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개 식용 종식해야"…고민정 "尹이 해야 할 말인데"

이미나 2023. 4. 17. 11: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주 7건의 일정을 소화한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에 대해 "누가 대통령인가"라고 말했다.

고 최고위원은 '임기 내 개 식용 종식 노력', '정부가 생사 확인과 귀환에 힘써야' 등 김 여사의 발언을 예로 들며 "이런 발언들은 대통령이 책임감을 가지고 해야 할 말들이다"라며 "개 식용 종식은 국회 입법으로 해결해야 하고, 생사 확인은 정부의 강한 의지와 외교력으로 풀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물보호단체 만난 김건희 여사
"尹정부 임기 내 개 식용 종식"
고민정 "국회 입법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지난해 5월 반려견들과 시간을 보내는 모습. /사진=페이스북 건희사랑 캡처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주 7건의 일정을 소화한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에 대해 "누가 대통령인가"라고 말했다.

고 최고위원은 17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여사는) 정치권 접촉, 유가족 만남 등 대상을 가리지 않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고 최고위원은 '임기 내 개 식용 종식 노력', '정부가 생사 확인과 귀환에 힘써야' 등 김 여사의 발언을 예로 들며 "이런 발언들은 대통령이 책임감을 가지고 해야 할 말들이다"라며 "개 식용 종식은 국회 입법으로 해결해야 하고, 생사 확인은 정부의 강한 의지와 외교력으로 풀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여사의 말 한마디면 여당 국회의원들이 법을 척척 내주고, 인사청문회를 거친 장관들이 영부인의 지시사항이라며 외교 테이블에서 의제로 논의되고 그러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2부속실을 만들어 대통령부속비서관실이 여사를 보좌하는 지금의 기형적 시스템을 원상복구 해야 한다"면서 "김 여사는 대통령 기둥 뒤에 숨어 꼼수를 쓰지 말라"고 비판했다.

김 여사는 지난 주 내내 대외 활동을 활발히 하는 등 광폭 행보를 벌였다. 지난 9일 서울 중구 영락교회에서 열린 부활절 연합예배에 윤 대통령과 함께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11일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명예회장으로 추대돼 추대식에 참석했다.

12일엔 경기 파주에서 납북·억류자 가족들을 만나 위로하는 시간을 가졌고, 13일엔 3년 전 한강 투신실종자 수색 중 순직한 한강경찰대 고 유재국 경위의 가정을 방문해 위로했다.

14일 대전 태평전통시장을 찾아 상인들을 만났고 이에 앞서 대전시 소재 한밭종합사회복지관을 방문해 새마을 이동 빨래방 봉사활동에 참여했다.

김건희 여사가 12일 경기도 파주시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을 찾아 납북자·억류자 가족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 여사는 최근 동물보호단체 관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개 식용을 정부 임기 내에 종식하도록 노력하겠다. 그것이 저의 본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여사는 "(TV 프로그램) 동물농장에서 학대 장면을 보면 3박 4일 잠을 못 잔다"면서 동물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개 식용 문제는 1980년대부터 사회와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꼽혀왔다. 이와 동시에 국내에서는 여전히 찬반이 엇갈리고 있는 해묵은 논란이기도 하다.

김 여사는 지난해 6월 13일 언론 인터뷰에서 "경제 규모가 있는 나라 중 개를 먹는 곳은 우리나라와 중국뿐"이라며 개 식용 종식을 주장했다.

김 여사는 경기 파주 국립 6·25 전쟁 납북자 기념관에서 납북자와 억류자 가족들을 만나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하는 평범한 일상과 자유를 빼앗기고 이들의 생사도 모른 채 수십 년을 지내야 하는 아픔은 감히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저마다 사연은 다르지만, 우리 국민의 일이고 우리 모두의 아픔이다. 수십 년 동안 한이 됐을 것"이라며 "이제는 정부가 국제사회와 힘을 모아 납북자·억류자의 생사 확인과 귀환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