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만 ‘영케어러’ 900명…“2명 중 1명 월소득 100만 원 이하”

사지원 기자 2023. 4. 19. 1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학생 손모 씨(21)는 위암 투병 중인 80대 할머니와 둘이 산다.

주민센터와 종합병원 등을 통해 모집한 2988명이 조사에 참여했고, 이 중 가족돌봄청년으로 판단되는 응답자는 900명으로 집계됐다.

가족 중 돌봄 대상자는 할머니·외할머니가 28.2%(229명)로 가장 많았고, 아버지(26.1%, 212명), 어머니(25.5%, 207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News1 DB
대학생 손모 씨(21)는 위암 투병 중인 80대 할머니와 둘이 산다. 2021년 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면서 갑작스럽게 집안의 ‘가장’이 됐다. 평일엔 태권도 사범 일을 하면서 월 130만 원을 벌고, 주말에는 거동이 불편한 할머니의 약을 챙기고 집안일을 하는 등 ‘돌봄노동’을 담당한다. 시간을 쪼개 일과 간호를 병행하기 위해 지난해는 휴학까지 해야 했다. 손 씨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수입이 많이 줄었다”며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돈을 열심히 벌고 있지만, 항상 생활비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 가족돌봄청년, 서울에 900명


서울시가 19일 손 씨처럼 몸이 아픈 가족을 돌보고 있는 이른바 ‘영케어러(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주민센터와 종합병원 등을 통해 모집한 2988명이 조사에 참여했고, 이 중 가족돌봄청년으로 판단되는 응답자는 900명으로 집계됐다.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는 ‘장애, 정신 및 신체 질병 등의 문제를 가진 가족을 돌보는 14~34세 사람’을 가족돌봄청년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실태 조사 주요 결과>

연령


인원(명)
비율(%)
성인
616
69
대학생
108
12
등학생
146
16
학교 밖 청소년
30
3

소득
월 소득
인원(명)
비율(%)
100만 원 미만
409
45
10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
183
20
200만 원 이상~300만 원 미만
214
24
300만 원 이상~400 원 미만
60
7
400만 원 이상
34
4

조사 결과 가족돌봄청년으로 추정되는 900명 중 30% 가량이 중·고등학생 또는 대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900명 중 대학생은 12%(108명), 중·고등학생은 16%(146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학업 또는 취업 활동에 전념해야 할 시기에 가족 돌봄을 맡으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성인은 69%(616명), 학교밖청소년은 3%(30명)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66%(598명)으로 남성(34%·302명)보다 더 많았다. 가정 내 돌봄노동이 여성에게 쏠리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가족 중 돌봄 대상자는 할머니·외할머니가 28.2%(229명)로 가장 많았고, 아버지(26.1%, 212명), 어머니(25.5%, 207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돌봄 대상자가 여러 명이 있는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청년 중 중·고등학생과 학교밖청소년이 돌보는 가족은 조부모인 경우가 많았고, 대학생이나 일반성인은 상대적으로 부모를 많이 돌보고 있었다.

● “절반 정도가 월 100만 원 미만 소득”

가족돌봄청년의 개인 소득은 전반적으로 낮았다. 100만 원 미만이 45%(409명)으로 절반에 가까웠고, 10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 청년들도 20%(183명)이었다. 이어 △200만 원 이상 300만 원 미만 24%(214명) △300만 원 이상 400만 원 미만 7%(60명) 등으로 조사됐다.

가족돌봄청년이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도 경제적 어려움이었다. 서울시에 따르면 설문지에서 제시된 22개 어려움 유형(5점 만점) 중 가족돌봄청년들은 돌봄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3.22점)’과 ‘주거비 부담(3.22점)’을 가장 크게 느낀다고 답했다. △가족 구성원 간 관계(3.19점) △문화·여가 활동(3.17점) △기초생활 해결(3.13점) 등도 어려운 부분으로 꼽혔다. 또 이들은 △생계 △돌봄 △금융·사회·여가 △상담 △학습·취업 순으로 외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서울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청년이 제도권의 복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가족돌봄청년을 조기에 발굴할 수 있도록 학교, 병원, 동주민센터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가족돌봄청년 지원 전담기구(가칭)’을 꾸려 청년 개별 상담 및 사례 관리를 실시한다. 또 가족을 돌보면서 사회적 고립감과 우울감을 느끼는 청년들을 위해 돌봄 경험자와의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는 자조모임을 꾸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