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이라는 ‘거지방’ 가보니…씁쓸한 현실 ‘해학’으로 풀어 [이슈+]

조성민 2023. 4. 19. 21: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비 상황 서로 공유하고 평가받아…‘기만’은 기프티콘형
‘체감경제고통지수’ 전연령대서 청년이 최고인 현실반영
청년 실업률, 평균 두 배 넘어…그냥 쉰 청년 50만명 육박
‘다중 채무자’ 전락한 저소득·저신용 청년 1년새 4만명 ↑
‘제가 뼈가 되고 살이 되는 이야기 올려드릴게요.’
‘뼈가 되고 살이 되는 치킨이나 올려주세요.’
 
최근 절약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자신의 소비를 서로 평가해주는 ‘거지방’이 유행이다. 카카오톡 오픈채팅에서 19일 거지방을 검색해보니 수백개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곳에 모인 이들은 스스로를 ‘거지’라고 부르고 자신보다 나은 사람들을 ‘기만자’라고 불렀다. 기만하는 글을 올리면 기프티콘을 뿌려야 하는 규칙도 두고 있었다. 점심시간이 되면 컵라면, 삼각김밥 등 사진을 올리고, 서로 비교하기도 했다.
2030세대가 중심이라는 거지방에서 청년들은 고물가와 높은 청년 실업이라는 씁쓸한 현실을 ‘해학’으로 풀어내고 있었다. 누군가 ‘서울에 사는건 사치인가요’라고 묻자, 즉각 ‘사치입니다’라는 답이 올라왔다. ‘아이돌 앨범 구매를 중단하는 방법 없나요’라고 한탄하는 이에게는 ‘본인이 아이돌이 된다’라는 해답을 내놨다. ‘광화문가서 텀블러 받았어요 공짜고 세시간 기다림’이라는 정보가 공유되거나, 전국 무료급식소 위치를 알려주기도 했다.
◆사치소비 옛말…청년 체감 경기 심각한 수준

이러한 문화는 청년들이 체감하는 경기 침체의 심각성과 무관하지 않다. 일각에서는 미래에 대한 걱정 때문에 사소한 소비조차 줄여야만 하는 젊은 세대 입장이 자조적으로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불과 몇년 전 ‘카푸어’, ‘파이어족’, ‘YOLO’ 등 젊은 세대 명품과 사치품 소비가 주목받았던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지난달 통계청에 따르면 사실상 실업상태이나, 구직활동도 하지 않은 청년이 50만명에 육박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쉬었다’고 응답한 15∼29세 청년은 49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9.9% 늘어난 규모로, 2003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다. 취업이 어려워지자 구직 시장에서 이탈하거나 ‘포기’한 이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청년층 실업률은 7.0%로 평균 실업률(3.1%)의 두 배를 웃돌았다. 청년들이 느끼는 체감 실업률은 17.9%를 기록했다.

이렇다 보니 상대적으로 고물가로 인한 고통도 청년세대가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다. 지난해 11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 조사에서 청년층(15~29세)이 체감하는 물가 상승 등에 따른 경기 악영향의 고통 정도는 25.1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체감 경제 상황을 수치로 나타낸 경제고통지수는 지난 1월 전체 평균 8.5로 같은달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종전 최고 기록은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1월의 8.5 였다.
◆다중 채무자 된 청년도 계속 늘어

빚내는 청년도 늘고 있다.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 채무자면서, 신용등급이 낮거나 소득이 적은 30대 이하 청년층이 작년 한 해에만 4만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 경제위기대응센터 자문위원장)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청년층 취약차주는 46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취약차주(126만명)의 36.5%다. 한은은 3곳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다중 채무자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한다.

전체 취약차주 수는 1년 동안 6만명 증가했는데, 30대 이하 청년층에서만 4만명 늘었다. 지난해 말 전체 가계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93조9000억원으로, 1년 전(92조8000억원)과 비교해 1조1000억원 증가했다.

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가 늘어나면서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 연령대에서 다시 오르는 추세다. 연체율은 30일 이상 연체 전액 합계를 30일 이상 대출 잔액 합계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지난해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30대 이하 0.5%, 40·50대 0.6%, 60대 이상 0.7%로 집계됐다. 모두 1년 전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특히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 채무자의 연체가 급증했다. 지난해 말 기준 다중 채무자의 연체율은 1.1%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올랐다. 다중 채무자의 연체액은 6조4000억원으로, 1년 전(5조1000억원) 대비 1조3000억원 증가했다.

진선미 의원은 “고금리 추세에서 취약차주의 대출과 연체가 늘면서 이자 부담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있다”며 “국민의 이자 부담을 낮추기 위한 더불어민주당의 민생금융 위기 대응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성민 기자 josungm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