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기원은 우한', 인·태 전략 등 美의회는 온통 中 관련 논의로 분주
해군 전략과 CPTPP 등 다양한 분야 걸쳐 中 논의 진행
(서울=뉴스1) 이유진 기자 = 18일(현지시간) 미국 의회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인도태평양 전략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전반적으로 중국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특히 코로나19의 사태의 기원은 우한 연구소에서 비의도적으로 유출됐다는 내용 등도 포함돼 관심이 주목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이날 미 의회에선 각종 소위원회가 진행됐는데, 최근 미국과 중국의 고조된 긴장관계를 증명이라도 하듯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반적으로 중국에 대한 논의가 펼쳐졌다.
특히 미국 상원 보건위원회가 위촉한 전문가들이 18개월간 동안 미국 정부 문서와 의학 논문, 언론 보도 등을 분석해 코로나19의 기원을 추적한 결과 중국 우한의 연구소에서 비의도적으로 발생한 유출 사고가 코로나19 사태의 기원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당시 보건부 차관보를 지냈던 로버트 캐들랙 박사가 이끈 전문가팀은 300여페이지의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정황 증거들을 제시하면서, "코로나19 사태는 연구소에서 비의도적으로 발생한 유출 사고가 기원이라는 주장을 많은 정황 증거가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전문가팀은 코로나19의 등장 시기를 2019년 10월28일부터 11월10일 사이로 추정했는데, 중국 인민해방군과 관련된 연구자가 비슷한 시기인 2019년 11월부터 코로나19 백신 연구에 착수했다.
또 코로나19의 발원지로 의심되는 우한바이러스연구소에 갑자기 생물학적 안전규칙 강화 조치가 당시 내려졌고, 베이징 고위 보건인사가 우한에 파견됐다.
해당 바이러스가 연구소에서 유출됐다는 확실한 물증은 나오지 않았지만, 연구팀은 이날 청문회에서 이처럼 공식 주장했다.
보고서는 야생동물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숙주였다는 주장에 대해선 "증거가 없다"며 연구소 유출설에 무게를 뒀다.
이 같은 결론은 최근 미국 에너지부와 연방수사국, FBI가 내린 결론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존 랫클리프 전 미국 국가정보국장 "팬데믹 초기, 정부 기밀에 접근할 수 있었던 사람으로서 기밀정보와 과학, 상식에 입각한 저의 판단은, 실험실 유출이 유일한 설명이라는 것"라고 주장했다.
현재 국가정보위원회(NIC)와 4개 정보기관은 바이러스 자연발생설에 무게를 두는 등 미국 내에서도 코로나19 기원을 놓고서는 여전히 이견이 있다.
랫클리프 전 국장은 코로나19 기원을 두고 같은 방향으로 결과를 내기 위해 관련 기관과 계속 협의해가겠다고 부연했다.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기원설에 대한 가능성은 더욱 낮아지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우한 연구소에서의 비의도적 유출설에 거듭 무게를 실었다.
소위원회 역시 이 같은 결론에 잠정적으로 동의해 최종 결론을 지을 것으로 보인다고 매체는 전했다.
◇ 다양한 분야 걸쳐 밤 늦게까지 中관련 청문회 일정 '빽빽'
또 다른 중국 관련 소위원회에선 중국의 함대 규모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카를로스 델 토로 해군 장관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를 위해 힘써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우리는 진화해야 하고 혁신할 수 있어야 효율적으로 싸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공지능, 극초음속 무기, 인력 및 기타 우선순위에 대한 자금 지원을 주장하면서 "군 설계나 해군 작전을 비판하는 사람들 중 일부는 인도-태평양에서 위협이 매우 많이 변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주 미국에 대한 중국의 위협 등을 주제로 중국에 대한 청문회가 빽빽하게 진행되고 의회 일정을 가득채웠고, 저녁 늦게까지 관련 논의가 이어졌다.
미 국방부 관리들은 미국의 핵추진 공격 잠수함 프로그램을 예정보다 늦추고 대만으로의 무기 수송을 방해한 조선소와 탄약 공장의 유지보수 지연, 연료 유출 및 제조 지연에 대해 더 나은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해군 관계자들은 미국이 2030년까지 460척의 함정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 해군을 추적한다는 생각을 거부하고 미 함대의 높은 품질과 펜타곤이 56척의 함정을 건조 중이고 77척이 계약 중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아시아·태평양 11개국이 참여하는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CPTPP는 아·태 지역 11개국이 참여한 다자간 FTA로, 미국이 주도했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미국이 탈퇴한 뒤 일본을 비롯한 나머지 국가가 2018년 12월 출범시켰다. 최근 영국까지 정식 가입을 마치며 현재 일본, 호주, 브루나이, 캐나다, 칠레, 말레이시아, 멕시코, 뉴질랜드, 페루, 싱가포르, 베트남 등 12국이 참여하고 있다.
중국도 현재 CPTPP 가입을 신청해둔 상황이다. 미국에서도 이에 적절한 대비를 해야 한다는 논의가 중점적으로 나오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rea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한달 120 줄게, 밥 먹고 즐기자"…편의점 딸뻘 알바생에 조건만남 제안
- 지퍼 열면 쇄골 노출 'For You♡'…"이상한 옷인가?" 특수제작한 이유에 '반전'
- "순하고 착했었는데…" 양광준과 1년 동고동락한 육사 후배 '경악'
- 숙소 문 열었더니 '성큼'…더보이즈 선우, 사생팬에 폭행당했다
- 미사포 쓰고 두 딸과 함께, 명동성당 강단 선 김태희…"항상 행복? 결코"
- "로또 1등 당첨돼 15억 아파트 샀는데…아내·처형이 다 날렸다"
- "자수합니다"던 김나정, 실제 필로폰 양성 반응→불구속 입건(종합)
- '나솔' 10기 정숙 "가슴 원래 커, 줄여서 이 정도…엄마는 H컵" 폭탄발언
- '55세' 엄정화, 나이 잊은 동안 미모…명품 각선미까지 [N샷]
- "'누나 내년 35세 노산, 난 놀 때'…두 살 연하 예비신랑, 유세 떨어 파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