신의 생각은] 교통혼잡 1위 롯데월드타워 가는 길 ‘10차로→8차로’ 축소 논란
- 중국이 가져온 1.935㎏ 토양 샘플, 달의 비밀을 밝히다
- “GTX 못지 않은 효과”… 철도개통 수혜보는 구리·남양주
- 李 ‘대권가도’ 최대 위기… 434억 반환시 黨도 존립 기로
- 정부효율부 구인 나선 머스크 “주 80시간 근무에 무보수, 초고지능이어야”
- TSMC, 美 공장 ‘미국인 차별’로 고소 당해… 가동 전부터 파열음
- [절세의神] 판례 바뀌어 ‘경정청구’했더니… 양도세 1.6억 돌려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