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만 키우란 법 있나”…논에 콩 심어 연매출 52억 올렸다

진창일 기자(jci@mk.co.kr) 2023. 4. 18. 1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남에서 논콩 재배 최정웅 대표
2018년 기계화 재배방식 도입해
전남도는 타작물 재배 지원 뒷받침
전남에서 논콩 재배로 연매출 52억원을 거둔 전남 나주 세지면 알곡영농조합법인 최정웅 대표. [사진 제공=전라남도]
“처음 시작할 때는 모두 말렸지만 지금은 전국 최고의 콩 전문 생산단지를 꿈꾸죠”

논에 벼 대신 콩을 심어 52억원의 연 매출을 거둔 전남 나주 세지면 알곡영농조합법인 최정웅(48) 대표의 이야기다.

최 대표는 18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처음 논콩 재배를 시작했을 때는 기술력이 부족해 수익성을 자신할 수 없었지만 기술을 개발하고 경험이 축적되면서 승산이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말했다.

그는 2013년 유전자변형(GMO) 등 문제로 우려가 제기되는 수입 콩과 달리 순수 국산 콩을 재배하면 시장에서 승산이 있다는 생각에 논콩 재배에 뛰어들었다.

정부와 지자체가 쌀값 폭락에 대응하기 위한 논 작물 다변화 정책의 하나로 논콩 등 대체 작물 재배를 유도하고 있지만 콩 재배는 생산비와 노동력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최 대표는 “콩 재배 과정에서 가장 큰 문제는 논에 뿌려둔 콩 종자를 새들이 먹어버리는 ‘조류 피해’”이라며 “2018년 전국 최초로 콩을 육묘장에서 키워 벼 이앙기처럼 기계로 심는 방식을 도입하는 데 성공하면서 돌파구를 찾았다”고 말했다.

파종과 제초 작업의 기계화율이 낮아 온전히 인력으로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은 콩 재배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조류 피해가 사라지면서 시기에 맞춰 파종과 수확이 가능해지자 면적대비 수확량도 증가했다.

최 대표는 “콩 재배 농작업을 기계화하면서 10a(에이커)당 생산비가 68만원에서 64만원으로 줄었고 수확량은 240㎏에서 280㎏으로 늘었다”며 “현재 계약재배 면적도 256㏊로 연간 생산량만 약 300t에 달한다”고 말했다.

논콩 재배의 수익성 확보는 전남도의 지원 영향이 컸다.

논 작물별 농가 순수익은 10a당 벼는 31만원, 콩은 26만원에 그치지만 전남지역 농가는 타 작물 재배지원사업으로 25만원을 추가 지원해 벼보다 순수익이 20만원 더 늘어난다.

전남도는 올해 쌀 재배를 지난해 15만4000㏊보다 7000㏊ 감축한 14만7000㏊로 유지하기 위해 전략작물직불금과 논에 타 작물 재배 지원사업 등에 438억원을 지원한다.

최 대표는 “현재 정부 기조가 콩에 대한 자급률 확보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논콩은 100% 전량 정부 수매가 된다”며 “계약재배 면적을 500ha까지 확대해 전국 최고의 콩 전문 생산단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