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 질주' 벤츠·BMW 10년새 매출 3조→13조

김성진 2023. 4. 17. 16: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수입 승용차 시장을 이끄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BMW코리아가 지난해 각각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두 업체가 지난해 거둔 매출의 합은 13조원으로, 10년 전 3조원과 비교하면 무려 4배가 넘는 외형 성장을 이룬 것이다.

벤츠코리아와 BMW코리아는 2012년 매출의 합은 약 3조원(각각 1조2953억원, 1조7278억원)에 불과했는데, 10년 만인 2022년에는 그 규모가 무려 13조원으로 불어난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벤츠·BMW 모두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벤츠 7조5400억, BMW 5조7900억
합산 점유율 50% 초과..양강체제 확고

[이데일리 김성진 기자] 국내 수입 승용차 시장을 이끄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BMW코리아가 지난해 각각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두 업체가 지난해 거둔 매출의 합은 13조원으로, 10년 전 3조원과 비교하면 무려 4배가 넘는 외형 성장을 이룬 것이다. 꾸준한 판매량이 뒷받침되는 상황에서 최근 프리미엄 모델과 전기차 등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비중이 증가한 덕분으로 분석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지난해 7조54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벤츠코리아가 2003년 국내 시장에 진출한 이후 최대 실적으로 전년 대비 23.1% 매출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또한 전년보다 29.6% 늘어난 2818억원으로 집계돼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벤츠 E클래스.(사진=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벤츠코리아와 함께 양강체제를 이루고 있는 BMW코리아 역시 지난해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BMW코리아는 전년 대비 23.9% 늘어난 5조789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BMW코리아가 5조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한 것은 1995년 한국 시장에 진출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두 업체가 호실적을 거둔 배경에는 판매량 증가가 자리한다. 벤츠코리아는 지난해 전년 대비 6.3% 증가한 8만976대의 판매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수입 승용차 판매 대수가 28만3435대인 점을 고려하면 벤츠코리아가 전체 수입차 시장에서 30%에 가까운 판매 비중을 차지했다.

BMW 5시리즈.(사진=BMW코리아.)
BMW코리아의 판매량 증가 폭은 더 컸다. BMW는 지난해 7만8545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판매량을 19.6%나 끌어올렸다. BMW코리아의 또 다른 브랜드 MINI의 판매량(1만1213대)이 전년 대비 0.6% 증가에 그친 것을 보면 사실상 BMW 홀로 BMW코리아의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국내 수입 승용차 시장을 주도해온 두 업체의 높은 성장세가 한 눈에 들어온다. 벤츠코리아와 BMW코리아는 2012년 매출의 합은 약 3조원(각각 1조2953억원, 1조7278억원)에 불과했는데, 10년 만인 2022년에는 그 규모가 무려 13조원으로 불어난 것이다.

업계에서는 앞으로도 두 업체의 호실적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두 업체가 국내 수입 승용차 시장 점유율을 50% 이상 차지해 탄탄한 지위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아우디와 폭스바겐이 각각 15% 수준의 높은 점유율을 기록해 벤츠와 BMW를 견제했지만, 현재는 점유율이 6%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다.

올 1분기 기준으로도 BMW는 1만8134대를 판매해 29.4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벤츠는 1만4952대로 24.2%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여전히 양사의 합산 점유율이 50%를 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새 수입 승용차에 대한 가격 저항이 많이 줄어들었다”며 “전기차와 SUV 등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확대로 호실적이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진 (jin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