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오늘 서해쪽 중대 군사 활동...빈번해진 훈련에 '촉각'
■ 진행 : 이광연 앵커, 박석원 앵커
■ 출연 : 강성웅 YTN 해설위원실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Q]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그리고 중국이 발표대로라면오늘 오전 서해 쪽 칭다오 앞바다에서 중대한 군사 활동을 했습니다. 최근 중국이한국과 미국의 잇단 군사 훈련에맞대응 성격의 무력 시위에 나서고 있어오늘은 이 문제를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 강성웅 해설위원 실장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민감하신 분들은 왜 시제를 이상하게 읽었나 싶으시겠지만 이유가 있습니다. 군사 활동 예고 시간이 오후 1시였는데 아직 무슨 활동했는지 파악이 안 되고 있는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오후 1시에 끝나는 시간이거든요. 그런데 아직 중국 당국에서 뭐라고 밝히지는 않았습니다. 보통 하루 지나서 혹은 며칠 지나서 중국 매체들이 이걸 보도하는 형식으로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런데 말씀하신 것처럼 어느 지점에서 훈련을 했느냐고 보면 성격을 좀 알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칭다오항 바로 앞바다입니다. 다 보이는 바다고, 거리를 대략 측정해 보면 한 3~4km 정도 되는 앞바다입니다. 그러니까 여기서 무슨 굉장히 위험한 실탄 사격이나 미사일 공격 훈련이라든지 이런 걸 했을 가능성은 굉장히 낮다고 봅니다. 그런데 이걸 중대한 군사활동을 예고를 했기 때문에 외신들도 혹시 뭐지 하고 굉장히 촉각을 세웠습니다. 지금 이곳인데요. 칭다오라는 항이 굉장히 이렇게 오목하게 들어갔는데 그 입구 쪽에 저렇게 옆으로 노란색으로 펼쳐져 있는 저 지점이 군사활동을 한다고 예고를 한 지역입니다.
그런데 저 거리는 위아래 수직폭이 3~4km밖에 안 되기 때문에 앞바다입니다. 그런데 사실 저 뒤에는 아파트도 있고 빌딩도 있고 그렇거든요. 저기서 뭘 했을 가능성이 어떤 실탄 사격이라든지 포사격 같은 걸 하지는 않았을 것 같고요. 어떤 행사일 것 같은데 4월 23일 일요일이 해군 창설 기념일입니다. 그래서 보통 중국이 국제적인 해군 행사를 이날 하는 경우가 많은데 2019년에 4월 23일에 관함식을 했고 그때 시진핑 주석이 직접 참관을 한 경우도 있는데 그런 행사일 가능성도 생각을 해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발표 내용을 봐야 알겠습니다마는 최근 어떤 움직임을 봤을 때는 한국과 미국을 염두에 뒀다고 봐도 되겠습니까?
[기자]
그럴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사실 저 칭다오라는 곳이 한반도를 담당하는 지역이거든요. 그러니까 저기가 북부전구인데 북부전구의 담당 지역이 한반도. 물론 저 위쪽 동북3성은 같은 북부전구지만 러시아를 담당하지만 이쪽은 우리나라를 담당하는 구역이기 때문에 뭐를 해도 우리나라랑 관련을 지어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특히 아까 말씀하셨던 것처럼 한국과 미국이 최근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서 군사훈련을 하고 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 최근 일일이 중국이 어떤 무력시위 성격으로 맞대응을 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그런 측면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열어놓고 판단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아무튼 오늘 칭다오 앞바다에서 중대 군사 활동을 한 것으로 나오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미공개인 상황에서 칭다오에 중국의 해군기지가 있다면서요?
[기자]
조금 전에 말씀드렸듯이 굉장히 중요한 해군기지가 있습니다. 청나라 때 북양함대라는 게 있었거든요. 중국 해군의 자존심이었는데 사실 일본에 졌죠. 그래서 굉장히 치욕적인 그런 장소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여기다가 북부전구에 해군본부 기지를 여기에 두고 있는데 여기에 굉장한 무장력이 있는 거죠, 해군력이. 사실 중국의 첫 항공모함 랴오닝함이 바로 여기를 모항으로 하고 있습니다. 칭다오를. 그다음에 중국이 자랑하는 여러 가지 구축함, 최신예 구축함들도 있고요.
또 여기 공격용 핵추진 잠수함이 3척이 있고 또 전략핵잠수함, 그러니까 전략핵잠수함이라는 것은 SLBM을 발사하는 그런 대형 잠수함인데 그것도 여기 배치해놨습니다. 지금 지도를 보면 북부전구 칭다오 이렇게 써 있는 곳에 랴오닝함이 있고 그다음에 동부전구에서는 닝보. 상하이 바로 앞쪽인데요. 거기에 푸젠함이 지금 진수만 돼 있지 아직 실전 배치는 안 됐습니다.
시험 테스트. 여러 가지 장착해서 쏴보고 하는 그런 일을 하는데 거기에 배치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고요. 그다음에 남부전구에는 잔장이라고 하는 항구에 항공모함을 배치해놨는데 제1호가 바로 칭다오에 배치돼 있다는 거죠. 그러니까 여기서는 무슨 활동을 하면 일단 우리나라가 뭔가 의심을 할 수밖에 없고요. 또 과거에 2019년 코로나 발생 직전에는 여기서 러시아와 함께 양국 해군이 합동훈련도 칭다오 앞바다에서 했습니다. 굉장히 중요한 지역이고 우리나라로서도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그런 지역입니다.
[앵커]
앞서 지도 보여주신 것처럼 북부전구 바로 옆이 우리나라기 때문에 일단 여기서 군사훈련을 하면 우리나라와 연관을 지어서 봐야 된다 이런 점을 계속 강조해 주고 있습니다마는 이 장소에서 지금 훈련을 봤을 때는 과거에 어떤 훈련이 있었던 겁니까?
[기자]
굉장히 많습니다. 최근에 점점 늘어나는 것으로 보이는데 산둥반도에서 북부전구에서 훈련을 하면 대체로 산둥반도 아래쪽, 칭다오 앞바다에서 하고 또 어떨 때는 그 뒤쪽, 그러니까 보하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로 말하면 이전에 발해만이었던 곳입니다. 그러니까 다롄과 칭다오, 산둥반도가 싸고 있는 그 지역에서 합니다. 그러니까 대부분 이런 훈련은 최근 훈련을 보면 상대방의 군함을 격침시키는 훈련이라든지 상공에서 날아오는 비행기를 격퇴시키는 훈련이라든지 이런 걸 주로 하고요.
사실 많은 경우 함포 사격도 하고 실탄 사격도 하고 미사일도 쏘고 해서 굉장히 합동군사훈련을 하는 이런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일주일 전에도 바로 이런 훈련이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이럴 때는 1만 톤급 055형 구축함이라고 하는데 중국이 가장 최신예로 자랑하는 난창함 이런 함들. 그다음에 미사일 구축함 이런 것들도 동원됐고 일주일 전에 있었던 것은 우리나라 제주도 부근에서 열렸던 한국과 미국의 항공모함 포함 군사훈련에 맞대응하는 성격이다, 이렇게 파악되고 있습니다.
[앵커]
일주일 전 제주도 말씀하셨는데 그러고 보니 2월에도 서해 쪽에서 중국군이 훈련했다는 보도가 있었거든요. 그러면 이것도 한국과 미국을 염두에 둔 건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건 분명한 것 같습니다. 그 당시에 더구나 미국이 중국의 정찰위성을 격추시켰기 때문에 중국 국방부가 거기에 대해서 우리도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한 직후였거든요.
그 당시에 그런데 2월달 초에 바로 직전에 서해 쪽으로 미국의 B1-B 폭격기가 비행을 했습니다. 그리고 F-35 전투기가 동원됐고요. 그런 훈련이 서해 쪽에서 이례적으로 있으니까 중국은 폭격기가 날아다닌다는 것을 중국 내륙을 정찰하고 내륙을 겨냥한 거다라고 생각을 해서 이쪽에서 훈련을 했던 거죠. 그때도 역시 실전훈련이었고 아까 말씀드린 보하이라고 하는 산둥반도와 다롄항구 사이에 중국의 톈진이 있는 지역 그쪽에서 훈련을 했습니다.
[앵커]
보통 지금 말씀하신 쪽이 서해 쪽인데 지금 남해 쪽에서도 중국 해군이 우리 쪽으로 활동 반경을 넓히고 있다 이런 분석이 있어서요. 어떤 내용입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최근에 신원식 의원이 이런 자료를 냈더라고요. 합동참모본부에서 지난 최근 5년간 중국 해군의 군함들의 활동을 우리나라와 연관 지어서 분석을 한 자료를 내서 다시 봤더니 지도를 보면 이렇습니다. 저 세로로 점으로 된 게 중국이 주장하는 말하자면 이쪽으로는 군사활동을 하지 말아달라하고 하는 선입니다. 저걸 중국에서는 어떤 작전 통제선, 이런 식으로 부르고 있고요. 그러나 우리는 저 하얀선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저 124도의 점선이 우리 쪽에 가깝거든요.
그러니까 우리는 영해를 기준으로 이걸 설정을 하고 EEZ를 기준으로 설정해서 우리나라의 해양통제구역은 저쪽이다라고 하얀 선을 그어 놓은 거죠. 그러니까 사실 저 안에서 우리 선을 중국이 넘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데 최근에 그런 상황을 보니까 2018년 이후 작년까지 매년 200번이 넘는 중국 군함이 우리 쪽으로, 우리가 설정한 구역 안으로 들어온 겁니다. 사실 세로 점선은 중국이 어떤 혐의 없이 일방적으로 선언한 건데 그건 아까도 지도에서 보시면 알다시피 신의주 쪽에서 세로로 그은 겁니다. 그런데 그 선은 경도 124도는 북한과의 경계선으로 북한과 중국이 현실적으로 인정하는. 인정하는 건 아니에요.
북한도 반발하는데 설정해 놓은 선을 그냥 세로로 내려 그은 겁니다. 그러다 보니까 매년 중국의 배들이 들어오는데 조금 전에 말씀하신 것처럼 자세히 보면 남쪽에서 들어오는 배가 굉장히 많습니다. 중국 배가. 왜냐하면 사실 동중국해를 굉장히 중국이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인데 미국과 일본이 해군 협력을 강화하면서 센카쿠열도가 동중국해에 있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함정 활동을 많이 하니까 내려왔다가 우리나라 쪽도 들어오는 이런 현상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앵커]
사례를 모아보니 정말 중국의 군사훈련이 빈번해지고 있고 우리가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어 보이는데 그렇다면 서해에서 넘어오면 안 되는 구역은 어디까지인 건가요?
[기자]
아까 잠깐 말씀드렸는데요. 세로선이 124도 선인데 그걸 중국이 그어놨고 우리는 그 안쪽, 중국 쪽으로 123도를 그었습니다. 이 정도 위도에서는 한 88km 정도의 차이입니다, 1도 차이가.
[앵커]
우리는 동경 123도, 중국은 동경 124도.
[기자]
우리 쪽으로 중국은 더 왔고 우리는 중국 쪽으로 더 갔죠. 그렇게 했는데 이걸 사실 왜 그었을까. 만약에 이걸 긋지 않으면, 어떤 잠정선을 긋지 않으면 굉장히 군사적 우발 충돌의 가능성도 있고 서로 경계를 계속해야 되니까 서로 마이너스죠. 그러다 보니까 어느 정도 그어놨는데 이게 지금 제대로 서로 협의가 안 됐기 때문에 넘어오는 그런 경우도 많은데 최근 들어 보면 이렇게 매년 200번 이상, 서해뿐만 아니라 남해, 동해에서 중국 배가 들어온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 남해 쪽에서 침범하는 경우들이 있고 지금 남중국해 위기가 일상화되다시피 했다 이런 말씀도 앞서 해 주셨는데 이런 긴장 분위기 속에서 서해 쪽으로도 점점 활동 범위가 넓어지는 겁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신원식 의원실에서 낸 자료 중에 항공모함이 접근해서 항해를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2021년 같은 경우는 100km까지, 그러니까 영해 기점 100km. 10해리 영해 100km까지 100여 킬로미터라고 표현을 했는데 100에서 110km까지 항공모함이 들어왔다는 겁니다. 그런데 군사 전문가들은 항공모함이 들어오는 건 전투기를 싣고 다니기 때문에 그 전투기의 작전반경이 우리나라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굉장히 우려하는데 항공모함도 자주 들어오고 다른 군용함정들도 들어오는 횟수가 늘어나고 특히 서해가 우발 충돌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굉장히 주목하고 경계를 하는 거죠.
[앵커]
아무튼 앞서 말씀드린 대로 중국이 발표한 대로라면 1시에 중대군사활동이 끝났기 때문에 혹시 공식 발표가 나오면 다시 한 번 알려드리겠습니다. 강성웅 해설위원실장과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YTN 강성웅 (swka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中 서해 '중대 군사활동' 끝...군사훈련? 해상사열?
- "자동차 보고 웃는다"...韓 '역대 최고 수치' 배경은? [Y녹취록]
- 홍준표 "입 닫고 있을 테니 지지율 60% 만들어보라"
- 마약 음료수에 적힌 'ADHD'...'공부 잘하는 약' 유혹 기승
- 인도에서 '밀주' 마시고 32명 사망·14명 중태...경찰, 6천 리터 압수
- [날씨] 오늘 중부·호남 가을비…내일부터 찬 바람
- [속보] 윤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한중 정상회담 시작
- 배우 송재림 오늘 낮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
- 여자 화장실 몰래 촬영하던 20대 남성 덜미...피해자가 현장서 붙잡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