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지렛대로 성장한 소부장, '甲님' 앞서는 '슈퍼乙' 만든다
정부가 18일 내놓은 '소재·부품·장비 글로벌화 전략'은 갑(甲)보다 경쟁력있는 '슈퍼 을(乙)' 양성을 목표로 한다. 코로나19(COVID-19) 대유행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세계 공급망 재편과 자국산업 우선주의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수출 중심 경제구조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공급망 안정화와 그를 기반으로 한 수출 경쟁력 확보가 필수라는 판단이다.
특히 우리나라 소부장 업계는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대일(對日) 의존도를 낮추는 데 역량을 집중해 왔다. 정부는 올해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시작한 대일 관계 개선을 지렛대 삼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주력산업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는 물론 수출경쟁력 강화까지 두마리 토끼를 노리겠다는 구상이다.
일본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에 들어가는 3대 핵심소재(포토레지스트·불화수소·불화폴리이미드)를 노려 수출 규제를 하면서 소부장 100대 품목에 대한 1조4000억원 규모 기술투자를 집행하고 수요-공급기업 협력모델 등을 통해 자립 역량을 키운 결과다.
이 분야 핵심역량기술을 보유한 소부장 으뜸기업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기준 23조4117억원으로 2019년 11조4220억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상장사 시가총액이 21%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소부장 기업의 체력이 질적으로 개선됐다는 얘기다.
최근 세계 시장에 자리잡고 있는 자국산업 우선주의 흐름과 코로나 이후 공급망 재편 움직임으로 소부장 산업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미국이 반도체법(칩스법)·IRA(인플레이션감축법) 등으로 자국 내 생산기업을 지원하고 EU(유럽연합) 역시 핵심원자재법 도입으로 역내 생산 지원에 나선 상태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이 벌이는 G2 패권 경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대(對) 러시아 경제제재 탄소중립을 위한 각종 친환경 규제 등이 뒤따르고 있다. 결국 우리 소부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안정적인 제조 기반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곧 세계 시장에서의 수출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게 정부가 이번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을 내놓은 배경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에 참석해 "우리는 2001년 부품소재 특별법 제정과 2019년 일본 수출규제 대응에 이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경제안보 경쟁이라는 세 번째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며 "그동안 축적한 자립화 역량과 기술력을 토대로 한 '글로벌 공급망 새판짜기를 우리 소부장 산업의 글로벌 진출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66개인 소부장 으뜸기업을 200개로 늘리고 올해 6월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7월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을 통해 수요 공급 기업 간 상승효과를 노릴 계획이다. 자국 내 생산시설에 세제혜택 등을 감은 미국의 IRA, EU의 핵심원자재법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첨단 소부장 제품 수출을 늘리는 기회로 삼겠다는 구상도 담아냈다.
특히 이번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에는 올해 3월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관계개선에 나선 일본과의 협력을 활용하겠다는 구상도 담았다.
이 장관은 "한일정상회담을 계기로 복원되고 있는 한일 협력도 우리 소부장의 글로벌화를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하겠다"며 "반도체, 배터리 등 양국 협력의 시너지가 큰 분야를 중심으로 공급망 협력, 첨단소재 공동 개발, 소재 DX 등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제3국 공동진출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달 한일정상회담 직전 9차 수출관리 정책대화를 열어 수출규제 품목에 대한 규제 해제조치 등을 논의했다. 2020년 8차를 끝으로 중단됐던 수출관리 정책대화는 지난달 3년여 만에 열린 이후 이번달에도 두차례 진행됐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1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IMF(국제통화기금) 본부에서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 후 동행 기자단과 만나 "5월초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ADB(아시아개발은행) 연차총회에서 한일 재무장관 회담을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국 산업담당 부처간 대화와 이어 재무장관 회담까지 재개되면서 일본 소부장 제품이 우리 제조업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다만 우리 소부장 업계가 일본 업계와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선 2019년 이전까지 유지돼 온 양국간 화이트리스트(수출관리 우대대상국) 재지정 등 가시적인 관계 회복이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뒤따를 전망이다.
세종=김훈남 기자 hoo13@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오로라공주' 배우, 子 극단적 선택→폐암 재발…"따라가고 싶다" - 머니투데이
- "너 뭐가 되려고 그래"…나영석이 놀리던 인턴 '재벌 3세' 였다 - 머니투데이
- 이선희, 집 인테리어 비용도 회삿돈으로?…또 터진 '횡령' 의혹 - 머니투데이
- '연수입 83억' 유재석 "가장 비싸게 산 물건은 슈퍼카"…얼마? - 머니투데이
- 차서원, ♥엄현경과 결혼 발표 후 악플 테러…"환상 깼다" 무슨 일? - 머니투데이
- "지금까지 후회"…윤하, 16년 전 '신인' 아이유에 한 한마디 - 머니투데이
- 빽가, 연예인 전 여친 저격…"골초에 가식적, 정말 끝이 없다" - 머니투데이
- "경차는 소형 자리에"…주차칸 넘은 수입차, 황당한 지적질 - 머니투데이
- '양육권 소송' 율희, '업소 폭로' 최민환 흔적 지웠다…영상 삭제 - 머니투데이
- "통신비 20만원 아껴"…카드사 직원들이 쓴다는 '이 카드' 뭐길래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