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부담에 20가구 중 1가구 'LH임대 산다'

연규욱 기자(Qyon@mk.co.kr) 2023. 4. 17. 17: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공임대 138만4천가구 돌파
10년새 입주 두 배가량 급증
'통합공공임대'도 내년 공급
月소득 800만원 이하 가능해
중산층으로 입주 확대 예상
"스마트홈 등 품질 높일 것"
LH 임대주택 입주민이 전국적으로 25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LH가 아파트 건설 50주년을 기념해 건설한 행정중심 복합도시 2-2M2블록 전경. LH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에 전국 약 250만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구광역시 전체 인구(236만명)보다 많은 규모로, 국민 20명 중 한 명은 LH 공공임대주택에 살고 있는 셈이다. 최근 수년간 집값 급등에 따른 공공임대 선호 현상과 LH의 꾸준한 공급 확대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내년부터는 중산층도 입주 가능한 통합공공임대주택을 본격적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17일 LH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LH 임대주택에서 거주하는 실입주민 수는 약 250만명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인구가 5142만명(주민등록인구수 기준)인 점을 감안하면 약 20명 중 한 명(4.9%)은 LH 임대주택에 거처를 두고 있는 셈이다.

LH 공공임대주택 수는 지난 10년간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10년 전인 2013년 전국 75만가구였던 공공임대 거주 가구는 그간 두 배 가까이 증가해 현재 138만4000가구에 이르렀다. 특히 집값이 급등한 2017~2020년 4년 사이에만 33만3000가구가 증가했다. 집값과 전세가격이 급등해 주거비 부담이 커지면서 저렴한 금액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취약계층 위주에서 벗어나 중산층까지 아우르는 주택 유형이 공급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LH 측은 설명했다.

LH는 올해에도 임대주택을 활발히 공급할 계획이다. 유형별로는 건설임대 1만1683가구, 매입임대 2만6380가구, 전세임대 3만160가구 등 총 6만8000여 가구를 올해 공급한다. 특히 건설임대로는 저소득층부터 중산층까지 다양한 계층이 입주 가능한 통합공공임대주택의 공급을 늘려갈 예정이다. 통합공공임대주택은 기존 영구·국민·행복주택 등 유형의 공공임대주택을 하나의 유형으로 통합한 주택이다. 유형별로 상이해 복잡했던 입주자격(소득·자산 기준)은 중위소득 150%(맞벌이 180%) 이하, 자산 3억2500만원 이하로 일원화됐다. 맞벌이 3인 가족의 경우 월소득이 798만원 이하면 신청 가능해졌다. 지난해 1월 시범사업으로 공급된 과천지식정보타운 S-10블록(605가구)은 22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올해는 총 2만5114가구에 대한 사업승인을 받고 2262가구가 착공에 들어가 내년부터 공급이 본격화된다.

통합공공임대주택에는 국민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 등 중형평형(전용 60~85㎡)이 건설임대로는 처음 도입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임대아파트에도 분양아파트 수준의 스마트홈 서비스를 적용한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조명·난방·가스 등을 제어하고, 문열림 감지 기능도 갖춘다. 이 같은 LH 스마트홈 플랫폼은 올해 9월 화성동탄 A-54 블록부터 제공될 예정이다. 하자 보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로처리 품질관리시스템'으로 24시간 하자 접수를 받는 단지도 늘려나갈 예정이다. 하승호 LH 국민주거복지본부장은 "LH 임대주택 입주민이 대도시 인구수를 능가할 정도로 증가해 기존 제도와 서비스로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며 "입주민 서비스 디지털화, 취약계층 주거복지서비스 등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연규욱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