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준칙 뒷전' 韓 국가채무비율 '비상'…非기축국 평균 '넘었다'

세종=유재희 기자 2023. 4. 16. 14: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비기축통화국들의 평균을 넘어섰다.

앞으로 우리나라 국가채무비율이 6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이 나오지만 나랏빚을 제어할 '재정준칙' 법제화는 여전히 미지수다.

우리나라의 D2 비율이 비기축통화 10개국 평균치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비기축통화국인 우리나라의 나랏빚 증가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광호 기자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오후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서 열린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재정준칙 컨퍼런스'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 2022.8.18/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비기축통화국들의 평균을 넘어섰다. 코로나19(COVID-19) 회복 과정에서 다른 국가들은 재정건전성 관리에 주력했지만 우리나라는 나랏빚을 키운 영향이다.

앞으로 우리나라 국가채무비율이 6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이 나오지만 나랏빚을 제어할 '재정준칙' 법제화는 여전히 미지수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사실상 정치권 논의에서 뒷전으로 밀린 탓이다.

16일 IMF(국제통화기금)가 최근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일반정부 채무(D2) 비율은 54.3%다.

D2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국가채무(D1 중앙정부+지방·교육 지자체 부채)에 비영리 공공기관 채무를 더한 채무다. 국제사회에서 각국의 채무를 비교할 때 주로 활용된다.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D2 비율은 IMF가 선진국으로 분류하는 전 세계 35개국 중 한국을 제외한 비기축통화 10개국의 지난해 연말 기준 D2 비율 평균(52.0%)보다 높다. 우리나라의 D2 비율이 비기축통화 10개국 평균치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요인은 다른 국가들이 코로나19 회복 이후 재정건전성을 관리했지만 우리나라는 오히려 지출폭을 확대했기 때문이다.

실제 비기축통화국들의 D2 비율은 2021년 55.6%에서 2022년 52.0%로 낮아졌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D2 비율은 오히려 51.3%에서 54.3%로 올랐다.

문제는 앞으로다. 올해 말 D2 비율은 추가로 뛴다. IMF는 연말 기준 우리나라 D2 비율을 55.3%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 10월 내놓은 54.4%보다 0.9%포인트 높다. 내년 국가채무 비율 전망치는 55.9%로 기존 대비 0.7%포인트, 2025년 전망치는 56.6%로 0.5%포인트, 2026년은 57.2%로 0.3%포인트 높였다.

비기축통화국인 우리나라의 나랏빚 증가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일반적으로 국제 금융시장에서 비기축통화국의 채권 수요는 미국·영국·일본 등 기축통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우리나라가 향후 빚을 갚기 위해 유동성을 마련할 여력이 적다는 얘기다. 일각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 신용등급 등 대외신인도를 고려해 재정건전성을 평시에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나랏빚 증가 속도를 제한하는 재정준칙 법제화 논의는 더디다. 준칙의 골자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을 3% 이내로 관리하고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60%를 넘으면 적자 한도 비율을 2%로 축소하자는 강도 높은 재정건전화 방안이 담겼다.

그러나 최근 정치권은 재정준칙 도입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1년 안팎 남은 총선을 앞두고 논의를 미뤘다. 이에 대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미국 뉴욕 기자간담회에서 "전 세계 106개국이 있는 재정준칙이 한국에 없는 게 말이 되느냐"면서 "경제는 한결같이 어렵고 참담한데 이럴 때마다 정치는 재정을 방만하게 운용하고 싶어 하는 유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