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화유코발트, 1조2000억 투자해 전구체 공장 짓는다
곽도영기자 2023. 4. 14. 19: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화학이 전북 군산 새만금에 1조2000억 원을 투자해 전기자동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전구체 공장을 짓는다.
14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LG화학과 화유코발트는 19일 전북 군산에서 전구체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LG화학은 2018년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중국에 양극재와 전구체 생산 공장을 설립했다.
앞서 SK온과 국내 소재기업 에코프로도 지난달 중국 거린메이(GEM)와 합작해 군산에 전구체 생산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이 전북 군산 새만금에 1조2000억 원을 투자해 전기자동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전구체 공장을 짓는다. 세계 1위 코발트 생산기업인 중국 화유코발트와의 합작공장이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부지침을 충족하기 위해 ‘중국산 광물 수입 후 국내 가공’ 전략을 실행하고 나선 것이다.
14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LG화학과 화유코발트는 19일 전북 군산에서 전구체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전구체는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하는 핵심 원료다. 중국 수입 비중이 90%를 넘을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높다.
협약에 따라 양 사는 연내 새만금국가산업단지 6공구 33만㎡(10만 평) 부지에 총 1조2000억 원을 투자해 전구체 공장 착공에 들어간다. 2029년부터 연간 5만 톤(t)의 전구체 양산이 목표다. 이는 전기차 약 60만 대에 들어가는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LG화학은 2018년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중국에 양극재와 전구체 생산 공장을 설립했다. 지난해 5월에는 화유코발트 자회사와 양극재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맺고 구미에서 양극재 공장을 짓고 있다.
지난달 말 확정된 IRA 세부지침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에 중국산 광물이나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우호국에서 이를 가공, 완제품으로 생산함해 부가가치의 50% 이상을 창출하면 미국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올해 기준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재료 비중이 40%를 넘어야 하며, 이 비중은 매년 높아질 예정이다.
업계는 향후 전구체를 비롯해 중국 의존도가 높았던 배터리 소재의 국내 생산 이전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SK온과 국내 소재기업 에코프로도 지난달 중국 거린메이(GEM)와 합작해 군산에 전구체 생산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14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LG화학과 화유코발트는 19일 전북 군산에서 전구체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투자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전구체는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하는 핵심 원료다. 중국 수입 비중이 90%를 넘을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높다.
협약에 따라 양 사는 연내 새만금국가산업단지 6공구 33만㎡(10만 평) 부지에 총 1조2000억 원을 투자해 전구체 공장 착공에 들어간다. 2029년부터 연간 5만 톤(t)의 전구체 양산이 목표다. 이는 전기차 약 60만 대에 들어가는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LG화학은 2018년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중국에 양극재와 전구체 생산 공장을 설립했다. 지난해 5월에는 화유코발트 자회사와 양극재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맺고 구미에서 양극재 공장을 짓고 있다.
지난달 말 확정된 IRA 세부지침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에 중국산 광물이나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우호국에서 이를 가공, 완제품으로 생산함해 부가가치의 50% 이상을 창출하면 미국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올해 기준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재료 비중이 40%를 넘어야 하며, 이 비중은 매년 높아질 예정이다.
업계는 향후 전구체를 비롯해 중국 의존도가 높았던 배터리 소재의 국내 생산 이전 움직임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SK온과 국내 소재기업 에코프로도 지난달 중국 거린메이(GEM)와 합작해 군산에 전구체 생산시설 건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곽도영기자 now@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한동훈 딸 MIT낙방 청원에…장예찬 “내신·입시 만점으로 합격한 것”
- “돈내면 벗은 몸 보여주겠다” 접근한 미녀 정체는 AI 창조물
- 여중생 담뱃불로 지진 10대들…판사가 재판도중 직권 구속
- 학생들 의자 위에 세운 고민정, ‘죽은 시인의 사회’ 재연 했다는데…
- 박나래, 학폭 피해 고백 “돌·쓰레기 던지며 괴롭혔다”
- 軍 전반기 장성급 인사…김호복·김성민 육군소장, 군단장 임명
- 새벽 도로 위에 누워있던 30대 남성, 차에 치여 숨져
- 전광훈과 결별한 황교안 “목사가 정치적 오염·타락했다”
- 北 고체 ICBM 도발에…美 B-52H 전폭기 한반도 출격
- 서울시, 수륙양용버스 띄운다…김포 ‘지옥철’ 압사 예방 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