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처럼 토착화 우려"…'엠폭스' 얼마나 퍼졌길래 [이지현 기자의 생생헬스]
밀접접촉 후 발진 생기면 의심
국내 엠폭스(MPOX·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7일 지역감염 사례가 보고된 뒤 의심증상이 생기면 병원 등을 찾아 자발적으로 검사 받는 환자가 늘면서다. 방역당국은 엠폭스 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한단계 격상했다. 밀접접촉 등을 통해 제한적으로 번지기 때문에 광범위한 확산 위험은 크지 않지만 감염병이 계속 지역사회에 남는 '토착화'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1주일 만에 다섯번째 지역감염
질병관리청은 14일 국내 열번째 엠폭스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대구에 사는 이 환자는 지난 12일 질병청 콜센터를 통해 엠폭스 검사를 요청했다. 해외여행을 다녀온 적은 없지만 최근 3주 안에 엠폭스 감염원으로 의심되는 사람과 밀접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격리병상에서 입원 치료 받고 있는 이 환자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방역당국은 추가 전파를 막기 위해 이 환자에게 엠폭스를 옮긴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 등을 파악하고 있다.
엠폭스는 그동안 국내서 해외유입 등을 통해 산발적으로 한두건의 환자 사례가 보고됐다. 지난 7일 국내 여섯번째 엠폭스 환자가 첫 지역감염 사례로 보고된 뒤 일주일 만에 4명의 지역감염 환자가 추가됐다. 이들은 각각 서울 경기 전남 대구 등에 거주하고 있는 데다 환자들 간 명확한 연결고리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당국에 신고되지 않은 엠폭스 '숨은 감염자'가 예상보다 많다는 의미다.
지역감염 사례가 보고된 뒤 질병청을 통해 의심 증상을 신고하는 환자 등도 늘고 있어 당분간 확진 사례가 잇따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엠폭스 감염 환자의 조기발견과 신속한 진단을 위해 국민들의 협조가 중요하다"고 했다.
원숭이에게서 1958년 첫 발견
엠폭스는 원숭이두창바이러스에 감염돼 급성 발열과 발진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감염질환이다. 원숭이에게서 이 질환이 처음 확인된 것은 1958년이다. 코펜하겐 국립혈청연구소에서 사육하던 원숭이를 통해 바이러스를 확인했고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첫 사람 감염 사례가 나왔다. 이후로도 오랜 기간 콩고민주공화국과 나이지리아 등에서 제한적으로 환자가 발생해 해당 지역에선 풍토병으로 자리잡았다.
엠폭스가 유럽과 북미 지역 등에서도 번지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5월부터다. 같은해 6월 국내서도 첫 해외유입 환자가 나왔다.
인수공통감염병인 이 질환은 해당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 다람쥐 원숭이 등을 만지거나 엠폭스 환자와 접촉하면 감염될 수 있다. 엠폭스에 감염된 임신부를 통해 태아가 감염되기도 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엠폭스를 성인 남성 간 성접촉 등을 통해 주로 전파되는 질환으로 규정하고 있다. 확진자의 95% 이상이 남성이고, 상당수는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자다.
엠폭스에 걸리면 발열, 두통, 발진, 림프절 비대 등 일반적인 감염질환 증상을 호소한다. 초기 단순 증상만으로는 수두 홍역이나 일반적인 성병 등과 구분이 어렵다. 엠폭스 환자는 2~4주 정도면 대부분 자연치유된다. 치명률은 1%를 넘지 않는다. 하지만 의심 증상이 있으면 병원 등을 찾아 조기에 진단 받아 추가 확산을 막아야 한다.
질병청 역학조사관을 지낸 KMI한국의학연구소의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은 "최장 잠복기인 3주(21일) 안에 성접촉 등 밀접접촉 이력이 있고 성기나 항문 등에 수포성 발진이 생긴다면 엠폭스를 의심해야 한다"고 했다.
美선 흑인·HIV 감염자 사망위험 높아
CDC에 따르면 110개국에서 8만6956명이 엠폭스 진단을 받았다. 사망자는 21개국에서 119명 확인됐다. 미국 내 감염자와 사망자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주 안에 성 접촉 경험이 있는 감염자는 전체의 81.9%였다. 엠폭스 사망자들은 증상이 생긴 뒤 사망에 이르기까지 68일(중앙값) 정도 걸렸다. 미국 엠폭스 감염자의 94.9%는 남성이었다. 미국에선 엠폭스 사망자의 94.7%가 남성으로 조사돼 성별에 따라 사망 위험은 달라지지 않았다.
전체 감염자의 32.9%를 차지한 흑인은 미국 내 엠폭스 사망자의 86.8%를 차지했다. 흑인 감염자의 사망 위험이 높았다. 감염자 중 HIV 감염자는 44.9%였지만 사망자 중 HIV 감염자는 86.8%였다. HIV 감염자도 엠폭스에 걸리면 사망 위험이 높았다는 의미다.
신 연구위원은 "(해외에선) 지역감염이 확산하면서 여성, 임신부, 소아, 고령층 환자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앞으로 엠폭스는 종식되지 않고 사람 간 전파되는 성병처럼 세계에 토착화돼 계속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엠폭스 토착화에 대비해 백신과 치료제 국산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엠폭스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백신을 맞도록 하는 광범위한 백신 접종보다는 감염 위험이 높은 접촉자를 중심으로 백신을 맞도록 하는 포위접종(링백시네이션)을 시행하고 있다.
덴마크 제약사 바바리안노르닉의 진네오스가 예방용으로 미국 유럽 등에서 승인 받았다. 미국 시가테크놀로지의 천연두 치료용 항바이러스제인 티폭스(성분명 테코비라마트)가 치료제로 활용되고 있다.
이지현 기자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때문에 고통받는 한국"…BBC도 놀란 '최악 황사'
- "공무원들, 주4일만 일하세요"…'특단의 대책' 꺼내든 나라
- '강남 유명 갈비집' 물려받은 아들, 파격 행보 통했다
- 서울대 "정순신 아들, 로스쿨 지원시 '학폭 불이익' 없어"
- "13명이 성폭행"…시골 마을 뒤흔든 위험한 소문의 실체는
- "블랙핑크 로제가 마약을…" 中 허위 루머, YG 강경 대응 예고
- 임영웅 FC서울 하프타임 공연 영상 200만뷰 돌파
- 이휘재 캐나다 行, 23년 일한 매니저와도 결별
- "BTS가 먹는 그 라면 뭐야?"…해외서 불티나게 팔렸다
- "차 멈췄는데…" 카니발 보고 놀라 넘어진 할머니 골절 [아차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