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연구 인프라로 반도체 패권 확보”
대전=이기진 기자 2023. 4. 18.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전시는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첨단전략산업 반도체 특화단지(첨단특화단지)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덕 연구단지 등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대전형 반도체 특화단지'로 승부를 걸겠다는 전략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첨단 산단이 산업지도 바꾼다]
대덕연구개발특구-KAIST 등
세계 최고 연구 역량 앞세워
반도체 첨단 특화단지 조성 추진
대덕연구개발특구-KAIST 등
세계 최고 연구 역량 앞세워
반도체 첨단 특화단지 조성 추진
대전시는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첨단전략산업 반도체 특화단지(첨단특화단지)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은 일찍부터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을 준비해왔다. 나노·반도체 산업 육성 전략을 세우고 발전협의회를 출범시키며 지역 역량 강화에 착수했다. 또 독일 머크(MERCK)사와 LX세미콘 등 관련 기업과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대덕 연구단지 등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대전형 반도체 특화단지’로 승부를 걸겠다는 전략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일각에선 충북(SK하이닉스), 경북 구미(삼성SDI) 등과 비교할 때 앵커 기업(선도 기업)이 없다고 지적하지만 인재와 연구 인프라는 대전이 앞선다고 자부한다.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유치 전략을 펴는 중”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첨단특화단지로 지정될 경우 환경 중심의 새로운 반도체 특화단지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탄소중립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등 반도체 분야에 불고 있는 환경 이슈를 선도하겠다는 것이다.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화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도 반도체에 적용할 계획이다.
지난달 30일 서울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반도체 기술패권 경쟁 시대, 대전의 역할’ 토론회에서도 대전의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가 논의됐다. 이 토론회는 대전 대덕구가 지역구인 더불어민주당 박영순 의원, 비례대표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대전시와 KAIST가 공동 주관했다. 이장우 대전시장,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조정실장 등이 참석했으며 기업·대학·출연연구기관 관계자 등도 자리를 지켰다.
주제발표를 맡은 KAIST 장호종 교수는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와 KAIST 등 반도체 분야의 세계 최고 연구역량 및 기반시설을 갖추고 있어 고급 반도체 설계 인력 양성에 최적화된 도시”라며 “국가 중심을 뛰어넘어 세계 중심이 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연구·산업 기능이 집적된 대전에 첨단특화지구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도 ‘일류 경제도시 대전’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며 직접 세일즈에 나서고 있다. 특히 나노·반도체 분야 핵심 설계 및 생산시설을 갖춘 기업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대전시 한선희 전략사업추진실장은 “대전만이 가진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계획을 만들어 공모에 참여했다.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다.
대전시는 그동안 반도체산업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반도체산업 육성 비전 선포 △반도체산업 발전협의회 출범 △반도체산업 육성전략 수립 △지원 조례 제정 등을 추진해 왔다. 최근에는 대전 유성구 교촌동 일대 530만 ㎡(약 160만 평)가 이미 나노·반도체·우주항공 국가산업단지로도 선정됐다.
1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은 일찍부터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을 준비해왔다. 나노·반도체 산업 육성 전략을 세우고 발전협의회를 출범시키며 지역 역량 강화에 착수했다. 또 독일 머크(MERCK)사와 LX세미콘 등 관련 기업과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대덕 연구단지 등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대전형 반도체 특화단지’로 승부를 걸겠다는 전략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일각에선 충북(SK하이닉스), 경북 구미(삼성SDI) 등과 비교할 때 앵커 기업(선도 기업)이 없다고 지적하지만 인재와 연구 인프라는 대전이 앞선다고 자부한다.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유치 전략을 펴는 중”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첨단특화단지로 지정될 경우 환경 중심의 새로운 반도체 특화단지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탄소중립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등 반도체 분야에 불고 있는 환경 이슈를 선도하겠다는 것이다.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화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도 반도체에 적용할 계획이다.
지난달 30일 서울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반도체 기술패권 경쟁 시대, 대전의 역할’ 토론회에서도 대전의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가 논의됐다. 이 토론회는 대전 대덕구가 지역구인 더불어민주당 박영순 의원, 비례대표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대전시와 KAIST가 공동 주관했다. 이장우 대전시장,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조정실장 등이 참석했으며 기업·대학·출연연구기관 관계자 등도 자리를 지켰다.
주제발표를 맡은 KAIST 장호종 교수는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와 KAIST 등 반도체 분야의 세계 최고 연구역량 및 기반시설을 갖추고 있어 고급 반도체 설계 인력 양성에 최적화된 도시”라며 “국가 중심을 뛰어넘어 세계 중심이 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연구·산업 기능이 집적된 대전에 첨단특화지구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도 ‘일류 경제도시 대전’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며 직접 세일즈에 나서고 있다. 특히 나노·반도체 분야 핵심 설계 및 생산시설을 갖춘 기업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대전시 한선희 전략사업추진실장은 “대전만이 가진 우수한 연구 인프라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계획을 만들어 공모에 참여했다.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다.
대전시는 그동안 반도체산업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반도체산업 육성 비전 선포 △반도체산업 발전협의회 출범 △반도체산업 육성전략 수립 △지원 조례 제정 등을 추진해 왔다. 최근에는 대전 유성구 교촌동 일대 530만 ㎡(약 160만 평)가 이미 나노·반도체·우주항공 국가산업단지로도 선정됐다.
대전=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송영길 “이재명과 통화…돈봉투 모르는일, 주말경 입장 발표”
- 野-政 “부동산 3종 규제지역 단순화”… 입법 뜸들일 이유 없다 [사설]
- “포털이 뉴스 질 저하-갈등 유발”…국민통합위 미디어특위 출범
- “미안해요 엄마, 2만 원만 보내주세요” [횡설수설/이진영]
- 연금개혁의 열쇠, 챗GPT는 알고 있다[광화문에서/유근형]
- 전광훈 “국힘 공천권 폐지하라”…김기현 “그 입 닫으라”
- 재정준칙 30개월 미적대더니…여야, 9일간 유럽 출장
- 단수 경고장·약봉투…전세사기에 3번째 극단 선택
- 대통령실, 野 ‘김태효 해임’ 요구 일축…“누구에게 도움 되나”
- 스페이스엑스의 스타십 로켓단 실험발사, 5분 남기고 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