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수송 운행률 저조·시민 알림 늑장"…창원시, 시내버스 파업 대응 빈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창원 시내버스 노조가 19일 파업에 돌입해 시민 불편이 이어지는 가운데 창원시 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다.
수일 전부터 파업을 감지하고도 실제 시민에게 알린 것은 하루 전 늦은 밤이었고, 비상수송 대책으로 투입한 임시 버스 수도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창원시는 파업을 선언한 9개 업체 소속 버스 724대(전체 767대 중 93.4%)를 대체하기 위해 이날 오전 5시부터 전세버스 142대와 시청 공용버스 10대 등 152대를 57개 버스 노선에 긴급 투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일 전 파업 예고에도 전날 알려 불편
市 "관광 수요·수학여행 겹쳐 수급 안돼"
경남 창원 시내버스 노조가 19일 파업에 돌입해 시민 불편이 이어지는 가운데 창원시 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다. 수일 전부터 파업을 감지하고도 실제 시민에게 알린 것은 하루 전 늦은 밤이었고, 비상수송 대책으로 투입한 임시 버스 수도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창원시는 파업을 선언한 9개 업체 소속 버스 724대(전체 767대 중 93.4%)를 대체하기 위해 이날 오전 5시부터 전세버스 142대와 시청 공용버스 10대 등 152대를 57개 버스 노선에 긴급 투입했다. 또 시는 기존 시내버스와 동일한 노선을 오가는 임차택시 800대도 운행했다.
그러나 이날 임시로 투입한 버스와 택시의 운행률이 기존 버스 운행의 34%에 그치면서 아침 출근길 교통대란을 피하진 못했다. 이는 2020년 파업 당시 운행률 65%와 비교하면 절반에 그치는 수준이다. 2020년 당시에는 버스 489대(4개 업체)가 멈춰 올해보다 235대가 적었으며, 시는 당시 전세버스 150대와 공용버스 11대 등 161대와 임차 택시 300대를 투입했다. 올해는 이보다 더 많은 버스가 멈췄지만 3년과 비슷한 수준의 임시 차량을 투입한 것이다.
창원시는 전세버스와 임차택시를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지만 버스와 택시 부족으로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파업에 대비해 지난주부터 전세버스 계약을 시작했지만 봄 행락철 관광과 학생 수학여행이 늘어나면서 수급이 원활하지 못했다”며 “부산에서 겨우 전세버스를 확보했다”고 해명했다.
시민에게 통보한 시점도 늦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월부터 버스 노사의 임금·단체 협상이 시작됐고 지난 11일 파업 투표를 거쳐 오는 19일 파업이 예고됐는데도 하루 전날인 18일 오후 9시 34분이나 되어서야 시내버스 파업 가능성을 알리는 안내 문자를 처음으로 발송하고 오후 9시 51분 시 누리집에 배차간격·시간 등 관련 안내문을 게재했다. 또 파업 당일 첫 차 운행시간인 5시10분 노조 최종 협상이 결렬됐지만 5시45분에 안내 문자를 보내 일부 시민이 혼란을 겪었다. 시 관계자는 “마지막 협상이 자정을 넘어 이어지자 노조 측이 첫 차는 정상 운행하기로 했다가 이를 번복하면서 생긴 문제”라며 “문자 통보가 늦었던 건 시스템에 에러가 생겼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창원시가 2019년 준공영제를 도입한 이후 매년 수백억 원을 지원하고도 노사 중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노사와 한자리에서 대면한 적은 없지만 창원시 노사특보가 각각 자리를 마련하는 등 중재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승룡 창원시 교통건설국장은 “여러 가지 미흡하게 대응한 부분이 있었다”면서 “시민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 불편하지 않도록 사태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