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만에 여성농악단 유랑무대 오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무 것도 몰라. 다 잊어버렸어."
우리나라 최초 여성농악단의 첫 상쇠 장홍도(93·본명 장봉녀). 2년 전이었다.
이 공연을 통해 최초의 여성농악단을 이끈 상쇠 장홍도와 노영숙(소고), 박복례(소고), 배분순(상장고) 등 남원 출신의 원로 여성예인들과 여성농악단의 마지막 소고잡이인 김운태(호남여성농악단), 이들을 계승하고자 태어난 평균 나이 30대의 연희단 팔산대가 만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2일 서울남산국악당서 ‘무풍’ 공연 무대
“아무 것도 몰라. 다 잊어버렸어.”
우리나라 최초 여성농악단의 첫 상쇠 장홍도(93·본명 장봉녀). 2년 전이었다. 망백의 여성상쇠는 뼛속 깊이 새겨진 ‘잊혀진 소리’들을 다시 꺼냈다. 60여년간 봉인된 기억이 해제되자, 무뎌진 감각은 빠르게 회복됐다. 여전히 강건한 소리가 쩌렁쩌렁 울렸고, 그 소리에 맞춰 손장단을 쳤다. 그 다음엔 북채를 잡았고, 마침내 꽹과리를 들었다. 원로 예인의 기량은 ‘공백’을 허용하지 않았다.
가무악을 아우르는 여성농악단은 ‘대한민국 최초’의 걸그룹이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5년 뒤. 남원국악원은 ‘남성 중심’의 농악단에 파격적인 아이디어를 던졌다. 젊은 나이의 여성이 중심이 되는 농악패를 결성하기로 한 것이다. 2년 뒤 남원여성농악단이 등장하자, 세상은 발칵 뒤집혔다. 이들은 전국농악대회를 비롯한 각종 경연대회를 석권했다. 그 뒤로 지역명만 바꾼 여성농악단이 줄줄이 등장, 1960~70대 팔도강산을 사로잡았다. 여성상쇠 장홍도(남원여성농악단)는 전국 최고 인기 걸그룹의 리더였다.
잊혀진 여성농악단의 주역들을 찾아낸 김양오 작가는 “당시 남원여성농악단이 생긴 이후 ‘춘향여성농악단’, ‘전북여성농악단’, ‘호남여성농악단’ 등 많은 단체들이 만들어져 유랑 공연을 했다”며 “서울공연을 가면 입장료를 가마니로 긁어모았고, 밤새 인두로 펴서 종이로 묶어둘 만큼 흥행했다. 단원들을 보쌈을 당할까봐 혼자 거리를 걷지도 못했다”고 말했다.
60년간 자취를 감췄던 여성농악단이 다시 유랑 무대를 시작한다. ‘무풍(舞風)’(4월 22일·서울남산국악당)을 통해서다. 2014년 초연한 ‘무풍’은 사라진 여성농악단을 계승한 연희단 팔산대의 대표 공연이다.
이 공연을 통해 최초의 여성농악단을 이끈 상쇠 장홍도와 노영숙(소고), 박복례(소고), 배분순(상장고) 등 남원 출신의 원로 여성예인들과 여성농악단의 마지막 소고잡이인 김운태(호남여성농악단), 이들을 계승하고자 태어난 평균 나이 30대의 연희단 팔산대가 만난다.
‘채상소고춤’의 명인 김운태는 호남여성농악단 단장 김칠선의 아들이다. 성별을 구분하기 어려운 유년시절, 모친을 따라 농악단에서 활동한 그는 “어려서부터 하늘을 제비처럼 날아다녔다”는 평을 들었다. 그러다 1995년 대학로에 서울두레극장을 세우고 아주머니가 된 옛 단원들을 모아 연습을 시키며 여성농악의 명맥을 이어갔다.
올해 공연이 더 특별한 것은 세대와 역사를 관통하는 무대라는 점에 있다. 김양오 작가는 이 공연에 대해 “30대부터 90대까지 신구 세대를 아우른 무대”라고 했다. ‘무풍’은 여성농악단의 연희를 복원, 열두 거리( ‘문굿’, ‘만고강산’, ‘풍물굿’, ‘소고춤’, ‘남도민요’, ‘오채질굿’, ‘오방진’, ‘장한몽’, ‘학춤’, ‘민살풀이춤’, ‘팔산장구춤’, ‘채상소고춤’)를 담아낸다. 이 공연의 명장면은 ‘농부가’다.
김 작가는 “60년 만에 원로 예인들이 서는 이 공연은 어쩌면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찰나의 부활이다. 사라진 여성농악의 원류를 기록으로 남긴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고 말했다. 공연을 기획하고 연출을 맡은 진옥섭 연출가는 “농악의 맨 앞에는 꽹과리가 서고, 제일 끝에는 소고가 선다. ‘무풍’은 여성농악인 첫 상쇠와 마지막 소고잡이가 어우러져 역사를 시작하고 끝맺는 무대가 되리라 본다”며 “이들의 역사를 3D 공연 영상물뿐만 아니라 3D 다큐 영화로도 만들어 기록하고 기억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승희 기자
sh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개그맨 서세원, 캄보디아 병원서 사망…향년 67세
- 아스트로 문빈, 자택서 숨진 채 발견
- 송중기, 편안한 차림에 반려견과 행복한 시간…케이티는 어디?
- “쿠팡 때문에 영화관 망하겠네” 4900원에 2만원짜리 영화 무제한 제공
- "도와줘"→"필요없어"→"도와줘"…백종원에 다시 'SOS' 예산시장
- “손톱 관리 뒤 갑자기 침대서 속옷 벗어”…전직 프로게이머, 네일샵서 알몸 소동
- 서정희, 서세원 사망소식에 “가짜 뉴스 아니냐?”
- “싸다고 샤오미 사지 마세요?” 1만원 파격 ‘삼성폰’ 이렇게 나온다
- “이게 한국 거였어?” 안달난 일본인들 엄청나게 돈 썼다
- 김다예 “김용호, 박수홍 이용해 3억4200만원 벌어…공범도 고소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