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진단] 탄소중립과 경제성장을 수소로
인프라 투자·전후방 효과 큰
그 자체로 거대 성장동력
美·日 등 30개국이 투자 나서
뒤처지면 큰 기회 놓치게 돼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탄소중립산업법(NZIA) 등이 제정되며 수소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이 전 세계의 최우선 과제가 되면서 수소가 탄소 배출 저감의 핵심 수단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수소는 태양광과 풍력의 간헐적 특성을 보완할 수 있고, 전력화가 쉽지 않은 영역에서 화학·중공업과 장거리 운송 등 탄소 감축이 어려운 다배출 분야의 탈탄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맥킨지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수소 수요는 탄소중립 기준 2050년까지 6억~6억6000만t에 도달하는 등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20% 이상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많은 국가들이 수소에 주목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수소가 그 자체로 대규모 투자를 유도할 거대한 미래 산업이자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소산업은 생태계 전반에서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수반되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산업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영역이다. 수소를 생산하고, 수요처로 운반하며, 발전과 모빌리티 분야에서 활용하는 전 과정에서 신산업이 태동하고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져 전후방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전 세계 주요국들은 최근 수소산업 육성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수소위원회와 맥킨지가 공동으로 발표한 보고서인 '수소경제 인사이트'에 따르면 2021년 초 기준 수소에너지 로드맵을 발표한 국가는 30개 이상으로 각국 정부는 수소 기술 개발을 통한 탈탄소화 지원을 위해 공공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각국이 발표한 수백 개의 대규모 프로젝트들이 결실을 맺게 되면 2030년까지 총 3000억달러 이상이 투자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IRA를 통해 자국 내 청정수소 생산 시설에 대한 세액공제를 결정했으며 호주는 '국가 수소 로드맵' 아래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에 수소를 수출함으로써 녹색수소의 최대 수출국 중 하나로 거듭나고 있다. '세계 최대 그린·블루수소 수출국'이 되기를 희망하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산유국들도 청정수소 분야 투자에 적극적이다. 일본은 자국 내 7개 기업으로 구성된 'HySTRA(기술연구조합 CO2 프리 수소 공급망 추진기구)'와 최대 전력사 제라(JERA) 등의 대규모 프로젝트들을 통해 호주와 수소동맹을 현실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역시 에너지 자립과 경제 활성화를 기회로 삼아 수소산업을 바라봐야 한다. 한국은 특히나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만큼 수소 비중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수소에너지는 화석연료와 달리 지역 편중이 없는 보편적 에너지인 데다 한국은 이미 수소전기차와 연료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주요 국가들이 전 수소 밸류체인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상황에서 한국이 글로벌 수소시장 선점에 나서지 않는다면 한국은 수소를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빈국'으로 남는 것은 물론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측면에서도 큰 기회를 놓치게 되는 셈이다.
지금 중요한 것은 청정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정부와 기업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유기적 협력이다. 수소 생태계 기반이 조성되려면 대규모 수요 창출과 생산단가 하락이 중요한 과제다. 정부는 명확한 규제와 가이드라인, 시장 창출을 위한 제도를 통해 기업들의 투자 결정을 이끌어야 한다. 때로는 신산업 육성 관점에서 세제 혜택 등을 지원해 기업 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 기업과 정부가 함께 저력을 발휘해 한국이 명실상부한 '글로벌 수소 강국'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
[마르코 모다 맥킨지 한국사무소 파트너]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용보다 더 부자라고?...자산규모 13조원 육박한 한국인은 - 매일경제
- “갑자기 안하던 행동을 하네”…한국에 손 내미는 중국, 왜 - 매일경제
- 문재인 “5년간 이룬 성취 순식간에 무너져...허망해” - 매일경제
- [속보] 원희룡, 전세사기 주택 경매 중단 보고…대통령, 시행 지시 - 매일경제
- “벼만 키우란 법 있나”…논에 콩 심어 연매출 52억 올렸다 - 매일경제
- “도청 사실이면 한국에 사과할 거냐?” 물었더니…미국의 답변은 - 매일경제
- “이러다간 다 죽어”…‘할인·중도금 유예’ 미분양 털기에 난리난 전국 - 매일경제
- “내려야 하는데 못 내렸네”...더 커지고 보기 편해지는 지하철 역명 - 매일경제
- 구글 충격에 빠뜨린 삼성전자…설마 진짜 바꾸려나 - 매일경제
- 페퍼로 이적한 박정아, 김연경과 어깨 나란히→7억 7500만원→여자부 최고 연봉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