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경선의 깊은 호흡]만나자는 말

기자 2023. 4. 13. 03: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언제부턴가 세상의 많은 인간관계들이 직접 만나지 않고도 소통하며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그런 맥락에서 ‘언제 한 번 보자’고 하는 것은 사실상 만나지 말자는 뜻으로 해석된다. 구체적인 날짜를 잡아 만나기로 하면 부담스럽게 여기는 이들도 은근히 많다. 취향에 맞는 약속 장소를 정하고, 예약하고, 옷차림을 갖추고, 교통수단을 이용해, 시간 맞춰 이동해야 하며 그 와중에 누가 돈 낼지도 신경 쓴다.

임경선 소설가

약속을 정할 때는 열의에 가득 차 있었건만 당일이 가까워져서는 내가 처한 상황이나 마음상태가 달라져 딱히 용건도 없는데 굳이 만나야 될까 싶다. 그러다 약속이 깨지면 내심 기뻐하기도 한다.

대신 우리는 필요하거나 내킬 때 손가락으로 말을 건다. 문자메시지, e메일, SNS 댓글…. 그것들은 대화라기보다 ‘시간격차를 두고 이루어지는 파편화된 소통’에 가깝다. 각자가 하고 싶은 말을 각자가 하고 싶을 때 하는 합리성. 시간, 수고와 돈을 들여 만나지 않아도 소기의 목적은 대체로 달성되고 순간의 적적함은 적당히 휘발된다. 대화를 선별해서 취하니 감정노동도 피한다. 가뜩이나 내 문제만으로도 벅찬데 다른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무엇을 고민하거나 필요로 하는지 듣고 싶지도 않다. 직접 만나 자칫 상대의 감정쓰레기통 역할을 해주면서 기 빨리는 시간을 보내는 일에 비하면 얼마나 합리적이고 안전한가. 하물며 속 깊은 이야기를 꺼낸들 아무도 나의 슬픔과 고통을 진정으로 이해해주지는 못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일로 꼭 만나야 하는 관계가 아니라면 이런 시대에 누군가를 만나러 간다는 것은 ‘순수의지’의 문제가 된다. 내 순수의지는 대개 상대에게 바라는 게 없는, 소위 이해관계가 얽혀 있지 않은 관계 속에서 작동한다. 나는 그 사람의 소속 대신 오로지 ‘개인’으로서 그 사람이 좋아야 한다. 또한 다 큰 어른들인데 노는 것은 어린아이들처럼 놀 수 있어야 만나고 싶어진다. ‘어린아이처럼 논다’는 특별한 장난감 없어도 언제 어디서든 서로만 있다면 재미있게 잘 논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정말로 어른스러운 사람들만이 가능한 마음씀씀이를 의미하기도 한다.

상대의 생각과 감정을 판단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경청하는 태도, 나 자신과 상대에게 진실할 수 있을 만큼 쌓아온 깊은 사유와 경험, 믿음이 무자비하게 배반당해도 상처받을 용기와 포용력을 가진 어른 말이다. 이런 맑고 정이 두터운 만남은 긴장할 필요가 없으니, 그 부드러운 충만감은 우리가 일상에서 시달리는 불안이나 조급함을 진정시키고 ‘인간다운’ 무언가를 채워준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 사람과 만나는 걸 굳이 드러내고자 애쓸 필요도 없다.

그렇다고 만남까지 이르지 못한 관계를 ‘의지박약’이라고 나무라는 것은 아니다. ‘한 번 보자’ ‘조만간 보자’고 했지만 우리는 그 많은 약속들을 지켜내지 못했다. 물론 앞서 말했듯 만남이 ‘의지’의 문제라면 상대는 나를 만나고 싶을 만큼의 의지, 다시 말해 호감이 없는 걸지도 모른다. 상황이나 타이밍이 좋지 않았다 해도 ‘마음이 있었다면 어떻게든 만났겠지’라며 인간적으로 서운해할 수도 있지만 내 뜻대로 움직여주지 않는다고 실망하거나 언짢아할 필요까지는 없어 보인다. 상대가 만남을 주저하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 일이고, ‘아님 말고’라는 반응도 가능하겠지만 좋은 감정이 내게 남아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이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다.

아, 한 가지 있긴 하다. 만나려는 의지의 부재 시엔 이해하려는 의지를 대신 품으면 된다. 나만의 시각이 아닌 상대의 입장이나 다른 시각으로도 생각해보고, 나의 나약함을 인정하는 만큼 상대의 취약함도 연민으로 살핀다. 건건이 상대를 시험에 들게 하지 않고 때로는 비루함을 못 본 척해준다. 무엇보다도 이해와 관용의 시선을 지닌 채 만나지 않을 때의 그 사람을 좋은 마음으로 떠올린다. 적어도 그 사람과 언젠가는 (다시) 만나고 싶다면 말이다.

임경선 소설가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