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도입하는 전자전기, 국내 연구개발 한다지만…[김관용의 軍界一學]
외산 항공기 들여와 국내 개발 임무 장비 장착
외형상 업체 주관 연구개발, 장비 개발은 ADD 주관
업체는 기체 개조 역할 그쳐, 책임만 떠안을 듯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우리 군이 전자전 항공기(전자전기)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항공기 자체는 해외에서 들여오더라도 여기에 탑재되는 임무 장비를 국내 연구개발하겠다는 것입니다.
우리 군은 지난 13일 제152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전자전기 사업추진기본전략(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 이를 위한 예산은 1조 8500억 원 규모로 사업 기간은 내년부터 2032년까지입니다. 현행 법상 500억 원 이상의 대규모 사업은 사업타당성조사를 거치도록 돼 있어 필요성과 경제성 등을 검토해 최종 추진방안이 수립될 예정입니다.
EA-18G 그라울러 vs EC-130H 콤파스콜
전자전기는 기존 항공기를 개조해 전자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항공전자장비를 탑재한 특수 임무기입니다. 전자장비와 교란장치를 이용해 적의 통신망과 대공레이더를 무력화합니다. 전자전기는 크게 나눠 전투기를 기반으로 하는 ‘에스코트 재머’(Escort Jammer) 형태와 수송기 또는 제트기를 기반으로 제작한 대형의 ‘스탠드오프 재머’(Stand-off Jammer)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은 EA-18G 그라울러의 ALQ-99 POD를 대체하는 새로운 EA-18G 넥스트 제너레이션 재머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스탠드오프 기종인 EC-130H 역시 속도와 상승고도 등의 한계에 따라 수송기가 아닌 걸프스트림 G550 기반 제트기로 플랫폼을 바꿔 EC-37B 컴파스콜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촘촘한 北 방공망…전자전기 도입 사업 추진
북한 평양의 방공망 밀도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습니다. 2022년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군 방공체계는 공군사령부를 중심으로 항공기, 지대공미사일, 고사포, 레이더 부대 등으로 통합 구축돼 있습니다. 전방지역과 동·서부 지역에 SA-2와 SA-5 지대공 미사일이 배치돼 있고, 특히 평양 지역에는 SA-2·SA-3 지대공미사일과 고사포를 집중 배치해 다중의 대공 방어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 GPS 전파교란기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 교란 장비까지 개발해 대공방어에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유사시 방공망을 뚫고 평양을 타격해야 하는 우리 군은 전자전기가 없습니다. 한미연합연습이나 훈련 때마다 미군의 전자전기 지원을 받아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백두정찰기가 있긴 하지만, 이는 통신정보와 신호정보 수집에 국한된 항공기입니다.
이에 공군은 2013년 차세대전투기(FX) 사업을 추진하면서 보잉의 F-15SE(사일런트 이글)와 EA-18G 그라울러를 함께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바 있습니다. 록히드마틴의 F-35A를 도입하기로 최종 결정하면서 그라울러 도입 역시 무산됐습니다. 이에 2019년부터 전자전기 국내 개발을 위한 절차가 진행됐습니다. 그러나 이 역시 군의 소요검증을 통과하지 못하면서 좌초 위기를 겪기도 했습니다.
우리 군이 도입하는 전자전기는 중·대형 항공기 기반 스탠드오프 재머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스탠드오프 재머 형태가 아닙니다. 평시에 신호정보기로도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북한 등 적성국에 대한 신호정보 수집과 통신장비 감청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레이더 정보 역시 수집합니다. 통신대역에 대한 정보 수집과 재밍 등의 기능을 함께 갖고 있기 때문에 큰 안테나를 장착할 수밖에 없어 전투기나 공격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또 주변국 위협신호 수집·분석과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임무도 담당합니다. 방사청 관계자는 “장거리 작전이 가능하고 평시에 활용도가 크다는 게 스탠드오프형 전자전기의 장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전자전기 연구개발 사업은 관련 업체가 주관이 돼 체계종합을 하고, 탑재 임무 장비 연구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주관하는 형태입니다. 체계종합과 플랫폼 항공기, 탑재 장비 등을 모두 방위사업청이 직접 도입하는 관급 계약 형태로 진행됩니다.
그런데 어차피 이번 사업은 C-130 수송기나 보잉 737, 봄바디어 글로벌 6500, 걸프스트림 G800 등의 항공기를 수입해 와 자체 개발한 임무 장비를 통합하는 것입니다. 체계종합을 ADD 주관으로 하고 각 임무 장비를 방산 전자기업들이 나눠 개발하는 형식이 더 타당해 보입니다.
그러나 자체 기술성숙도(TRL) 측정 결과 ADD가 더 잘할 것 같아 이렇게 정했다고 합니다. 평상시 국가기관인 ADD와 방산업체 간 관계를 감안했을 때, 업체는 플랫폼으로 활용할 항공기를 개조하는 역할에 그칠 가능성이 큽니다. 말이 업체 주관이지, 실제 사업은 ADD가 주도하면서 개발 실패에 대한 부담만 업체가 떠안을 공산이 크다는 얘기입니다.
김관용 (kky144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상] "살아있는게 행운"..기시다 바로 옆에 떨어진 폭발물
- 극단선택 위해 고속도로서 시속 200㎞로 버스 들이박은 30대 여성
- 英 이코노미스트의 경고…“삼성전자 감산은 안주 신호”
- "내 아내 왜 만나"…모텔서 불륜남 머리에 벽돌 던진 남성[사랑과전쟁]
- 정미애 "설암 3기, 혀 1/3 잘라내…가수 못하겠다고 포기하기도"
- "기시다에 폭발물 던진 용의자, 24세 효고현 남성" (속보)
- [누구차]두 아들의 아빠..LG트윈스 '오지환'의 미니밴은?
- "손님, 커트 한번에 10만원입니다"[그래서 어쩌라고]
- ‘돈봉투 90개’ 풍전등화 민주당…檢 칼끝, 어디까지 [국회기자 24시]
- "집 안 살게요"…'가계약금' 걸었는데 어떻게?[똑똑한 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