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이나 걸리는 줄 알았던 공황장애 ‘4년새 44.5%↑’…“40대 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경규, 정형돈, 차태현, 김구라 등 연예인들이 앓았다고 고백하면서 '연예인병'이라고도 불렸던 '공황장애' 환자가 4년 새 45% 가까이 급증했다.
박재섭 건보공단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40대는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공황장애의 발병·재발이 많다"며 "고혈압, 당뇨 등 건강 문제로 병원 진료 기회가 늘면서 함께 치료를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음주·카페인 피하고 규칙적 운동 해야…적절한 감정표현 연습도"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이경규, 정형돈, 차태현, 김구라 등 연예인들이 앓았다고 고백하면서 ‘연예인병’이라고도 불렸던 ‘공황장애’ 환자가 4년 새 45% 가까이 급증했다.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예상치 못하게 나타나는 불안 증상, 공황발작이 주요한 특징인 질환이다. 공활발작은 극도의 공포심이 느껴지면서 심장이 터지도록 빨리 뛰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땀이 나는 등 신체증상이 동반된 죽음에 이를 것 같은 극도의 불안 증상을 말한다. 환자는 특히 4050 세대에서 많았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공황장애(질병코드 F41.0) 진료 현황을 살펴본 결과, 이 질병의 진료 인원은 2017년 13만8736명에서 2021년 20만540명으로 44.5% 증가했다. 그 사이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496억원에서 910억원으로 83.5%나 늘었다. 2021년 진료 인원 중에서는 40대가 23.4%로 가장 많았고 50대(19.2%), 30대(18.3%), 20대(14.3%), 60대(13.3%) 순이었다. 남녀 모두 40대가 최다였는데 4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남성(25.4%)이 여성(21.8%)보다 높았다.
40대 환자가 많은 이유는 이 연령대의 스트레스 노출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진료 시기를 놓쳤다가 뒤늦게 공황장애가 발견되는 경우, 최근 공황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진료받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박재섭 건보공단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40대는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공황장애의 발병·재발이 많다”며 “고혈압, 당뇨 등 건강 문제로 병원 진료 기회가 늘면서 함께 치료를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공황장애는 초기 성인기에 발병하는 경우가 흔한데, 국내에서는 40대에 뒤늦게 진료를 받거나 만성화해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공단에 따르면 공황장애는 심리적인 스트레스나 신체적 질환, 과로 또는 음주나 카페인 섭취 등 다양한 이유로 신체 감각이 예민해진 상태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사소한 신체감각을 큰 문제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파국적 인지’를 하게 될 경우에도 자율신경계 각성이 일어나 공황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 뇌에 불안과 공포를 담당하는 편도, 전상대상피질 등의 과도한 활성화나 불안 조절과 관련된 노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등 신경전달물질의 이상도 원인이다.
전문가들은 ▷가슴 두근거림 ▷식은땀 ▷몸의 떨림 ▷숨이 안 쉬어지거나 답답한 느낌 ▷질식할 것 같은 느낌 ▷흉통 또는 가슴 불편감 ▷메스꺼움 또는 복부 불편감 ▷어지럽거나 멍한 느낌 ▷춥거나 화끈거리는 느낌 ▷감각 이상 ▷비현실감 ▷스스로 통제할 수 없을 것 같은 불안감 ▷죽을 것 같은 공포 또는 증상이 없을 때도 공황 발작이 일어날 것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중 4가지 이상의 증상이 함께 나타나면 공황발작을 의심해볼 수 있다고 조언한다.
공황장애를 막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이나 취미, 휴식 등을 통해 스트레스나 신체적 긴장이 쌓이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나친 음주나 카페인 섭취도 피하는 것이 좋다. 부정적인 감정을 억누르기보다는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해소하는 연습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공황장애는 치료 시기를 놓치면 재발하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만성화할 위험이 있다. 심해지면 일상생활, 사회생활, 직업 활동 등을 못하게 되면서 우울증에 빠질 수 있다. 질병 초기에는 인지행동치료나 가상현실 노출치료 등 비약물치료도 가능하니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fact0514@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정환, 탁재훈 폭로에 맞폭로…“나도 서운하다”
- 가수 남태현, 음주운전 혐의 검찰 송치…면허취소 수치
- '신혼' 이승기, 심경 토로 “비하·조롱 힘들었지만…나누며 살겠습니다”
- "부부관계 안해주잖아"…이혼소장 내민 아내의 통장이 수상하다
- [영상] 이시영, 하와이에서 힘자랑...네티즌 “대단해요”
- “와인바 20만원 먹고 도망가려 했더니” 이 신기술에 당황하는 먹튀족들
- "면접 양복 사고 싶어요"…취준생 빗속 3시간 구걸
- “이효리까지 내세웠는데” 초유의 적자 사태 발생…문 닫을 판
- 주점 알바생들 술먹이고 성폭행·촬영까지…몹쓸 사장의 죗값은
- “2만→19만원 잘 벌고 갑니다” 이젠 살 수도 없을 ‘이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