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한국의 사회지표’에서 찾은 부동산 상승 키워드 4
3월 통계청은 지난해 한국 사회상을 담은 '2022 한국의 사회지표'를 발표했다. 변화하는 대한민국 사회상을 꼼꼼한 통계로 보여주는 '한국의 사회지표'는 1979년부터 공표되기 시작한 '장수통계'로, 사회·경제를 바라보는 인식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부동산은 대한민국 사회·경제 분야의 거시 트렌드와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 궤적을 그려나간다. 부동산의 장기적인 가치 상승 여부는 단기 시장 사이클과 여론의 잡음이 아니라, 거시 트렌드와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지 혹은 미래 트렌드를 선도할 만한 매력이 있는지에 달렸다. '2022 한국의 사회지표'에 담긴 거시 트렌드를 살펴보면 인구·가구 추계 같은 부동산의 미래 수요는 물론, 건강, 교육, 노동 분야의 변화를 통해 주택의 미래 입지 힌트도 얻을 수 있다. 코로나19나 자연재해 같은 중대한 사회 이슈가 대한민국 부동산에 어떤 티핑포인트(tipping point: 작은 변화가 일어나도 갑자기 큰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로 작용할 것인지 내다볼 수 있다. 이제 대한민국 부동산의 중장기 가치를 결정할 사회·경제 분야 거시 트렌드를 빅데이터로 샅샅이 살펴보자.
삼성반도체 품은 평택·화성 미분양 감소
한국의 사회지표가 가장 먼저 다루는 통계는 '인구'다. 2022년 합계출산율은 0.78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인구절벽의 공포를 확산했다. "내가 살고 있는 도시의 인구가 사라진다"는 공포가 급속히 전염될수록 인프라가 집중된 수도권으로 인구 집중은 가속화된다. 이에 따라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00년 46%에서 2022년 50%로 증가했으며, 2050년에는 53%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수도권 인구 집중은 주택시장의 수급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미분양 분포에도 고스란히 반영된다. 2월 전국 미분양의 83%가 지방에 몰려 있으며 수도권 비중은 17%에 불과하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때 54%까지 치솟았던 수도권 미분양 비중을 감안하면 현재 지방으로 쏠린 극단적인 미분양 분포는 지난 10년간 가속화된 수도권 인구 집중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2만 호 수준에 머무르던 미분양이 1년 사이 3배나 증가해 대한민국 부동산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수요의 무게추가 수도권으로 완전히 기울어진 현 상황에서 앞으로도 수도권 미분양의 급발진 가능성은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수도권에서 미분양이 줄어들고 있는 도시를 꼽자면 경기 평택시(1176채), 안성시(1074채), 화성시(911채)다. 이 도시는 지난해 말을 기점으로 미분양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부동산 공포심리가 정점에 다다르는 와중에도 이들 도시의 미분양이 감소하는 원인 역시 '인구이동'에서 찾을 수 있다. 미래 주택 수요라 할 수 있는 경제초년생(30대)의 이동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이 집중된 도시 1위가 평택시였으며 2위가 화성시였다. 평택시와 화성시 모두 '삼성반도체'가 창출하는 양질의 일자리로 유명한 곳이다. 이외에도 평택시, 용인시 처인구, 이천시의 반도체클러스터에 둘러싸인 안성시의 미분양 또한 최근 5개월간 30%나 감소하며 반세권(반도체+세권) 후광 효과를 누리고 있다. 올해는 증가하는 미분양 숫자의 공포에 질려 있기보다 '미분양의 분포'에 집중한다면 인구 집중 후광 효과를 누리는 도시가 어디인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022 한국의 사회지표'가 확인해주듯이 인구 집중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장기적 추세다. 따라서 인구 집중 트렌드가 뚜렷한 도시의 부동산에서 장기적인 가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도심 오피스텔 유망 투자처
건강 인프라 주택 인기
결혼관과 함께 통념을 되돌아보게끔 하는 통계는 '건강수명'이다. '100세 시대'라는 키워드는 꽤 오래전부터 등장해 인간의 기대수명이 언제 100세에 도달하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단지 얼마나 오래 사느냐'에 대한 통계인 기대수명은 83.6세(2021년 기준)인 반면, '몇 세까지 건강하게 사느냐'에 대한 통계인 건강수명은 66.3세(2020년 기준)로 나타났다. 바이오산업이 발전하고 있지만 '건강한 노후'는 아직까지 먼 이야기임을 알 수 있다.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2025년이면 건강한 노후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에 맞춰 수도권에서는 9개 의료기관이 11개 분원, 약 6600개 병상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연세대의료원이 들어설 경인서부권뿐 아니라, 가천대길병원, 인하대병원, 경희의료원 등이 수도권 신도시에 건립 계획을 확정함으로써 대형병원을 지근거리에 둔 '의세권' 입지는 해가 갈수록 가치가 빛날 것이다.불확실성 시대에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 흐름에 올라타야 한다. 대한민국 사회·경제의 과거와 현재, 미래 트렌드를 모두 아우르는 '2022 한국의 사회지표'에 담긴 풍성한 통계에서 찾아낸 △수요 쏠림 △도심 소형 오피스텔 △직주근접 △웰빙주택이라는 4가지 부동산 상승 키워드를 기억해야 할 시기다.
조영광 하우스노미스트
Copyright © 주간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