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총재 "초고속 뱅크런 안전장치...디지털·자본·건전성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요 20개국 중앙은행 총재·국제통화기금·세계은행그룹 회의 참석차 미국 방문 중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4일(현지시간) "지금의 디지털 속도로 볼 때 (은행의) 담보 수준이 적적한 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어 "(뱅크런 등을 대비해 지급 보증을 위한) 은행의 담보 자산 기준을 높여야 하는지 한 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안전장치에 관한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요 20개국 중앙은행 총재·국제통화기금·세계은행그룹 회의 참석차 미국 방문 중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4일(현지시간) “지금의 디지털 속도로 볼 때 (은행의) 담보 수준이 적적한 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에서 드러난 초고속 뱅크런(대량 예금 인출) 사태에 대비한 안정장치를 둬야 한다는 이야기다.
이 총재는 이날 워싱턴 특파원 간담회에서 “한은 결제망에 들어오는 기관은 지급 보증을 위한 잠보자산이 있는데, 결제 양이 확 늘면 거기에 맞춰 담보도 늘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이어 “(뱅크런 등을 대비해 지급 보증을 위한) 은행의 담보 자산 기준을 높여야 하는지 한 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안전장치에 관한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 총재는 “SVB같은 사태가 우리나라에 일어난다는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훨씬 안전하다”면서도 “그런 사태가 일어날 때를 대비해야 한다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디지털 뿐 아니라 자본과 건전성이 유지되는지 봐야 한다. (사람들이 돈을) 빨리 옮기려고 핸드폰으로 예금을 빼는데, 못 돌려주고 기다리면 그 사이 불안이 커질 수 있다. 어떤 제도를 바꿔야 하는지 출장 기간 많은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시장의 감독 체계가 바뀌었지만, 디지털 뱅킹 도입으로 그 유효성이 현저히 떨어졌다고 이 총재는 진단했다. 이 총재는 “시간을 갖고 문제를 정리할 기회를 소셜미디어 등에서 주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SVB 사태를 계기로 물가 안정과 금융 안정이 함께 고려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주요국에서 많이 형성된 것 같다”면서 “미국도 SVB 사태가 완전히 끝났다고 보는 것 같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