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지사 3년 연속 10%대 인상 통보… 1분기 광고 침체로 이중고
제지사들이 3년 연속 신문용지값 10%대 인상을 통보해 신문사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이미 재작년부터 크게 오른 데다, 인건비 외에 제일 많이 들어가는 부분이 용지 매입액인 만큼 제지사 요구대로 용지값이 인상되면 비용 부담이 상당해 경영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달 초 전주페이퍼, 대한제지 등 제지 2개사는 용지를 공급하는 신문사들에 각각 톤당 10%, 7만5000원 인상을 통보하는 공문을 보냈다. 가격 인상 시기는 각각 다음달 1일, 11일이다. 이미 지난 2021년 9월 대한제지, 전주페이퍼, 페이퍼코리아 등 제지 3개사는 용지값을 톤당 10% 인상한 데 이어 지난해 5월 또 다시 약 10% 인상을 통보해 신문업계와 갈등을 빚었다. 그해 6월 제지사들은 각 사들과 10%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가격 협상을 마무리한 바 있다.
만약 올해 용지 가격이 인상된다면 신문사들은 발행 부수별로 적게는 연간 수천만원, 많게는 수십억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지난해 제지 3개사가 용지값 10% 인상을 요구할 당시 한국신문협회는 협회보를 통해 100만부를 발행하는 신문사는 연간 약 39억원, 50만부 발행 시 약 19억5000만원, 10만부 발행 시 약 3억9000만원의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 신문사들은 이미 두 차례 용지값 인상에 대비해 발행부수를 줄이는 등 자구책 마련을 해오고 있던 터였다. A 종합일간지의 경우 앞서 가판에 공급하는 신문을 50% 정도 줄였는데 이번 용지 가격 인상 통보에 추가로 가판 공급 신문을 줄이려 관련 업체와 논의 중이다. A 종합일간지 관계자는 “재작년과 작년, 1년 반 사이 사실상 20% 정도 가격이 오른 상태인데 지금 또 10%를 올리겠다는 것”이라며 “(발행 부수를) 최대한 줄이는 수밖에 없다. 무가지 발행도 축소시키려 하는데 신문지국의 반발이 예상돼 굉장히 고민스럽다”고 말했다.
더구나 올해 1분기 광고 시장 침체로 경영 실적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 용지값 인상은 경영에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게 신문사 경영진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더욱 큰 문제는 기존 제지 3사를 제외하면 대체재를 찾기 어려워 “매번 울며 겨자 먹기로 끌려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B 종합일간지 관계자는 “지난해엔 한 일간지가 보이콧을 하려다가 며칠 용지가 공급되지 않아 끝내 조건대로 인상한 경우도 있었다”며 “한 달 분 정도만 용지를 보관할 수 있다면 싸워 보겠지만 보관 문제 때문에 일간지 대다수가 일주일 분 정도만 확보하고 있다. 3~4일 정도 용지가 안 들어오면 타격이 커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제지사들이 신문사들에 밝힌 용지 가격 인상 요인은 ‘전기요금 인상’이다. 신문사들은 일단 최대한 가격 인상 시기를 늦추거나 개별 협상을 통해 인상폭을 줄이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지만, 제지사는 이미 신문 용지 생산으로 적자를 감내해오고 있다며 단호한 입장이다. 전주페이퍼 관계자는 “신문사들이 발행을 줄이면서 신문용지 기본이 되는 고지가 계속 줄어들고 있다. 국내에선 고지가 부족해 해외에서 사오고 있어 비용이 더 들고 있다”며 “저희 공장은 에너지 다소비 업장이기도 한데 작년에 이어 올해 계속 전기료가 올라가고 있어 적자 폭이 커져 추가 인상을 했다”고 말했다.
전국언론노조는 지난해 11월 신문 용지 가격을 일제히 인상한 제지 3사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기도 했다. 현재까지 일부 신문사를 대상으로 현장 실사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진다. 전대식 언론노조 수석부위원장은 “신고 뒤에도 또다시 인상을 요구했다는 건 공정위 조사가 제대로 안 되고 있다는 증거”라며 “신문제작 단가가 급격히 오르면 임금 인상률 감소 요인이 될 수 있어 작년 이 문제가 불거졌을 때 노사가 함께 대응해야 한다고 했지만 사용자 측은 아무도 움직이지 않았다. 이들이 마치 남 일 보듯 해 온 것도 일을 키운 원인”이라고 비판했다. 신문협회는 오는 21일 진행하는 경영지원협의회(총무·관리 담당 임원 모임) 정기 총회에서 용지값 인상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C 종합일간지 관계자는 “그동안 신문사들이 공동대응을 하자고 말만 했지 실효성이 별로 없었다”며 “신문이 공공재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업적인 논리를 떠나 정부 지원책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그러려면 어느 곳보다 발행 부수가 절대적으로 많은 신문사에서 힘을 실어줘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기자협회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스포츠서울, 신설법인 이동하는 모든 직원 기자로 발령 - 한국기자협회
- [부음] 김두일 아주경제 정치사회부 선임기자 장인상 - 한국기자협회
- [부음] 이상준 데일리안 편집국장 모친상 - 한국기자협회
- [부음] 강현경 국민일보 부국장 부친상 - 한국기자협회
- [부음] 이기문 KBS 기자 부친상 - 한국기자협회
- [부음] 양형욱 파이낸셜뉴스 디지털콘텐츠실장 부친상 - 한국기자협회
- [부음] 최병준 경향신문 미래전략본부장 부친상 - 한국기자협회
- [부음] 한국선 경북일보 사장 모친상 - 한국기자협회
- [인사] 아시아투데이 - 한국기자협회
- [인사] 한국경제신문 - 한국기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