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메신저 메디TALK] 봄 황사에 알레르기 비염도 심해진다
3년 넘게 전 세계를 강타했던 코로나가 크게 약화돼 이젠 엔데믹을 기대하며 마스크를 벗고 산뜻한 봄 공기를 즐기리라 기대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예년보다 일찍 시작된 봄에 설렐 즈음, 미세먼지와 황사의 공격이 시작됐다. 이뿐만 아니라 서둘러 온 봄에 꽃이 일찍 피면서 꽃가루도 예년보다 빨리, 그리고 더 많이 날리고 있다. 이 모두는 코 건강에 적신호다.
미세먼지나 황사 같은 대기오염 물질과 꽃가루는 머리카락 굵기보다 훨씬 작고(직경 10㎛ 이하) 가벼워서 공기 중에 잘 떠다닌다. 이것이 콧속에 들어가면 코점막과 기도를 자극해 염증을 일으킨다.
꽃가루에 알레르기가 있는 비염 환자는 꽃가루를 흡입했을 때 콧속의 점막에서 과잉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이런 과민 반응의 결과로 재채기나 콧물, 코막힘, 코나 눈 가려움증 등 불편하고 성가신 증상이 시작된다. 이것이 누적되면 코점막에 만성 염증이 생기는데 이게 바로 알레르기 비염이다.
그런데 미세먼지나 황사가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의 콧속에 들어갔을 때도 이와 거의 비슷한 반응이 일어난다. 이런 대기오염 물질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단백질 성분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코점막의 염증 반응을 일으켜 꽃가루를 흡입했을 때와 같은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미세먼지나 황사를 비롯한 대기오염은 꽃가루 알레르기 비염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미 꽃가루를 흡입한 콧속에서는 알레르기 반응으로 염증이 생기기 시작하는데, 여기에 미세먼지나 황사의 공격까지 더해지면 염증 반응은 한층 강해진다. 간헐적으로 나던 콧물이 수도꼭지를 틀어놓은 듯 줄줄 흐르고, 재채기가 연신 터지며, 코가 심하게 막혀 코로 숨 쉬지 못할 지경에까지 이르기도 한다.
꽃가루 알레르기 비염이 점차 악화되는 데는 지구온난화라는 기후 요인도 작용한다. 기온이 올라가면 꽃이 피는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꽃이 피어 있는 기간도 길어져 꽃가루의 양이 증가한다.
꽃가루가 많아지면 알레르기 비염이 더 쉽게 발병하는 것은 당연하다. 꽃가루에 알레르기 반응이 생기는 것을 '감작'이라고 하는데, 꽃가루를 많이 접할수록 알레르기가 없던 사람이 새로 감작될 가능성이 높고, 원래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던 환자도 다른 종류의 꽃가루에 감작되기 쉽다.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자. 꽃가루 알레르기 비염이 있다면 봄꽃 축제는 가지 말아야 할까. 그건 아니다. 다행히도 벚꽃이나 개나리, 목련, 복사꽃같이 크고 화사한 꽃은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는다. 봄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은 참나무, 소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 등 키 큰 나무의 꽃이다. 3월부터 오리나무와 자작나무가 꽃가루를 날리고, 4월이면 참나무가 뒤를 이으며, 5월에는 소나무 꽃가루가 기승을 부린다.
날씨에 따라서도 공기 중 꽃가루의 양이 달라진다. 꽃가루는 초속 2m 이내의 바람이 불 때 잘 퍼지고, 비 온 후 약한 바람이 부는 날 농도가 가장 높다. 비가 오면서 땅에 떨어졌던 꽃가루가 빗물이 증발하며 생긴 대류 현상으로 공기 중으로 떠오르고 약한 바람을 타고 널리 확산되기 때문이다.
이쯤에서 독자 중에는 '나는 알레르기 비염이 없으니 별 상관없겠군' 하고 안심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건 오해다. 미세먼지나 황사에는 인체에 심각한 해를 끼치는 중금속도 포함돼 있는데 아주 작고 가벼워서 코에서 걸러지지 않고 기관지와 폐까지 들어가 차곡차곡 쌓인다. 또 일부 수용성 물질은 혈액에 녹아 혈관을 타고 온몸 구석구석으로 퍼진다. 이런 물질은 암이나 치매 등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다.
지금까지 얘기한 위험에서 벗어나려면 꽃가루나 미세먼지, 황사가 날릴 때 되도록 외부 활동을 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지만, 불가피하게 외출해야 한다면 마스크를 다시 꺼내 써야 한다. 덴탈 마스크나 비말 차단 마스크로는 부족하고, 좀 더 차단력이 뛰어난 KF94나 KF80이 필요하다.
외출 후에는 옷과 머리를 잘 털고 집으로 들어가며, 생리식염수로 콧속을 씻는 코 세척을 하고 가글액으로 목을 헹구는 것이 좋다. 마스크와 코 세척, 가글, 이 세 가지만 챙겨도 안심하고 봄바람을 즐길 수 있다. 이래저래 올봄에도 마스크에서 벗어나기는 힘들게 됐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갑자기 안하던 행동을 하네”…한국에 손 내미는 중국, 왜 - 매일경제
- “남편 없는 사이 5개월 친아들 700만원에 팔다니”…중국女, 그돈으로 한 짓 - 매일경제
- ‘日총리에 폭탄물 투척’ 20대 일본男, 경찰에 붙잡히자 한 말 - 매일경제
- 구글 충격에 빠뜨린 삼성전자…설마 진짜 바꾸려나 - 매일경제
- “세금만 내고 여행 가자”...에어서울, 항공 운임 ‘0원’ 특가 - 매일경제
- 골칫덩이 플라스틱의 재발견?...이것 만들때 연료로 쓰겠다는데 - 매일경제
- 한국은행의 연이은 금리동결을 어떻게 볼 것인가[매일 돈이 보이는 습관 M+] - 매일경제
- “스타필드가 온다”...인구 120만명 도시 대표할 명소로 뜰까 - 매일경제
- “이러다 큰일 날라” 이자 부담에 부실징후기업 185개, 대책은? - 매일경제
- 페퍼로 이적한 박정아, 김연경와 어깨 나란히→7억 7500만원→여자부 최고 연봉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