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차세대 2차전지' 안정성 높이는 소재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의 정성균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사진) 연구팀이 차세대 2차전지(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전지' 양극의 계면 안정성을 높이는 유기물 코팅 소재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황화물 기반 전고체전지의 화학적·기계적 열화를 완화하기 위한 연구를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명 긴 전고체전지 제작 확인
UNIST(울산과학기술원)의 정성균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사진) 연구팀이 차세대 2차전지(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전지’ 양극의 계면 안정성을 높이는 유기물 코팅 소재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황화물 기반 전고체전지의 화학적·기계적 열화를 완화하기 위한 연구를 했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높은 이온전도도와 기계적 변형성, 낮은 중량 밀도로 전고체전지 산업에서 유망한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절연체의 성질이 나빠지는 열화 반응이 나타나거나 충·방전 과정의 부피 변화로 고체전해질 사이의 기계적 접촉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연구팀은 양극-고체전해질 계면을 인공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유기 전해질 첨가제를 코팅 소재로 도입했다. 리튬이온 전지에서 액체 전해질의 유기물 첨가제로 쓰이던 이플루오로비스(옥살레이토)인산염을 사용했다. 이를 활용한 양극-고체전해질 계면층은 기존 산화물계와 비교해 상온에서도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결과 유기물 기반의 양극-고체전해질 계면층은 고전압으로 충전될 때 발생하는 화학적 열화 속도를 늦추고, 낮은 구동 압력에서도 기계적 열화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양극-고체전해질 사이의 물리적 접촉은 전고체전지가 높은 용량을 구현하는 데 도움을 줘 수명이 긴 전고체전지 제작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전고체전지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유기물 코팅 소재에 대한 탐색 가능성과 확장성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트에너지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금리 공포 끝?…반포 아파트, 한 달도 안 돼 9억 올랐다
- "걷기만 해도 돈 준다"…'폭풍성장' 국민앱에 300억 몰렸다
- 지주회사 LG의 이례적 급등…그 뒤엔 영국계 회사가 있었다
- 아무리 청담동이라지만…'97억' 그냥 날리다니 [심은지의 경매 인사이트]
- 솔로여도 괜찮아…이날 딱 하루만 '짜장면 3000원'
- '연봉 30억' 염경환, ATM 신세인가…"아내·장인어른 모두 내 카드로 생활" ('옥문아')
- 한소희, 햇살보다 눈부신 윙크...앙상한 뒤태
- 푸른 갑옷에 장발…'더 마블스' 속 박서준 모습 공개
- 데프콘, 홀딱 반한 '골드미스 특집' 솔로녀...역대급 미모 '감탄' ('나는SOLO')
- "中이 들썩이기 시작했다"…기아차 '아픈 손가락'의 반전 [최수진의 나우앤카]