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년 역사·전통 이어온 '칠곡 매원마을' 국가등록문화재 된다

김예나 2023. 4. 14. 09: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 시대 영남 3대 반촌(班村·양반들이 모여 사는 동네를 이르던 말) 중 하나로 꼽혀 온 경북 칠곡 매원마을이 국가등록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칠곡군 왜관읍 '칠곡 매원마을'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할 계획이라고 14일 예고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인 동제(洞祭)에서는 지난 400여년간 역사와 전통을 계승해 온 구성원들의 노력을 확인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이씨 집성촌 생활·변화 양상 확인…민속적 요소도 다양"
'칠곡 매원마을' 전경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조선 시대 영남 3대 반촌(班村·양반들이 모여 사는 동네를 이르던 말) 중 하나로 꼽혀 온 경북 칠곡 매원마을이 국가등록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칠곡군 왜관읍 '칠곡 매원마을'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할 계획이라고 14일 예고했다.

칠곡군 등에 따르면 매원마을은 마을의 형상이 마치 매화꽃과 같다고 해 붙은 이름이다.

17세기 광주이씨 집안의 석담 이윤우(1569∼1634)가 아들 이도장(1603∼1644)을 데리고 이주한 뒤, 이도장의 차남 이원록(1629∼1688)이 뿌리를 내리면서 집성촌을 이뤘다.

과거 400여 채의 가옥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고택 60여 채가 남아있다.

'칠곡 매원마을' 창낙댁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금도 후손들이 살고 있는 대표적인 동족(同族) 마을 중 한 곳이다.

마을은 주변 자연 지형에 맞춰 형성돼 있다. 가운데 '중매'를 두고 동쪽의 '상매'와 서쪽의 '하매'로 구분되는데 구성원이 여러 갈래로 나뉘는 특성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이 마을에서는 민속적 요소를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마을의 소나무밭은 풍수지리상 서쪽 즉, 백호(白虎)에 해당하는 경계 지형을 보강하기 위해 조성한 숲이다. 이상적인 주거지를 만들기 위한 전통적 노력을 엿볼 수 있는 흔적이다.

'칠곡 매원마을' 박곡종택 사당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화재청 관계자는 "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인 동제(洞祭)에서는 지난 400여년간 역사와 전통을 계승해 온 구성원들의 노력을 확인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무덤이나 사당 옆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은 재실(齋室)이 근대기, 6·25 전쟁 등을 거치면서 실용적인 주거 공간으로 용도가 바뀌는 양상 역시 역사·문화적으로 연구 가치가 크다.

문화재청은 "근현대기를 지나오면서 이뤄진 마을 영역의 확장과 생활방식 등의 변화 속에서 다른 영남지방의 동족 마을과 구별되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역사성과 시대성을 갖춘 민속적 요소가 다양하다는 점에서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문화재청은 30일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 여부를 확정할 예정이다.

'칠곡 매원마을' 서당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