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이모티콘 올렸더니···거지방에선 “지출유도” 2030 ‘절약방법?’

윤기은 기자 2023. 4. 14. 15: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픈 카카오톡 ‘거지방’ 갈무리. 독자제공

14일 오전 10시25분 카카오톡 알림이 울렸다. 190여명이 참여한 단체 대화방 ‘거지방’에서였다. “편의점 -6900원. 담배랑 녹차 좀 샀습니다.” 아이디(ID) ‘거지OO’가 지출 내역을 올리자 답장이 주루룩 올라왔다. “녹차를 키우세요.” “키운 녹차잎 말아서 불붙여 쓰세요.” “돋보기로 불붙이세요.”

개인의 소비·지출 내역을 메신저상에서 공유하고 평가를 주고받는 이른바 ‘거지방’이 유행이다. 20~30대 청년층이 대다수인 ‘거지방’ 접속자들은 과도한 지출을 막기 위해 이곳을 찾는다. 기본 규칙은 한 달 목표 생활비를 정해두고, 지출 내역을 공유하는 것이다. 돈을 절약하는 방법을 공유하거나, 물건을 사기 전 다른 사람들의 허락을 받는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경제 불황과 고물가 시대에 흔히 나타나는 ‘짠테크’(짠돌이+재테크)가 요즘 청년들의 ‘놀이 문화’와 결합하면서 신종 트렌드로 자리잡는 모양새다.

이날 기준 오픈 카카오톡 채널에 ‘거지방’을 검색하면 200개가 넘는 방이 나온다. 몇몇 방은 이미 300명 정원이 가득 차 입장조차 할 수 없었다. 이들 방은 ‘재테크’ ‘절약’ ‘구두쇠’ ‘지출기록’ 등의 키워드로 해시태그를 걸어놓았다. 방 입장 ID는 주로 지출목표와 하루 지출총액으로 설정돼 있었다.

이들 ‘거지방’ 가운데 한 곳에 들어가 봤더니 곧바로 한 참가자가 “아이스크림 지출 가능한가요? 할인점에서 구매 예정”이라며 멤버들에게 구매 승인을 구하는 글이 올라왔다. 그러자 “얼음 드세요” “500원짜리만” “콘아이스크림 드시면 안 돼요” 식으로 지출을 말리는 답이 돌아왔다. 매운 라면 지출 승인이 반려되자 “상사가 2시간 동안 광견병 걸린 개처럼 XX했다”고 항변해 허락을 받아낸 사람도 있었다.

지출을 아끼는 노하우나 정보도 이 방에서 공유된다. 특정 기업에서 이벤트로 기프티콘(모바일 상품권)을 나눠주는 행사를 한다든지, 옷에 묻은 페인트는 세탁소 갈 필요 없이 물파스를 이용해 지우면 된다는 정보가 올라왔다. “회사 얼음·물 횡령 0원” “학식 6900원인데 아빠 카드 씀” “내일 식비는 룸메이트의 식량 창고 터는 거로 대체하겠다” 등 ‘기생식’으로 절약한 사연을 자랑하는 글도 올라왔다. 어떤 사용자는 강아지 쓰다듬기, 인스타그램 염탐 등 돈 한 푼 없이 할 수 있는 ‘웃픈’ 문화생활 내역을 줄줄이 올리기도 했다.

오픈 카카오톡 ‘거지방’ 갈무리. 독자제공
오픈 카카오톡 ‘거지방’ 갈무리. 독자제공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기성세대는 자신을 지칭할 때 ‘거지’라는 말을 기피한다. 하지만 청년들은 솔직하고 겸손하게 자신의 상황을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며 “지출을 아끼는 게 사실은 힘든 일이지만, ‘거지방’에서는 절약을 실천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애환을 나누고 연대 의식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거지방 놀이’가 청년 문화의 다층적 측면이나 시대에 따른 변화상을 보여준다는 견해도 있다.불과 얼마전까지 돈 자랑이나 과시를 의미하는 ‘플렉스 문화’가 크게 유행했는데 이와 정반대되는 ‘짠테크 놀이’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그동안 MZ세대 사이에서는 ‘욜로’(YOLO·현재의 행복을 중시하는 태도)처럼 소비를 자랑하고, 주식이나 코인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재테크를 해왔다”며 “하지만 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이 가파르게 나타나면서 경제적 압박에 놓이게 됐고, 절약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관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거지방에는 불특정 다수의 온라인 사용자가 들어오다 보니 혐오, 음란 메시지도 올라올 수 있어 필터링이 필요하다”며 “절약 정보를 가장한 출처 모를 링크도 올라올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윤기은 기자 energye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