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빚 내서 돌려 막다보니" 악순환 거듭.. 3명 중 1명 '30대'
전체 취약차주의 37%.. 30대 이하
1년 새 46만 명으로 증가 '심화'
다중채무 연체액 1년간 25% 늘어
이자 부담 낮출 금융 위기대책 시급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빚을 낸 다중채무자가 크게 늘었습니다.
3명 중 1명이 30대 이하 청년층으로 나타났습니다.
1년 사이 늘어난 30대 다중채무자가 6만 명을 훌쩍 넘었습니다.
가뜩이나 기준금리가 오를 시기가 맞물린 탓에, 고금리 대출을 갚으려 돈을 빌리고, 빚을 갚는 이른바 '돌려막기'에 나선게 빚을 불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고금리 대출 부담은 고스란히 청년층에 집중됐습니다.
분기별 빚이 늘어난 연령대는 30대가 유일해 '영끌', '빚투'의 여파가 유독 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 다중채무자 30대 이하 142만 명 육박.. 1년 새 157조 늘어
오늘(17일) 한국은행이 더불어민주당 경제위기대응센터 진선미 자문위원장(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서울 강동구갑)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4분기 기준 전국(서울~제주) 30대 이하 다중채무자 수는 1년 동안 6만5,000명 늘어난 141만9,000명으로 이들의 대출잔액은 157조4,00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바로 전분기 139만 명, 155조1,000억 원에 비해서 2만9,000명, 2조3,000억 원이 늘어난 수준입니다.
또 60대 이상 다중채무자는 1년 사이 4만 명 늘어난 58만1,000명으로 대출잔액은 6,000억 원 증가한 74조2,000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 30대 다중채무자, 연령대별 유일 '분기별 증가'.. '돌려막기' 심화
다중채무자 1인당 평균 대출잔액은 30대가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30대 이하 1인당 평균대출잔액이 1억1,323만 원으로 전년(1억1,158만 원)보다 200만 원 가까이 늘어난 반면, 40대 1억4,367만 원으로 전년(1억4,500만 원)보다 줄고 50대 1억4,080만 원, 60대 이상 1억2,771만 원으로 각각 전년(50대 1억4,219만 원, 60대 1억2,889만 원)보다 소폭이나마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이 같은 추세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년층 중심의 '빚 돌려막기'식 대출이 심화 양상임을 반증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 30대 취약차주 대출 지속 늘어.. 1년 새 46만 명↑
특히 신용등급은 낮고 소득이 적은 취약차주인 30대 이하 청년층 대출이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매분기 증가세인데다 1년 새 늘어난게 50만 명에 육박했습니다.
전 연령대에서 1년간 취약차주가 6만 명 증가한 126만 명인데 이가운데 중 30대 이하 취약차주는 46만 명으로 전체 36.5%를 차지했습니다.
같은 기간 30대 이하 취약차주 수는 4만 명 이 늘어 5년 간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022년 4분기 가계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93조 9,000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조 1,000억 원 늘었습니다.
한은은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합니다.
이들은 고금리 추이 속에 대출 상환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기간 60대 이상의 취약차주 또한 2만 명 증가한 19만 명으로 전체의 15.1% 수준을 차지했습니다.
■ 연체율 악화세.. 다중채무자 연체 6조4,000억 원 달해
가계 금융건전성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인 연체율도 다시 악화되는 추세입니다.
1년 동안 전 연령대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가운데 다중채무자 연체액은 6조4,000억 원으로 1년 동안 1조3,000억 원이 늘었습니다.
증가율은 25%에 달했습니다.
이 같은 연체율 상승 추세는 최근 15년 동안 최저 수준이었던 지난해 가계대출 연체율이 코로나19 금융지원에 의원 안정 효과가 끝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진 위원장은 지적했습니다.
이에따라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대출잔액 증가와 만기연장, 상환유예 등의 금융지원에 의한 일시적 연체율 안정세가 끝나가는 시점에 연체 리스크가 심화될 수 있다는 주문이 나왔습니다.
진 의원은 "다중채무자가 급격히 증가한 상태로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올라 청년과 노인층 중심으로 이자부담이 가중되면서, 자산건전성을 더 악화시킬 우려가 크다"면서 "취약차주 지원을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은 물론, 정책금융 확대 등을 통한 민생금융 위기 대응책을 즉각 시행하는게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