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2형 당뇨병 10명 중 7명 '식단 불량' 때문에 걸린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터프츠대 프리드먼 영양학·정책 대학원 다리우시 모자파리안 교수팀은 17일(현지시간) 과학저널 '네이처 메디신'에서 184개국의 식이 섭취 데이터 분석 결과 2018년 한해 불량 식단 때문에 제2형 당뇨병에 걸린 사람이 1천410만 명에 달해 전체 2형 당뇨 신규 환자의 7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 세계 제2형 당뇨병의 40% 정도가 부적절한 식습관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해 온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식이 요인이 당뇨병 발생에 훨씬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8년 전 세계에서 제2형 당뇨병에 걸린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10명 중 7명의 발병 원인이 식단 불량이었고 그로 인한 신규 환자 수는 1천410만 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터프츠대 프리드먼 영양학·정책 대학원 다리우시 모자파리안 교수팀은 17일(현지시간) 과학저널 '네이처 메디신'에서 184개국의 식이 섭취 데이터 분석 결과 2018년 한해 불량 식단 때문에 제2형 당뇨병에 걸린 사람이 1천410만 명에 달해 전체 2형 당뇨 신규 환자의 7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 세계 제2형 당뇨병의 40% 정도가 부적절한 식습관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해 온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식이 요인이 당뇨병 발생에 훨씬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가장 흔한 당뇨병으로 성인형 당뇨로도 불리는 제2형 당뇨병은 세포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에 내성이 생겨 혈당 조절이 안 되는 것으로, 인슐린 생성이 전혀 또는 거의 되지 않는 제1형 당뇨병과는 다릅니다.
연구팀은 1990~2018년 세계 184개국의 글로벌 식이 데이터베이스(GDD)를 기반으로 각국 인구 통계, 전 세계 제2형 당뇨병 발병률 추정치, 식품 선택이 비만과 제2형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례 등을 활용해 식습관이 제2형 당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했습니다.
GDD는 빈곤층과 취약 계층 등의 건강·영양 연구와 정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해 터프츠대 프리드먼 영양학·정책 대학원이 구축한 DB입니다.
연구팀은 ▲ 통곡물 섭취 부족 ▲ 정제 곡물 과잉 섭취 ▲ 가공육 과잉 섭취 ▲ 비가공육 과잉 섭취 ▲ 요구르트 섭취 부족 ▲ 설탕 첨가 음료 과잉 섭취 ▲ 감자 과잉 섭취 ▲ 과일 섭취 부족 ▲ 견과류·씨앗 섭취 부족 ▲ 녹말 없는 채소 섭취 부족 ▲ 과일주스 과잉 섭취 등 11가지 요인과 제2형 당뇨병 발병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통곡물 섭취 부족과 정제된 쌀과 밀 같은 정제 곡물 과잉 섭취, 가공육 과잉 섭취 등 3가지 식이 요인이 전 세계적으로 제2형 당뇨병 발병률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육류는 가공육뿐 아니라 비가공육 과잉 섭취도 제2형 당뇨병 발병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반면 일반적으로 당뇨병 발병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과일주스 과잉 섭취나 녹말 없는 채소 섭취 부족, 견과류·씨앗 섭취 부족 등은 당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단 불량으로 인한 제2형 당뇨병 발병은 전 세계 수준에서 볼 때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고령층보다는 젊은 층에서, 시골보다는 도시 지역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적으로는 적색육과 가공육, 감자 등이 식단에 많이 포함되는 폴란드와 러시아 등 중부 및 동부 유럽, 중앙아시아 등에서 식단 불량과 관련한 제2형 당뇨병 발병이 많았습니다.
콜롬비아와 멕시코 등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 역시 식단 불량 관련 제2형 당뇨병 발병률이 높았으며 연구팀은 그 원인으로 설탕 함유 음료와 가공육 과잉 섭취, 통곡류 섭취 부족 등을 꼽았습니다.
논문 제1 저자인 메건 오언 박사는 "제2형 당뇨병을 방치해 발병률이 계속 증가하면 공중 보건과 경제 생산성, 의료시스템 역량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전 세계적으로 건강 불평등을 초래할 것"이라며 "이 연구가 임상의와 정책입안자, 민간영역 등이 더 건강한 식단을 선택하도록 장려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혼자 자취' 여성 원룸 노렸다…창문 열고 뚫어져라 '소름'
- "어머니가 통장 관리해 전재산 탕진"…심형탁, 제2의 박수홍 사태 피해자였다
- 제주서 주둥이 잘린 돌고래…관광 선박에 포위도 당한다
- "퍼스널 컬러? 색종이 대라"…청년들이 빠진 '거지방'
- '동상이몽2' 유세윤 "아내와 각방…반려견과 함께 자는 것 불편해 결정"
-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정상 밟은 첫 카타르 여성…알고 보니
- "돈 가져라, 그 사진만 돌려달라"…마포에 간절한 전단지
- 논쟁거리 된 회식 문화…MZ는 "그럼 야근수당 주나요?"
- "제로는 안 찌겠지?" 믿고 마신 소주, 열량 확인해보니
- 또 숨진 전세 사기 피해자…정부 대책에도 고통은 계속 (풀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