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장애인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청각장애 증가세
지체장애 최다지만 감소세…지난해 신규등록 32%는 청각장애
지난해 기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760여 곳서 2만여 명 근로 중
20~21일 서울 청계광장서 장애인생산품 홍보장터…시식도 가능
초저출산과 맞물린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정부 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장애인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 고령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중이 가장 높은 지체장애는 감소세인 반면 청각장애와 발달장애 등은 뚜렷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제43회 '장애인의 날'(4월 20일)을 앞두고 2022년도 등록 장애인 현황통계를 19일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등록장애인은 총 265만 286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 대비 5.2%다.
재작년(264만 4700명·전체 인구의 5.1%)보다 소폭 늘었다. 등록장애인 비율은 등록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등록장애인 관련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2010년 이후 줄곧 전 국민의 5%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등록장애인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장애인이 23.6%(62만 6388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70대(57만 3767명·21.6%)→80세 이상(51만 8131명·19.5%)→50대(41만 764명·15.5%)→40대(22만 897명·8.3%) 등의 순이었다.
10대(6만 1463명·2.3%)와 20대(9만 5840명·3.6%), 30대(11만 2321명·4.2%)는 각각 5% 미만으로 집계됐다.
전체 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의 비율은 지난해 기준 52.8%(140만 1523명)에 달한다. 2010년 37.1%(93만 4634명)→2015년 42.3%(105만 3364명)→2020년 49.9%(131만 4625명) 등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작년 기준 65세 이상 전체 인구(926만 7290명)의 15.1%가 등록장애인이다.
15개로 분류되는 장애유형 중 최다 유형은 지체장애(44.3%)였고, △청각장애 16.0% △시각장애 9.5% △뇌병변장애 9.3% △지적장애 8.5% 등으로 나타났다. 희소 장애유형은 뇌전증장애(0.3%), 심장장애(0.2%), 안면장애(0.1%) 순이었다.
다만, 연도별 추이를 보면 2011년 과반(52.9%)이었던 지체장애는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반해 청각장애는 2011년 10.4%에서 지난해 16.0%로 올랐고, 발달장애도 같은 기간 7.2%에서 9.9%로 증가했다. 신장장애(2011년 2.4%→2022년 4.0%)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장애 정도에 따라 나눠보면 심한 장애인은 37.1%(98만 3928명), 심하지 않은 장애인은 62.9%(166만 8932명)로 파악됐다. 성별로는 남성 장애인(57.8%·153만 4655명)이 여성 장애인(42.2%·111만 8205명)보다 다소 많았다.
등록장애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경기(22.0%·58만 4834명)였고, 주소지가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0.5%·1만 2863명)이었다. 서울은 등록장애인의 14.8%(39만 1859명) 정도가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신규 등록한 장애인(7만 9766명) 중에서는 70대(24.7%·1만 9691명)와 80대 이상(20.0%·1만 5981명)이 절반 가까이 됐다. 장애유형으로는 청각장애(32.0%)가 가장 많았다.
정부는 고령인 장애인의 등록 증가가 청각장애 등의 비율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복지부 염민섭 장애인정책국장은 "정부는 매년 장애유형과 연령, 지역 등 주요 지표별 통계를 발표해 누구든지 장애인등록 현황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장애인정책 개발 및 관련 연구에서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는 작년 말 기준 792곳에서 2만 819명의 장애인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일반 작업환경에서 근무하기 어려운 장애인이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을 받거나 직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이다. 근로사업장, 보호작업장, 직업적응훈련시설 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직업재활을 지원받고 있는 장애인은 중증장애인이 약 90%(1만 9천여 명), 발달장애인이 80%(1만 7천여 명) 가량 된다. 시설 유형별로는 근로사업장 70곳, 보호작업장 682곳, 직업적응훈련시설 40곳 등이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지난 2019년 683곳(1만 9056명)→2020년 720곳(1만 9734명)→2021년 773곳(2만 504명) 등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복지부는 이들이 안정적으로 판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은 총 구매액의 1% 이상을 중증장애인생산품으로 의무 구매토록 하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를 운영 중이다.
복지부와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는 '장애인의 날' 당일인 20일과 21일, 이틀간 서울 청계광장에서 '2023 장애인생산품 전시·홍보 장터'도 개최한다. 장애인생산품에 대한 홍보와 인식 개선을 통해 민간시장을 넓히려는 취지로 2016년 이후 매년 열리는 행사다.
이번 장터에는 전국 49개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이 참가해 가공식품, 생활용품, 사무용품 등 260여 개의 장애인생산품을 전시·판매한다. 품목은 문구와 물티슈 및 화장지 등의 생활용품부터 가방·패션잡화·반려식물키트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식음료는 직접 맛볼 수 있도록 시식관과 시음관도 운영한다. 해당 시설들은 떡과 음료(식혜·수정과·아메리카노 등), 수제초콜릿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염민섭 국장은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사회서비스 중 직업의 기회를 제공하는 직업재활시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며 "장애인이 근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장애인생산품에 대한 국민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정부도 장애인생산품이 더욱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이은지 기자 leunj@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 망가질 것" 학부모에 협박 편지 쓴 교사…스토킹 혐의도
- PD수첩 'JMS' 엽색행각 고발…"전신 석고상 뜨다 기절도"
- 2분 일찍 울린 수능 종료종…법원 "국가, 700만원씩 배상"
- 행인들 차로 치고 돈 뿌린 BMW 운전자…法 "사형"
- 100m 6초대? 마라톤 대회서 '자동차' 탄 선수 들통
- 신생아 '1만 명' 만난 베테랑 의사가 말하는 '산부인과 의사생활'
- 尹, 방미 경제외교 주요 키워드는 '공급망·첨단과학기술·투자유치'
- 등록장애인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청각장애 증가세
- 고성 산불 4년 만에 피해보상 '첫 판결' 주목
- 종업원에 '배설물-개사료' 먹인 '자매 포주'…항소심 감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