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서울 시내 가로수 1500그루를 기록하는 이유

김송이 기자 2023. 4. 18. 17: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환경연합 ‘가로수 시민조사단’
나무 크기·건강 상태 데이터 수집해
대기오염저감·탄소흡수 등 분석 예정
지난 15일 서울 종로구 효자로에서 가로수 시민조사단이 가로수의 둘레를 측정하고 있다. 김송이 기자

“둘레가 3m38이네요. 이 나무가 효자로에서 가장 클 것 같은데요.”

최진우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이 지난 15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효자로의 플라타너스 나무 둘레를 재고 있는 가로수 시민조사단 10명을 바라보며 말했다. 세 사람이 10m 길이 줄자를 나눠들만큼 나무 둥치가 컸다. “나무가 큰 만큼 잘 측정해야 해요. 그래야 가로수의 가치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어요.” 최 위원이 말했다.

서울환경연합 ‘가로수 시민조사단’은 이날 최 위원의 인솔 아래 경복궁 담장을 따라 청와대 앞 효자동 삼거리까지 이어지는 효자로의 가로수 상태를 둘러봤다. 가로수 크기와 건강 상태 데이터 수집을 목표로 오는 6월까지 이어질 조사의 첫 번째 현장실습이었다.

조사단은 효자로에 있는 나무 약 300그루의 수종·높이·수관(가지와 잎이 달린 부분) 폭·수관 손실 정도 등을 측정하는 방법을 배웠다. “수관 기저고는 바닥에서 나뭇잎이 달려 있지 않은 부분까지 재는 거예요. 이 나무가 환경적 기능을 발휘할 최적의 덩치를 찾기 위해서 재는 겁니다.” 최 위원이 나무 한 그루당 써야 하는 조사 항목을 설명하자 조사단의 고개가 연신 위로 들렸다. 모두 도로 표지판 위로 솟은 나무 꼭대기를 바라봤다.

효자로는 주변에 궁궐·청와대가 있어 가로수가 비교적 잘 가꿔진 편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도로 표지판에 걸려 반대쪽에만 잎이 난 나무, 커다란 플라타너스 두 그루 사이에서 자라고 있는 어린 은행나무가 보였다. 최 위원은 “지금은 괜찮지만 5년 후 가운데 나무가 더 자란 뒤에는 어떤 나무를 남길지 선택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나무 한 그루마다 크기와 건강 상태를 관찰하느라 평소 25분이면 걷는 왕복 1.4㎞ 거리를 걷는 데 75분이 걸렸다.

지난 15일 서울 종로구 효자로에서 가로수 시민조사단이 ‘트리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가로수의 높이를 측정하고 있다. 김송이 기자

이날은 조사가 시작된 오전 10시부터 비가 내렸다. 종로구에 살며 효자로를 자주 거닐었다는 조영남씨(66)는 어깨에 우산을 받친 채 스마트폰에 깔린 ‘트리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나무 높이를 측정했다. 조씨는 “가로수가 있는 것만 알았지, 이렇게 오래 올려다보긴 처음”이라며 “가로수를 집중적으로 알게 되는 계기가 생기니 좋다”고 했다.

조사단원들은 주변에서 가로수가 훼손되는 것을 보고 조사단 활동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경기 안양에서 온 김미화씨(50)는 “동네 가로수가 ‘닭발치기’를 너무 심하게 당해서 나무껍질도 벗겨지고 곰팡이가 슨 모습도 봤다”면서 “이번 활동을 통해 나무 건강 상태를 보는 방법을 배워가면 우리 동네에서도 뭔가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성직씨(33)도 아끼던 집 앞 은행나무가 지난 3월 굵은 가지만 남겨둔 채 가지치기된 모습을 보고 활동을 결심했다. 이씨는 “성북구청에 민원을 넣었는데, 다른 민원 때문에 가지치기를 했다더라”면서 “창문을 열면 보이는 풍경이 너무 처참해서 한동안 괴로워하다가 ‘뭐라도 해보자’ 싶어서 조사단에 참가했다”고 했다.

이들은 도심과 나무의 공존을 넘어 나무의 권리를 고민했다. 조경회사에서 근무하는 박모씨(28)는 “도시공간을 디자인할 때 가로수의 건강권이 우선순위에 놓이기 어렵다”면서 “어떤 나무가 건강한 나무인지 이해라도 하면 차선책이라도 마련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먈했다.

이날 현장실습은 서대문구 연세로와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 14일 노원구 가로수길에서도 진행됐다. 70명의 시민조사단은 앞으로 두 달간 서울 4개 지역에서 최대 1500그루 가로수의 데이터를 만들기로 했다. 서울환경연합은 이 데이터를 토대로 국립산림과학원의 도움을 받아 가로수 한 그루당 대기오염저감, 탄소흡수, 에너지절감 등 효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김송이 기자 songy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