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우리 기술로 찍은 ‘달 뒷면’ 보여줬다

이정호 기자 2023. 4. 12. 22: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크레이터 등 달 표면 촬영
항우연, 고해상도 사진 공개
달 탐사 기대감 한층 높여
다누리가 촬영한 달의 뒷면 슈뢰딩거 계곡(왼쪽 사진)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의 첫 번째 달 궤도선인 ‘다누리’가 한국 우주개발 역사상 처음으로 달 뒷면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달 뒷면은 지구에서 망원경으로는 볼 수 없고, 우주 탐사선을 달 근처로 띄워야만 관측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올해 초 다누리가 임무를 시작한 뒤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사진을 12일 공개했다. 다누리는 지난달 22일 치올콥스키 크레이터(운석 충돌이나 화산 분화로 생긴 움푹 들어간 지형), 같은 달 24일에 슈뢰딩거 계곡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를 촬영했다. 사진에는 크레이터의 거친 표면과 여기저기 날카롭게 솟은 봉우리 모습이 생생히 보인다. 밝게 빛나는 지형과 짙은 그림자도 선명하게 관측된다. 이번 사진은 한국이 처음으로 찍은 달 뒷면 모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달은 스스로 한 바퀴 도는 자전 속도와 지구 주변을 도는 공전 속도가 같기 때문에 지구를 향하는 쪽이 늘 일정하다. 따라서 지구의 지상에 설치한 망원경으로는 늘 앞면만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달 뒷면은 우주 탐사선을 띄우지 않으면 볼 수 없다. 그런 달 뒷면을 볼 수 있는 탐사선을 한국 기술력으로 만들고 운영하게 된 것이다. 달 뒷면은 보는 것도 어렵지만 착륙은 더 어렵다. 2019년 중국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무인 착륙선을 착지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번 달 뒷면 모습은 항우연이 개발해 다누리에 탑재한 ‘고해상도 카메라(LUTI)’가 잡아냈다. 이 사진들은 향후 달 지표의 구성 성분과 지형 형성 과정 등을 밝히는 데 활용될 것으로 과기정통부는 기대했다.

과기정통부는 다누리가 탑재한 또 다른 관측 장비인 ‘광시야 편광카메라’가 찍은 비흐만 크레이터의 사진도 공개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이 카메라는 달 표면 토양의 입자 크기와 조성에 따라 빛이 반사되는 특징이 달라지는 점을 이용해 월면을 촬영한다. 카메라에 잡힌 사진을 분석하면 월면에 깔린 표토의 성질을 알 수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만든 ‘감마선 분광기’와 경희대가 개발한 ‘자기장 측정기’도 정상적으로 관측 자료를 잡아내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부터 달 궤도상에서 다누리가 어디를 날고 있는지 누구나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 서비스를 다누리 전용 홈페이지(www.kari.re.kr/kplo)에서 제공한다. 또 내년 1월부터 고해상도 카메라가 찍은 다양한 사진을 보정해 일반에 공개할 방침이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