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득권 깨는 역할할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2026년까지 '홈택스' '복지로' 등 공공서비스 창구를 일원화한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날 통합 공공서비스 구축, 데이터 칸막이 해소, 초거대 AI 개발 등의 계획을 공개했다.
정부는 초거대 AI 개발을 통해 2026년에는 연간 2조원을 절감하고 종이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00여종 공공 서비스 통합
3900억 들여 '초거대 AI' 도입
"산업분야 전후방 효과 클 것"
정부가 2026년까지 ‘홈택스’ ‘복지로’ 등 공공서비스 창구를 일원화한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개인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맞춤형으로 추천해주는 서비스도 도입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기술 기반이 초고속으로 변하는 세상에서 우리가 새로운 정부 형태를 가동하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이제 정부는 바뀌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를 주재하면서 “디지털플랫폼정부는 벽을 깨고 연결하는 정부이며, 벽을 깨고 연결한다는 것은 국민을 위해 지대 추구와 기득권을 깨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존 전자정부에서 조금 업그레이드된 게 아니라 차원이 완전히 다른 것”이라며 “산업 분야에서 긍정적 전후방 효과도 클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날 통합 공공서비스 구축, 데이터 칸막이 해소, 초거대 AI 개발 등의 계획을 공개했다. 공공서비스 통합은 모든 공공서비스를 한 곳에 모아 하나의 아이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통합 서비스 창구를 구축하겠다는 취지다. 2026년까지 1500여 종의 서비스를 통합한다. AI가 개인 상황에 맞춰 서비스를 미리 알려주고 추천해주는 ‘혜택 알리미’도 구현한다.
부처 간, 정부와 민간 간 ‘데이터 칸막이’도 없앤다. 이를 위해 기관 간 데이터 공유가 활성화되도록 법령을 전면 개편한다. 국민이 동의하면 기관 간 공유로 행정 처리가 진행되도록 행정부와 사법부 간 데이터 연계를 확대한다.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도입해 행정 체계도 개선한다. 챗GPT를 비롯한 민간의 초거대 AI 인프라에 정부 생성문서와 보도자료 등을 학습시켜 세계 최초로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복지·민원 업무 전반에 적용해 정부 행정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올해만 39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정부는 초거대 AI 개발을 통해 2026년에는 연간 2조원을 절감하고 종이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때문에 고통받는 한국"…BBC도 놀란 '최악 황사'
- '강남 유명 갈비집' 물려받은 아들, 파격 행보 통했다
- "공무원들, 주4일만 일하세요"…'특단의 대책' 꺼내든 나라
- "정순신 아들, 로스쿨에 지원한다면?"…서울대 대답은
- "13명이 성폭행"…시골 마을 뒤흔든 위험한 소문의 실체는
- "블랙핑크 로제가 마약을…" 中 허위 루머, YG 강경 대응 예고
- '오징어게임' 오영수, '강제추행 혐의' 사과 의향 질문에 묵묵부답
- 블랙핑크 콘서트 암표가 1700만원…참다못한 대만 '초강수'
- "BTS가 먹는 그 라면 뭐야?"…해외서 불티나게 팔렸다
- "성병처럼 토착화 우려"…'엠폭스' 얼마나 퍼졌길래 [이지현 기자의 생생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