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한국, 우크라 무기 지원?···우리도 북한에 무기 줘볼까”

김서영 기자 2023. 4. 19. 19: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크렘린궁 “무기 지원은 분쟁 개입 의미”
안전보장이사회 부의장 “북한에 러시아 무기···대가성”
주한 러 대사관 “한-러 관계 망칠 것···한반도 안보에도 부정적 영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7일(현지시간)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의 말을 듣고 있다. AP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군사적 지원 가능성을 열어둔 것을 두고 러시아가 “이는 일정 수준의 분쟁 개입을 의미한다”며 경고성 메시지를 연이어 내놨다. “한국 국민들이 북한의 러시아 무기를 보면 뭐라고 말할지 궁금하다”고도 했다.

19일(현지시간) 타스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분명히, 어떤 형태로든 무기를 지원하는 건 이 분쟁에 일정 수준 개입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있어서 한국이 그동안 러시아에 비우호적인 입장을 취해왔고, 무기 지원 가능성은 이러한 입장의 연속 선상에 있는 것이라고 봤다. 그는 “유감스럽게도 제재나 기타 등등에 대해선 새로울 것이 없다. 이에 대해 한국은 러시아에 꽤 비우호적이었다. 자연히, 더 많은 나라를 이 분쟁에 직접적으로 끌어들이려는 시도들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안전보장이사회 부의장 역시 이날 텔레그램에 “우리의 적들을 도우려는 새로운 열성팬들이 등장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원론적으로 한국이 키이우 정권에 무기를 제공할 준비가 돼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어 메드베데프 부의장은 “최근까지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제공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했다고 장담해왔다”면서 “한국 국민들이 그들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우리의 파트너인 북한의 수중에 러시아의 최신 무기가 있는 것을 보면 무엇이라 말할지 궁금하다”고 했다. 그는 이어 “그들이 말하듯, 받은 만큼 돌려주겠다(quid pro quo·대가성)”고 덧붙였다.

주한 러시아대사관도 홈페이지에 “한국은 키이우 정권의 군사 후원자 그룹에 참여해 살상 무기를 제공하는 결정이 초래할 부정적 결과를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행동은 지난 30년간 양국의 이익을 위해 건설적으로 발전해온 러-한 관계를 파괴할 것”이라고 했다. 대사관은 또한 “한반도 안보 상황의 맥락에서 우리의 양자 상호 작용에 매우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우리는 한국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책임있는 접근을 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 학살, 심각한 전쟁법 위반과 같이 국제사회가 용납할 수 없는 상황이 있다면, 우리가 인도주의적 또는 재정적 지원만 주장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민간인의 대규모 희생 등을 전제로 하긴 했지만,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인도적·재정적 지원 이상을 할 수도 있음을 처음으로 언급한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미국 등 서방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도록 압박해 왔으나 한국은 국내 규정상 이를 거절해 왔다. 한국이 이러한 기존 입장을 바꿀 수 있다는 신호를 최초로 보내며 무기 지원 가능성을 열었다고 로이터는 평가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과 함께 러시아에 대한 제재에 동참한 한국을 비우호적 국가로 지정한 바 있다. 러시아가 한국을 직접 거론하며 무기 지원에 대해 경고한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두 번째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28일 국제 러시아 전문가 모임인 ‘발다이 클럽’ 회의에서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와 탄약을 제공하기로 결정한 것을 알고 있다”며 이 경우 양국 관계가 파탄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김서영 기자 westzer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