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첫 통일백서, ‘한반도’ 대신 ‘북한’ 비핵화로 명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정부가 발간한 첫 통일백서에서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이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으로 대체됐다.
특히 주목할 점은 지난해까지 사용되던 '한반도 비핵화'란 표현이 '북한 비핵화'로 바뀐 것이다.
이효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통일백서에는 담대한 구상 등 윤석열 정부의 통일·대북정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며 "북한 비핵화 및 남북관계 정상화, 북한인권 증진, 통일미래 준비 등 변화된 정책적 측면을 강조하여 기술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사저널=이연서 디지털팀 기자)
윤석열 정부가 발간한 첫 통일백서에서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이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으로 대체됐다.
한반도 정세 불안정과 남북 교류협력 단절의 책임이 북한의 핵 위협과 군사 도발에 있다는 점을 공식화한 것이다.
통일부는 1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 통일백서'를 발간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지난해까지 사용되던 '한반도 비핵화'란 표현이 '북한 비핵화'로 바뀐 것이다.
'한반도 비핵화'는 1991년 12월 남북이 합의한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공동선언'부터 2018년 북한과 미국이 서명한 '싱가포르 공동선언'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된 용어다.
또 그동안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북미'란 표현도 '미북'으로 바뀌어 표기됐다.
북한 인권 문제도 강조됐다.
1장에서 정부의 대북정책 비전과 추진과제를 개괄적으로 소개한 뒤, 곧바로 2장에서 '북한주민의 인권 증진과 분단고통 해소'를 다뤘다. 앞서 문재인 정부가 만든 '2022 통일백서'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3장 '인도적 협력' 마지막 부분에서 언급된 것과 대조적이다.
이효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통일백서에는 담대한 구상 등 윤석열 정부의 통일·대북정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며 "북한 비핵화 및 남북관계 정상화, 북한인권 증진, 통일미래 준비 등 변화된 정책적 측면을 강조하여 기술했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용어 등이 바뀐 부분을 두고서는 "전문가들의 감수 과정에서 용어를 통일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고, 이를 반영해 통일된 용어로 일관되게 표현한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초등생 자매 11년 성폭행 학원장, 2심도 ‘징역 20년’ - 시사저널
- “오늘 스폰 가능?”…정보 흘리고 뒷돈 챙긴 춘천문화재단 직원 - 시사저널
- 제자와 성관계 한 여교사에…“남녀 바뀌었다면?” 지탄 쏟은 재판부 - 시사저널
- ‘학원가 침투’ 마약에 칼 뺐다…한동훈 “과할 정도로 단속” - 시사저널
- “尹대통령, 나라 두 동강 내지 않으려 문재인 수사 자제” - 시사저널
- 전두환 ‘추징금 55억원’ 추가 환수 길 열렸다 - 시사저널
- 이강인과 오현규의 시대가 오고 있다 - 시사저널
- 임영웅, 새 오디션에도 흔들리지 않는 존재감 - 시사저널
- 봄철 3대 불청객 ‘알레르기·축농증·춘곤증’ 이렇게 물리쳐라 - 시사저널
- 건강한 다이어트 돕는 ‘10대 슈퍼푸드’는?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