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소녀들
조종엽 기자 2023. 4. 15.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짙은 남산의 푸르른 소나무를 올려보면서맑은 한강의 여울을 멀찌가니 바라보면서빛나며 번성하길 가르침이여." 평범한 교가(校歌) 같지만 1908년 경성고등여학교(경성고녀, 후에 경성제일공립고등여학교로 개칭) 개교식에서 부른 노래다.
이 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다녔던 조선 제일의 엘리트 여학교였다.
식민 통치와 여성에 관해 연구한 일본 홋카이도정보대 명예교수가 경성고녀에 다녔던 이들을 인터뷰해 식민지 조선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조명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국의 소녀들/히로세 레이코 지음·서재길 송혜경 옮김/259쪽·2만 원·소명출판
“짙은 남산의 푸르른 소나무를 올려보면서…맑은 한강의 여울을 멀찌가니 바라보면서…빛나며 번성하길 가르침이여.”
평범한 교가(校歌) 같지만 1908년 경성고등여학교(경성고녀, 후에 경성제일공립고등여학교로 개칭) 개교식에서 부른 노래다. 이 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다녔던 조선 제일의 엘리트 여학교였다.
식민 통치와 여성에 관해 연구한 일본 홋카이도정보대 명예교수가 경성고녀에 다녔던 이들을 인터뷰해 식민지 조선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조명했다.
구조적 강자였던 일본인 소녀들의 삶은 풍요로웠다. 대지주 등 조선에 와서 부유해진 집안의 여식으로 부족한 게 없었다. 학교에서는 영어와 미술, 수영, 구기, 음악 등 다양한 과목을 배웠다. 성대한 운동회와 음악회가 열렸고, ‘내지’(일본 본토)로 호화로운 수학여행을 갔다. ‘현모양처’라는 규범에 갇혀 억압적인 본토와 달리 학교 분위기는 개방적이었고, 진취적이었다. 여성 비하적 발언을 하는 교사에게 집단 항의를 하기도 했다.
‘그들이 사는 세상’은 따로 있었다. 조선인과는 생활권 자체가 분리돼 있었고, 접점은 ‘오모니(어머니)’나 ‘기지배’로 불렸던 식모 등 고용인이 거의 전부였다. 모두가 ‘너무나 맛있었다’고 기억하고 있는 김치를 제외하면 조선의 문화도, 조선인도 깔봤다. 조선인이 일본어를 하는 것에도, 창씨개명에도 의문을 갖지 않았다. 조선을 그냥 일본이라고 여겼고, 식민지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이들도 있었다.
이들은 패전 직후 태극기와 만세 소리의 물결을 접하고 나서야 조선인이 얼마나 강렬하게 독립을 열망했는지, 일본의 지배가 얼마나 조선인을 괴롭혔는지 깨달았다. 풍요로운 생활 기반을 뿌리째 잃어버리고 일본으로 돌아간 뒤에는 냉대에 직면했다. 시간이 흐른 뒤에는 “독립을 빼앗은 후 언어와 문자 등 문화까지 빼앗아 간 식민정책 속에서, 부끄러울 정도로 무지한 채로 살았다”고 반성했다. 저자는 “일본에서 이러한 자성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의 존재 의의를 생각하고 싶었다”고 했다.
평범한 교가(校歌) 같지만 1908년 경성고등여학교(경성고녀, 후에 경성제일공립고등여학교로 개칭) 개교식에서 부른 노래다. 이 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다녔던 조선 제일의 엘리트 여학교였다.
식민 통치와 여성에 관해 연구한 일본 홋카이도정보대 명예교수가 경성고녀에 다녔던 이들을 인터뷰해 식민지 조선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조명했다.
구조적 강자였던 일본인 소녀들의 삶은 풍요로웠다. 대지주 등 조선에 와서 부유해진 집안의 여식으로 부족한 게 없었다. 학교에서는 영어와 미술, 수영, 구기, 음악 등 다양한 과목을 배웠다. 성대한 운동회와 음악회가 열렸고, ‘내지’(일본 본토)로 호화로운 수학여행을 갔다. ‘현모양처’라는 규범에 갇혀 억압적인 본토와 달리 학교 분위기는 개방적이었고, 진취적이었다. 여성 비하적 발언을 하는 교사에게 집단 항의를 하기도 했다.
‘그들이 사는 세상’은 따로 있었다. 조선인과는 생활권 자체가 분리돼 있었고, 접점은 ‘오모니(어머니)’나 ‘기지배’로 불렸던 식모 등 고용인이 거의 전부였다. 모두가 ‘너무나 맛있었다’고 기억하고 있는 김치를 제외하면 조선의 문화도, 조선인도 깔봤다. 조선인이 일본어를 하는 것에도, 창씨개명에도 의문을 갖지 않았다. 조선을 그냥 일본이라고 여겼고, 식민지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이들도 있었다.
이들은 패전 직후 태극기와 만세 소리의 물결을 접하고 나서야 조선인이 얼마나 강렬하게 독립을 열망했는지, 일본의 지배가 얼마나 조선인을 괴롭혔는지 깨달았다. 풍요로운 생활 기반을 뿌리째 잃어버리고 일본으로 돌아간 뒤에는 냉대에 직면했다. 시간이 흐른 뒤에는 “독립을 빼앗은 후 언어와 문자 등 문화까지 빼앗아 간 식민정책 속에서, 부끄러울 정도로 무지한 채로 살았다”고 반성했다. 저자는 “일본에서 이러한 자성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의 존재 의의를 생각하고 싶었다”고 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父 지방 전전, 母 연락회피…냉장고엔 썩기 직전 음식만
- 대통령실, 尹취임 1주년 맞아 재정비…의전비서관에 김승희 임명
- 민주 “간호법-의료법 27일 반드시 처리”…김진표 “입법권위 실추”
- ‘백현동 로비스트’ 의혹 김인섭 구속…“증거인멸 우려”
- 佛 헌법위, 연금개혁 법안 ‘정년 64세 연장’ 합헌 결정
- 尹 떠난 MZ, ‘천원 아침밥’에 돌아올까…국힘의 엇나간 청년 구애[윤다빈의 세계 속 K정치]
- 北 고체 ICBM 도발에…美 B-52H 전폭기 한반도 출격
- 軍 전반기 장성급 인사…김호복·김성민 육군소장, 군단장 임명
- 한동훈 딸 MIT낙방 청원에…장예찬 “내신·입시 만점으로 합격한 것”
- 유동규 “故 김문기, 이재명에 대장동 보고 칭찬받았다 자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