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국내감염' 엠폭스 9번째 발생…위기경보 '주의' 격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역사회 감염으로 추정되는 엠폭스(MPOX·원숭이두창) 확진자가 국내에서 1명 추가로 나왔다.
질병관리청은 13일 국내에서 9번째 엠폭스 확진자가 추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원숭이두창(Monkeypox)이 특정 집단·인종·지역에 대한 차별 및 낙인적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엠폭스(MPOX)로 변경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계조정, 지역사회 내 전파 억제 위해 선제적 조치"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지역사회 감염으로 추정되는 엠폭스(MPOX·원숭이두창) 확진자가 국내에서 1명 추가로 나왔다.
질병관리청은 13일 국내에서 9번째 엠폭스 확진자가 추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 확진자는 경기도 거주자로 지난 12일 피부병변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찾았으며, 해당 기관은 엠폭스 감염을 의심해 관할 보건소로 신고했고 유전자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됐다.
이 확진자는 첫 증상 발생 전 3주일 이내 해외 여행력이 없고, 국내에서 밀접 접촉이 확인되는 국내 감염으로 질병청은 추정했다.
현재 이 확진자는 격리 입원돼 치료받고 있으며, 질병청은 치료제 '테코비리마트'의 사용도 검토 중이다.
질병청은 추정 감염원 등을 확인하기 위해 상세한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더불어 질병청은 최근 국내 환자 증가에 따라 엠폭스의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시켰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이번 단계 조정은 미 확인된 감염자를 통한 지역사회 내 전파 억제를 위해 선제적 조치를 취할 필요성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질병청은 지역사회 내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민과 의료계의 협조가 중요하다며 증상이 의심되는 국민은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줄 것을 거듭 당부했다.
한편 질병청은 지난해 12월 원숭이두창이라는 질병명을 엠폭스로 변경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원숭이두창(Monkeypox)이 특정 집단·인종·지역에 대한 차별 및 낙인적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엠폭스(MPOX)로 변경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질병청도 원숭이두창을 중립적 용어인 엠폭스로 변경하고, 6개월간 엠폭스와 원숭이두창을 함께 사용하는 유예 기간을 거치고 있다.
ks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지상렬 동거녀 있었다? 집안 곳곳 여인의 흔적 "독거인 아냐"
- 송민호, 이번엔 그림 먹튀?…"2500만원에 샀는데 못받아, 여가수 줬다더라"
- 국회요원 배지·국회요사당역…김용현 "요원 끌어내라" 발언 패러디 봇물
- '부정선거론' 전한길 "난 노사모 출신…비상계엄 아닌 평화로운 계몽령"
- "바지만 내린 게 아니었네"…서핑 성지 양양은 '군수 탄핵 중'
- 김희정, 오렌지 비키니 입고 뽐낸 아찔 섹시미…구릿빛 글래머 몸매
- 설 맞이 이벤트한 어린이집 교사 찍어 올린 학부모…"동의받았냐" 뭇매
- "손 잘려나갈듯 아파"…이상미, 15년 미뤄온 사구체종양 수술
- 흡연까지…송혜교 "'예쁘다'보다 연기 잘한단 말 최고"(종합) [N인터뷰]
- 소유 "길에서 정신 잃고 쓰러져, 누가 몸 만지는 느낌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