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美 21세 방위군, 기밀문서 최초 유포한듯…"채팅방 회원들과 정보 공유 차원"(종합)

채팅방서 기밀문서 유출…NYT, 디지털 포렌직 통해 '방장 OG=잭 테세이라' 결론
'채팅방 운영' 테세이라, 문서 공유…채팅방 멤버가 온라인에 게시한 뒤 확산한듯

(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2023-04-14 02:46 송고 | 2023-04-14 03:13 최종수정
미국 정부 기밀 문서를 최초로 유출한 인물로 지목된  잭 테세이라. 잭 테세이라는 21세 매사추세츠 주 방위군 정보부 소속인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갈무리)
미국 정부 기밀 문서를 최초로 유출한 인물로 지목된  잭 테세이라. 잭 테세이라는 21세 매사추세츠 주 방위군 정보부 소속인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갈무리)

미국 정부 기밀 문서를 최초로 유출한 인물은 미 공군 주방위군 소속 21세 남성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13일(현지시간) 미국 정보당국의 기밀 문서가 최초로 유포된 채팅방의 운영자는 매사추세츠 주 방위군 정보부 소속 21세 남성이며 이름은 '잭 테세이라'(Jack Teixeira)라고 보도했다. 그는 자신이 운영하던 채팅방에서 멤버들에게 기밀 문서를 최초로 유포한 인물로 지목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테세이라는 2020년 개설된 채팅방 '터그 셰이커 센트럴'(Thug Shaker Central)의 방장이며 활동명은 'OG'였다. 해당 채팅방은 대부분 10대 청소년들로 구성됐으며, 회원들은 20~30명에 이른다. 회원들의 주요 관심사는 총기, 인종 차별적 짤(meme) 그리고 비디오 게임이었다고 NYT는 전했다.

NYT는 채팅방 회원 4명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기밀 문서의 최초 유출자가 테세이라였다는 판단을 내렸다. 채팅방 회원 중 한 명은 기밀 문서를 유출한 인물과 최소 3년간 알고 지냈으며 대면으로 만난적도 있다고 진술했다. 또 한명의 회원은 최초 유포자이자 방장이었던 OG가 '자신의 업무'를 통해 기밀 문서에 접근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채팅방 회원들은 OG의 실명을 밝히지 않았지만 NYT는 디지털 포렌직을 통해 유출자가 테세이라였다고 믿을 증거를 수집했다고 전했다. NYT는 테세이라의 모친과의 인터뷰에서 테세이라가 방위군 소속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는데, 모친에 따르면 테세이라는 매세추세츠주 케이프 코드 공군기지에서 야간 교대 근무를 했으며 최근에는 휴대폰 번호를 변경하기도 했다.
회원들은 채팅방에 유포된 기밀 문서들이 순전히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취지였으며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된 문서가 많았지만 그들은 특정 국가의 편을 서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기밀 문서는 채팅방 회원 중 한 명이 문서를 온라인에 게시했고, 이를 계기로 러시아 텔레그램 채널에 확산되며 세간에 알려졌다. 채팅방 회원들은 문서를 유출한 인물이 '내부 고발'을 하려던 의도도 아니었고, 결코 채팅방 외부로 재유포하려던 의도 역시 없었다고 해명했다.

최초 유포자의 지인도 NYT에 "(그는) 전쟁에 반대하는 기독교인이다. (유포자는) 단지 친구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려주고 싶어했을 뿐이다. 우리 그룹에는 우크라이나인도 몇명이 있다. 우리는 격투 게임을 좋아하고, 전쟁 게임을 좋아할 뿐"이라고 전했다.

NYT는 "젊은 공군 주방위군이 극도로 민감한 기밀 문건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면서도 미국의 한 관리에 따르면 기밀 취급 허가를 받은 미국 정부 내 관리들은 종종 이메일을 통해 기밀 문서를 전달받으며 이들 메일은 자동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포워드(전달)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중앙정보국(CIA)가 주요 동맹국들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관련 논의 과정을 감청했다는 문서가 유출된 정황을 포착해 진위 여부를 거친 후 보도했다. 여기엔 미 정보당국이 감청한 국가 명단에는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한국, 캐나다, 영국 등 동맹국들이 포함돼 있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미 국방부는 1급 비밀에 대한 정보 보고를 받는 대상을 제한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기밀문서 유출이 이뤄진 복수의 소셜미디어 가운데 하나인 디스코드(Discord). 비디오 채팅 플랫폼으로 주로 게이머들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미 기자
미국 기밀문서 유출이 이뤄진 복수의 소셜미디어 가운데 하나인 디스코드(Discord). 비디오 채팅 플랫폼으로 주로 게이머들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미 기자



yoonge@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