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왜] 디커플링의 원심력...'세계의 공장'도 탈중국
소재ㆍ부품 원산지 까다로운 규정 적용
'집토끼' 中공장도 인니ㆍ동남아로 이전
양극재 재료 中전구체 공장도 새만금행
공급망 디커플링 시대입니다. 중국에 진출한 외자기업들은 썰물을 타고 해외로 생산 거점을 옮기고 있습니다. 디커플링이라는 거대한 흐름 밖에 있다간 비즈니스를 날려 먹을 수 있다는 리스크 때문입니다.
그런데, 중국 본토 기업까지 이 썰물 대열에 올라타는 기류가 꿈틀대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오늘 칼럼에선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아가겠습니다.
벌써 17년도 더 된 얘기인데요. 2006년 12월 장쑤성 롄윈강의 산업 단지 조성 사업을 취재하러 갔습니다. 칭다오 공항에서 내려 고속도로를 타고 3시간을 이동했습니다. 장쑤성은 광동성과 전체 성시자치구 가운데 지역 GDP 수위를 다투던 명실상부한 산업 1번지입니다.
당시 장쑤성 정치 1인자인 성 서기는 성장률 등 실적이 잘 받쳐줘 늘 승진이 보장되던 자리였습니다. 이 때문에 장쑤성 서기는 콧대도 높고 미래도 보장된 그야말로 잘 나가는 유력자 후보군 또는 최고 권부 라인 인사들로 채워지곤 했습니다.
토요일 오후 간담회 형식의 프리젠테이션 자리에서 당시 장쑤성 서기는 염전을 메워 산업공단을 만드는 이유와 한국 기업이 올 경우 혜택을 설명했습니다. 그때 나눴던 대화입니다.
“염전은 국유지이기 때문에 개발 비용(토지 보상비)이 안 든다. 주변 산을 깎아 염전을 매립하고 있으니 곧 광활한 부지가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한국에서 가까운 산동성에도 산업단지가 수두룩한데 교통이 불편한 여기까지 투자 수요가 있을지 미심쩍다.”
“아직 개발 초기라 값싼 인력이 넘쳐 난다. 산동성 칭다오, 옌타이, 장쑤성 쑤저우 등 기존 개발 도시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도 롄윈강을 주목할 것이다.“
“왜 그런가.”
“개발이 집중됐던 곳은 규제의 벽이 높아지기 마련이다. 우리는 물류망과 값 싼 부지, 풍부한 공업용수와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장쑤성 서기가 개발에 성공한 쑤저우의 부지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추가 외자 유치를 위해 같은 성의 새로운 개발지를 찍어 세일즈하는 자리였던 겁니다.
염전 매립 작업이 끝나면 확보가 예상되는 부지 면적은 950만평. 여의도의 4배 면적이라고 합니다. 개발할 만한 땅은 도처에 있었고 값싼 부지와 저렴한 인건비는 중국의 경쟁력이었습니다. 글로벌 생산기지로 부상이 자연스러웠습니다.
외국 자본의 투자 유치에 성(省)간 경쟁이 치열하던 2000년대의 전형적인 중국 산업단지의 풍경입니다. 이런 경쟁의 축적물이 '세계의 공장' 이자 글로벌 공급망의 주축을 이뤘던 수출 공룡 중국이었습니다.
거의 20년 전 얘기를 길게 쓴 이유는 '롄윈강의 염전벽해' 못지 않게 격세지감을 절감하게 되는 뉴스들이 쏟아지기 때문입니다. 외자 유치, 세계의 공장 시대가 저물기 시작하면서 이젠 공급망 디커플링의 시대가 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가장 큰 온수기·보일러 업체 중 하나인 광둥 반워드 뉴 일렉트릭은 미국 고객의 요청에 따라 베트남이나 태국 등에 해외 공장을 건설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루우콩 회장은 FT에 “미국과 유럽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면서 공급망 변화에 고심하고 있다”면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는 올랐는데 원가는 낮출 수 없어 결국 해외 이전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는군요.
중국의 섬유업체인 루타이섬유 등도 동남아시아에 공장 신설을 고려 중이라고 합니다. 홍콩에서 지난주 열린 글로벌 소비재전자 전시회에서는 일부 중국업체들이 자사 부스 입구에 베트남이나 다른 나라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는 현수막을 내걸기도 했다고 FT는 전했습니다.
블룸버그도 중국의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탈중국 압박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 등이 중국 업체와 냉각 부품, 브레이크 시스템 등 각종 부품 생산 계약을 맺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업체에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와 같은 역외 국가에 공장을 지으라고 제안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말이 제안이지 최후 통첩이나 다름 없습니다.
한국으로 공장을 옮기는 중국 배터리 원료(전구체) 기업도 있습니다. LG화학은 17일 중국 화유코발트와 전북 군산 새만금에 1조2000억원 규모의 전구체 생산공장을 짓기로 했다고 합니다.
중국 기업이 한국에 합작 공장을 세우는 이유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타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입니다. IRA 세부 규정에 따르면 중국 등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에서 광물을 채굴하더라도 FTA 체결국에서 가공해 50%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외자기업은 이미 가속페달을 밟고 있습니다. 애플은 베트남이나 인도로 생산기지를 점차 옮기고 있습니다. 애플은 폭스콘에 이어 페가트론을 인도에서 아이폰 14를 생산하는 협력업체로 선정했습니다. 아이폰 제품의 7% 정도를 인도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미·중 대결 국면에서 중국 사업 리스크가 표면화된 이상 서둘러 분산시키는 게 안전하겠다는 판단이 섰다는 뜻일 겁니다.
'세계의 공장' 차이나 시대가 황혼을 물들이며 저물어 갑니다. 디커플링의 시대는 어떤 형태로 모습을 드러낼지 지켜보면서 다음 얘기를 이어가겠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 국방부, 한국 도청 사실이면 사과할 거냐 묻자 "매우 좋은 관계" 말 아껴
- 고작 '2분 머무른' 마취의사…숨진 송사랑 양 수술실 CCTV 봤더니
- "이중계약 사기, 보증금 한 푼 못 받고 쫓겨나게 생겼어요" (신유진 변호사)|상클 상담소
- '정자 냉동'하는 우크라 군인들 늘었다…"애국적인 생각"|월드 클라스
- [영상] "어, 마약 상자가" 이탈리아 바다서 5700억원 어치 마약발견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