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 0' 삼성SDI, '배터리 기회의 땅' 美에서 보폭 넓힐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SDI가 '기회의 땅' 미국에서 보폭을 더 확대하게 될까.
배터리 업계에서 삼성SDI의 미국 공장 증설을 놓고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다.
13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미국 시장에서 삼성SDI 배터리 점유율은 8% 수준이다.
배터리업계는 삼성SDI가 추가적인 북미 공장 증설에 나설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SDI가 '기회의 땅' 미국에서 보폭을 더 확대하게 될까. 배터리 업계에서 삼성SDI의 미국 공장 증설을 놓고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다.
13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미국 시장에서 삼성SDI 배터리 점유율은 8% 수준이다. 파나소닉(48%)과 LG에너지솔루션(18%)·SK온(10%)은 물론 중국의 CATL(14%)에도 밀린다.
삼성SDI의 경우 현재 북미 지역에서 가동하고 있는 공장이 없다. 북미 수요는 울산과 헝가리 공장 생산분 수출을 통해 충당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이 미시간주 공장(20GWh, 기가와트시)과 오하이오주 얼티엄셀즈(GM과 합작사) 1공장(45GWh)을, SK온이 조지아주 공장(22GWh)를 돌리고 있는 것과 차이가 난다.
격차는 더 벌어질 수 있다. 삼성SDI는 2025년까지 인디애나주에 23GWh 규모의 스텔란티스와의 합작 공장을 만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그때까지 LG에너지솔루션은 250GWh, SK온은 150GWh 이상의 생산거점을 마련한다. 삼성SDI는 인디애나주 공장에 10GWh 규모를 추가하고, 미시간주에 최대 50GWh 규모의 GM과 합작 공장을 만드는 것 역시 추진하고 있지만, 절대적인 규모에서 열세다.
2025년까지 북미 생산거점이 없기 때문에 IRA(인플레이션방지법)의 직접적인 수혜를 당장 기대하기 어렵다. 예컨대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의 경우 올해부터 AMPC(생산세액공제)를 통해 수천억원 대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삼성SDI는 이 부분 혜택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AMPC는 올해부터 미국 내에서 생산 및 판매한 배터리 셀/모듈에 일정액의 보조금(셀 35달러/kWh, 모듈 10달러/kWh)을 받을 수 있는 법 조항이다.
삼성SDI는 지금부터 시장에 대응하기 시작해도 늦을 게 없다는 분위기다. 삼성SDI는 그동안 하이니켈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배터리를 앞세운 고급화 전략을 펴왔다. 주요 배터리 납품 대상이 BMW나 아우디 등 프리미엄 브랜드에 몰렸다. IRA 보조금의 경우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는 8만 달러, 세단은 5만5000 달러 이하에 적용하는데 삼성SDI 배터리 납품 모델의 경우 대부분 이보다 비싼 것으로 알려졌다. 어차피 보조금 혜택을 당장 받을 모델이 많지 않다는 의미다.
북미 시장에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대응한다는 뜻은 아니다. 삼성SDI 역시 미국 생산거점 마련에 나선 이유다. 미국은 가장 빨리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이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미국 전기차 시장 성장률은 38%로, 중국(24%)과 유럽(21%)을 압도할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아예 2032년까지 자국 내 판매되는 신차의 67%를 전기차로 채우도록 하는 규제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IRA 보조금 혜택+전기차 의무 비율'로 배터리 수요가 급증할 환경이 마련됐다.
배터리업계는 삼성SDI가 추가적인 북미 공장 증설에 나설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SDI가 그동안 프리미엄 시장에 주로 대응해왔지만, IRA 보조금·세액공제라는 당근까지 완전히 배제할 순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SDI가 배터리 납품 포트폴리오에 'IRA 보조금 가능 차량'을 대거 늘리는 방향을 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북미에서 협업을 추진하고 있는 스텔란티스(피아트크라이슬러+푸조시트로엥)·GM 등의 경우 중급 자동차 브랜드로 분류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미국에서 배터리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배터리의 미국 내 생산' 원칙이 확실하게 자리잡고 있어 대세를 거스를 수 없을 것"이라며 "추가적인 업체와 파트너십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최경민 기자 brow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중3 때 임신→남친 설득에 자퇴해"…배윤정 "욕 나올 뻔" 분노 - 머니투데이
- '5세 연상' 엄현경, 軍복무 차서원과 결혼·임신…"내년 전역" - 머니투데이
- 서장훈 "나도 '길일'에 결혼했는데 이혼"…신점 맹신 예비신부에 일침 - 머니투데이
- '사생활 논란' 김선호 "지금 울고 싶다, 고민 많아"…심경 고백 - 머니투데이
- 쓰레기통서 옷 주워입은 백종원…'옷 주인' 이장우가 한 말 - 머니투데이
- 구로 디큐브시티, 현대백화점 나가고 '스타필드 빌리지' 온다 - 머니투데이
- "이게 나라냐" vs "이겼다" 법원 앞 희비…놀란 의원들도 이재명 침묵 배웅 - 머니투데이
- 무대 내려오면 세차장 알바…7년차 가수 최대성 "아내에게 죄인" - 머니투데이
- '투자의 달인' 버핏이 애플 판 돈으로 사들인 주식은? - 머니투데이
- '토막 살인' 양광준의 두 얼굴…"순하고 착했는데" 육사 후배가 쓴 글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