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만에 구독 1위...KBS교향악단, 유튜브 생태계 흔들다

2023. 4. 19. 11: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독자 0.4만명→5.4만명 13배 급증
조회수 평균 551회서 340만회 껑충
전문·대중성 투트랙으로 업계 평정
2022년 4월까지 구독자 4000명에 불과했던 KBS교향악단 유튜브 채널이 4개월 만에 업계 1위로 올라섰다. 현재 구독자는 무려 5만 4600명에 달한다. [KBS교향악단 유튜브 채널 캡처]

2022년 4월까지 구독자 숫자는 고작 4000명. 평균 조회수는 551회, 댓글은 0.5개에 불과했다. 악플보다 무섭다는 ‘무플’의 청정지대였다. 2023년 4월,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다. 구독자는 5만4600명으로, 무려 13배나 뛰었다. 최고 조회수는 340만회, 평균 조회수는 31배 증가한 1만 7994회, 댓글은 265배 늘어난 평균 133개에 달한다. 불과 1년 사이에 벌어진 일이다.

지난해 2월 유튜브 채널 실태 조사 당시 국내 교향악단 중 4위였던 이 악단은 국내 3대 오케스트라(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서울시향, KBS교향악단) 중 누가 봐도 ‘꼴찌’였다. 민간 오케스트라보다도 구독자 숫자가 낮았다. KBS교향악단 이야기다.

국내외 경쟁 악단을 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인 베를린 필하모닉(47만3000명)을 필두로 무수히 많은 악단들이 유튜브 생태계에서 존재감을 발하고 있었다. 서울시향 차기 음악감독, 얍 판 츠베덴이 이끄는 뉴욕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11만 명, 런던필하모닉 오케스트라 6만9000명의 구독자를 확보하고 있다. 클래식 인구의 저변이 얕은 한국에서도 서울시립교향악단이 2만5900명,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가 1만6800명의 구독자를 갖고 있었다. ‘유튜브 시대’에 구독자 4000명은 너무도 빈약했던 것. KBS교향악단은 곧바로 전략 수립에 돌입했다.

지난해 4월 채널 개편을 마친 KBS교향악단은 최근 ‘클래식 계의 이단아’로 떠올랐다. 변화가 극적이다. 현재 구독자 숫자로는 국내 오케스트라 중 1위. 최정상에 오르기까지 불과 4개월 밖에 걸리지 않았다. 고작 단 한 명이 운영하고 있는 채널은 ‘철저한 전략’과 ‘편집 방향성’으로 클래식 악단의 유튜브 생태계를 완전히 뒤집었다.

2022년 4월까지 구독자 4000명에 불과했던 KBS교향악단 유튜브 채널이 4개월 만에 업계 1위로 올라섰다. 현재 구독자는 무려 5만 4600명에 달한다. [KBS교향악단 유튜브 채널 캡처]

▶전문성과 대중성...투 트랙 전략=KBS교향악단 유튜브는 대중성과 전문성의 ‘투 트랙’ 전략으로 운영 중이다. 이 채널을 운영하며 영상 기획, 촬영, 편집, 제작까지 도맡고 있는 서영재 공연사업팀 사원은 “대중성 있는 콘텐츠로 클래식 음악에 흥미를 줘 새로운 구독자를 만들고 영상 소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신규 영입된 구독자를 악단의 관객으로 유입하는 전략을 세웠다”고 말했다.

사실 세계적인 교향악단의 유튜브 채널은 좀 심심하다. 대부분 공연 중계 영상을 게재하는 데에 그친다. 서 사원은 “이러한 접근이 현재 전 세계 주요 악단들의 ‘트렌드’”라고 설명했다. 티켓을 구하기도 어려운 공연인 만큼 악단의 연주를 다시 감상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채널의 존재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KBS교향악단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접근했다. 클래식 음악의 진입 장벽이 높은 국내 상황을 반영해 대중성에 전문성을 가미했다. 서 사원은 대학에서 트럼펫을 전공, 학창시절 클래식 채널을 운영한 1세대 클래식 크리에이터다. 이후 2020년 소프라노 조수미의 클래식 채널을 1년 간 담당하기도 했다. 심지어 KBS교향악단에서 객원 단원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KBS교향악단에선 1주일에 적게는 2개, 많게는 6~7개까지 콘텐츠를 올린다. KBS교향악단에 따르면 구독자 증가 조짐이 시작된 영상은 2022년 6월 17일 올린 로스트아크 기획공연의 지휘자 코멘터리 영상이다. 지금까지도 34만 조회수를 기록 중이다. 이 영상은 당시 인기 급상승 동영상 28위에 오르기도 했다.

역대 최고 조회수 영상은 지난 3월 15일 올라온 팀파니가 찢어진 영상(340만회)이다. ‘편집의 힘’이 절묘했다. 7대의 카메라가 4K로 생생하게 담아낸 영상이 당시의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고, 팀파니 연주자의 긴박한 상황을 생생하게 살렸다. 마지막 장면까지 완벽했다. 이스라엘 출신의 지휘 거장 엘리아후 인발의 인자한 너털 웃음이 ‘화룡점정’이었다. 서 사원은 “당시 상황을 보며 이건 되겠다 싶었다”며 “모든 스토리엔 기승전결이 필요하다. 흐지부지하게 마무리하면 안된다는 생각에 스토리텔링을 넣었다”고 말했다.

KBS교향악단 유튜브 채널의 역대 최고 조회수 영상은 지난 3월 15일 올라온 팀파니가 찢어진 영상(340만회)이다. [KBS교향악단 유튜브 채널 캡처]

▶과유불급...본질 지킨 ‘재미의 힘’=KBS교향악단 콘텐츠의 강점은 ‘지나치지 않다’는 점이다. 클래식의 본질을 지키면서 재미를 더한다. ‘채널 방향성’과 ‘편집 철학’이 맞닿아 만든 결과다.

유튜브 세계에서 편집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다. 클래식 장르의 성격상 지나치게 가벼워도, 그렇다고 ‘진지 모드’의 무리수를 둬서도 안 된다. 지루하거나, 불편하거나, 관심이 없으면 0.5초 안에 ‘스킵’(건너뛰기)을 당하고 마는 냉혹한 생태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편집의 방향성은 대중이 영상을 끝까지 보게 만드는 힘이기 때문이다.

서 사원은 “유튜브 콘텐츠를 만들 때 중요한 것은 누가 보더라도 몰입감 있는 영상을 만드는 것”이라며 “음식을 손님에게 내놨을 때, 요리사 혼자만 맛있으면 안 된다. 음식을 먹는 사람들이 맛있게 느껴야 한다. 편집할 때에도 이 정도면 괜찮다고 생각하고 마는게 아니라, 제3자 입장에서 누가 봐도 통하는 영상인지를 냉정하게 판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렇게 태어난 ‘영상의 힘’은 엄청나다. 팀파니가 찢어진 영상은 알고리즘의 늪에 빠져 낯선 악기에 대한 관심까지 불러왔다. 사실 팀파니는 피아노나 바이올린에 비해 대중성이 떨어진다. 영상의 주인공인 이원석 KBS교향악단 팀파니 수석은 “이 영상을 통해 팀파니라는 악기가 이렇게 흥미를 끌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말했다.

클래식 악단들이 유튜브 채널 강화에 힘쓰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영상을 통해 클래식 음악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세대를 확장할 수 있어서다. 의도하진 않았지만, ‘스타 단원’이 탄생하기도 한다. 클래식 업계에선 “대중음악처럼 폭발적이진 않아도, 고전음악도 유튜브를 통해 소구하고 ‘대중의 클래식화’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다.

이제 클래식 계에도 유튜브 채널은 ‘필수요소’가 됐다. 서 사원은 “우리나라는 전 세대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유튜브 동영상 시청률도 굉장히 높다. 클래식 음악에도 유튜브는 중요한 수단이자 도구”라고 강조했다. 이 수석 역시 “클래식 음악이 대중화될 수는 없지만, 대중이 클래식을 즐기기 위해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은 예술이 갖는 오락과 교육의 가치를 나눌 수 있는 장치라고 생각한다”며 “유튜브 채널이 클래식 음악의 잠재적 고객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도구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고승희 기자

sh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