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농도 초미세먼지 땐 비상저감조치 효과 미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에서 시행 중인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고농도 초미세먼지(PM 2.5)를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허창회 교수 연구팀은 2017년 12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서울에서 비상저감조치 발령 기준을 만족한 39일의 PM 2.5 농도 변화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시행 중인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고농도 초미세먼지(PM 2.5)를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허창회 교수 연구팀은 2017년 12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서울에서 비상저감조치 발령 기준을 만족한 39일의 PM 2.5 농도 변화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비상저감조치는 ▷당일 PM 2.5 관측과 다음 날 예측 농도가 50㎍/㎥를 넘을 때 ▷당일에 PM 2.5 주의보나 경보가 발령되고, 다음 날 PM 2.5 예측 농도가 50㎍/㎥를 넘을 때 ▷다음 날 PM 2.5 예측 농도가 75㎍/㎥를 넘을 때 중 하나를 충족하면 발령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비상저감조치 발령기준을 만족한 39일 중 실제 조치가 이뤄진 33일과 그렇지 않은 6일을 비교해도 조치의 효과는 없었다. 조사 결과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지만 초미세먼지 농도가 되레 증가하거나, 하루가 지난 뒤 감소했지만 여전히 인체에 해로운 수준이 유지됐다. 이 같은 농도 감소는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지 않을 때도 나타났다. 연구팀은 비상저감조치 효과가 없는 이유로 국내 미세먼지 배출원에 대한 감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 등을 꼽았다.
연구 결과는 18일부터 오는 21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3 한국기상학회 60주년 기념 및 봄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외에는 국내외 기상관련 전문가 약 800명이 참석하고, 초청 강연을 비롯해 모두 466편의 최신 연구 결과가 공개된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