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언론 "기밀유출로 한국내 분노 촉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언론이 미국 정부의 기밀유출 사건으로 인한 한국내 파장에 대해 연일 보도중이다.
미국공영라디오 NPR은 이번 기밀유출 사건이 한국에서 분노를 촉발했다는 서울 특파원의 분석을 전날 보도했다.
유출된 기밀이 보여주듯 한국정부가 우크라이나전쟁에 직접적인 무기 지원을 원치 않아왔다는 것, 미국이 한국 등 동맹국들을 대상으로 도청을 한다는 것은 새로운 게 아닐 수 있다면서 문제는 한국 정부가 이 사건을 어떻게 다루는지에 더욱 놓여있다고 평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14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한국내 긍정 평가가 27%로 떨어져 6개월 사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는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를 전했다.
이 매체는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미국 기밀유출이 윤 대통령에 대한 지율 하락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미국공영라디오 NPR은 이번 기밀유출 사건이 한국에서 분노를 촉발했다는 서울 특파원의 분석을 전날 보도했다.
이 라디오는 이날 아침 출근시간대 메인 뉴스프로그램(모닝 에디션)을 통해 이번 사건의 한국내 파장을 4분 분량의 대담형식으로 풀었다.
유출된 기밀이 보여주듯 한국정부가 우크라이나전쟁에 직접적인 무기 지원을 원치 않아왔다는 것, 미국이 한국 등 동맹국들을 대상으로 도청을 한다는 것은 새로운 게 아닐 수 있다면서 문제는 한국 정부가 이 사건을 어떻게 다루는지에 더욱 놓여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가 그 동안 문제가 된 문서를 위조(forged)된 것이라며 일축해왔다고 전했다.
미국에 대해 사과나 설명을 하도록 압박할 의지도 없어 보인다고도 했다.
바로 이 것이 한국의 대중, 특히 야당으로부터 "윤 대통령이 기본적으로 워싱턴과 친해지기 위해(cozy up) 한국의 국익을 팔고 있다"는 비판을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 방송은 한국은 북한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데 미국의 추가적 조치를 원하고, 미국은 중국 견제와 우크라이나 무장에 한국의 도움을 원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가 한미정상회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했다.
그러면서 김종대 전 의원의 분석을 전했다.
김 전 의원은 인터뷰에서 "미국은 지난해 9월부터 (우크라이나 지원용) 포탄을 (한국으로부터) 요구하기 시작했다. 10월에는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이 한국을 방문해 지원을 요구했다. 한국은 6개월간 응답하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 국빈방문이 성사됐기 때문에 더 이상 결정을 미룰 수 없다. 따라서 한국이 (전쟁국가에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 원칙을 바꿀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따라서 NPR은 "한국정부가 한미정상회담 이후에 이 같은 결정은 발표할 것"이라며 "그러면 미국과의 거래(quid pro quo deal)처럼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뉴욕타임스도 지난 11일 NPR과 비슷한 내용의 기사를 내보낸 바 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워싱턴=CBS노컷뉴스 권민철 특파원 twinpine@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억 6천만원' 고속도로에 뿌린 美 남성…"선행 베풀려고"
- 객실서 묻지마 흉기 습격으로 사망…'이곳' 지하철이 위험하다
- 시골 공무원·군의원·경찰관의 '수상한 전원생활'
- 돈은 있지만 땅이 없다…'부자 동네' 강남구의 청사 고민
- 한밤중 인천서 전기차 '활활'…충돌사고 낸 운전자는 도주
- '전대 돈 봉투' 수사에 민주당 '전전긍긍'…역풍 우려에 신중론도
- '기밀 유출' 잭 테세이라 일병 체포…'도감청 의혹'도 풀릴까[정다운의 뉴스톡]
- 전두환 손자 전우원, 국과수 마약 정밀감정서 '양성'
- 마크롱 이어 룰라도 친중 행보…우군 모집 나선 시진핑
- 5년만에 한일 외교국방 국장급 '안보정책협의회' 부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